고사성어 세설신어 찾기(世說新語索引表)
가-격 / 건-고 / 고-국 / 군-기 / 나-니 / 다-도 / 도-등 / 마-명 / 모-미 / 박-백 / 번-빙 / 사-삼 / 삼-소 / 소-십 / 아-여 / 역-요 / 요-의 / 이-입 / 자-절 / 절-집 / 차-침 / 쾌-투 / 파-필 / 하-호 / 호-희 /
고사 가 -간/ 고사 간 -격/ 고사 견 -고/ 고사 고 -국/ 고사 군 -기/ 고사 나 -니/ 고사 다 -도/ 고사 도 -등/ 고사 마 -명/ 고사 모 -미/ 고사 박 -백/
고사 번 -빙/
고사 삼 -소/
고사 사 -삼/ 고사 소 -심/ 고사 아 -여/ 고사 역 -요/ 고사 요 -의/ 고사 이 -입/ 고사 자 -절/ 고사 절 -집/ 고사 차 -침/ 고사 쾌 -투/ 고사 파 -필/ 고사 하 -호/ 고사 호 -희/
세설신어 찾기
가
가경가비(可敬可悲) /
가사어魚(袈裟사魚)/
가훈가훈(家訓家訓) /
까치집상량(鵲巢樑)/
각곡류목(刻鵠類鶩)/
각병십법(却病十法)/
각병팔법(却病八法)/ 간간한한(間間閑閑)/ 간군오의(諫君五義)/ 간위적막(艱危寂寞)/ 간저한송(澗底寒松)/
감인세계(堪忍世界)/
감취비농(甘脆肥濃)/
감지坎止(감지坎止)/
객기사패(客氣事敗)/
갱이사슬(鏗爾舍瑟) /
거가사본(居家四本)/
거년차일(去年此日)/
거망관리(遽忘觀理)/
거안사위(居安思危)/
거전보과(鋸箭補鍋)/
거전보과(鋸箭補鍋)/
건상유족(褰裳濡足)/
검신성심(檢身省心)/
검신용물(檢身容物)/
격탁양청(激濁揚淸) /
견골상상(見骨想象)/
견면취예(蠲免驟譽)/
견미지저(見微知著)/
견양저육(汧陽猪肉)/
경경위사(經經緯史) /
경경유성(輕輕有聲) /
고구만감(苦口晩甘) /
고금삼반(古今三反) /
고락상평(苦樂常平) /
고려공사삼일(高麗)/
고보자봉(故步自封) /
고류선성(高柳蟬聲) /
고선포목(枯蟬抱木) /
고태류극(고태류극) /
괘일루만(掛一漏萬)/
곡돌사신(曲突徙薪)/
굳고 곧은 갈매나무/
골경지신(骨鯁之臣)/
公共의적(敵)비둘기/
공생도사(空生徒死)/
공이불명(公而不明)/
공자명강(公慈明剛)/
교부초래(敎婦初來)/
교자이의(敎子以義)/
교정교태(交情交態)/
과골삼천(髁骨三穿)/
과성당살(過盛當殺) /
과숙체락(瓜熟蒂落)/
과언무환(寡言無患)/
관과지인(觀過知仁) /
관간어중(寬簡御衆)/
관규여측(管窺蠡測) /
관물론論(觀物論론)/
관저복통(官猪腹痛) /
괄낭무구(括囊無咎)/
괄모귀배(刮毛龜背) /
광이불요(光而不耀)/
구겸패합(鉤鉗捭闔) /
구과십육(口過十六) /
구구소한(九九消寒)/
구만소우(求滿召憂)/
구사비진(求似非眞)/
구안능지(具眼能知)/
구전지훼(求全之毁) /
구차미봉(苟且彌縫)/
국곡투식(國穀偸食)/
국화축제(菊花祝祭)/
군기器론(군軍器論)/
군아쟁병(群兒爭餠)/
군이부당(羣而不黨)/
군인신직(君仁臣直)/
굴신수볍(窟神受法)/
궁만즉절(弓滿則折)/
궁이불궁(窮而不窮)/
궁하필위(窮下必危)/
극자만복(棘刺滿腹)/
근신수마(謹身數馬)/
금불급고(今不及古)/
금입옥사(金入玉謝)/
기機는목木과(기幾)/
기득환실(旣得患失)/
기리단금(其利斷金)/
기부포비(飢附飽飛)/
기심화심(機深禍深)/
기양技癢기양(技癢)/
기왕불구(旣往不咎)/
기인열전(奇人列傳)/
끽휴시복(喫虧是福)/
길광편우(吉光片羽)/
나
나의뿌리찾기(古典)/
나이나타내는(漢字)/
낙화유수(落花流水)/
내시구로(來時舊路)/
난득호도(難得糊塗)/
난자이사(難者二事)/
난진방선(亂眞妨善)/
난진이퇴(難進易退) /
남계우석주명(啓宇)/
남방지강(南方之强) /
남산현표(南山玄豹)/
낭분시돌(狼奔豕突)/
노다정산(勞多精散)/
노량작제(魯梁作綈)/
노인삼반(老人三反)/
노인지반(老人之反)/
녹동백이(綠瞳白耳)/
농이소미(濃而少味)/
능내구전(能耐久全)/
능체지심(能體持心) /
다
다반향초(茶半香初)/
다문궐의(多聞闕疑)/
다산론쟁(學術論爭)/
다소잠箴(多少소箴)/
다시수죄(茶時數罪) /
다자필무(多者必無)/
다창파수(茶槍破愁)/
다행불행(多倖不幸)/
대기만성(大器晩成)/
대발철시(大鉢鐵匙)/
대오구금(臺烏久噤)/
대치십상(對治十常)/
단미서제(斷尾噬臍)/
단사절영(斷思絶營)/
담박영정(淡泊寧靜)/
당관삼사(當官三事)/
당면토장(當面土墻)/
당방미연(當防未然)/
당심기인(當審其人)/
덕근복당(德根福堂) /
도문대작(屠門大嚼)/
도유우불(都兪吁咈)/
도하청장(淘河靑莊)/
독서망양(讀書亡羊)/
독서삼도(讀書三到)/
독서일월(讀書日月)/
독서칠결(讀書七訣)/
동우이시(童牛羸豕)/
두문정수(杜門靜守)/
득구불토(得句不吐)/
득예가우(得譽可憂) /
득조지방(得鳥之方)/
등고자비(登高自卑)/
라
마
마이동풍(馬耳東風)/
마이불린(磨而不磷)/
만리비추(萬里悲秋)/
만상대반(挽裳對飯)/
만이불일(滿而不溢)/
말의행간말의(行間)/
말무섭다(可畏者言)/
망서지방(忘暑之方)/
매독환주(買櫝還珠)/
매륜남비(埋輪攬轡)/
매인열지(每人悅之)/
맹봉할갈(盲棒瞎喝)/
맹인할마(盲人瞎馬)/
명계양지(冥契陽贄)/
명랑대첩과 거북선 /
명창정궤(明窓淨几)/
명철보신(明哲保身)/
모란공작(牡丹孔雀)/
모릉구용(摸稜苟容)/
몽롱춘추(朦朧春秋)/
몽환포영(夢幻泡影)/
묘계질서(妙契疾書)/
무구지보(無口之輔)/
무궁세계(無窮世界)/
무덕부귀(無德富貴)/
무료불평(無聊不平)/
무성요예(無聲要譽)/
무소유위(無所猷爲)/
무연설설(無然泄泄)/
무용순후(務用淳厚)/
무익십사(無益十事)/
문슬침서(捫蝨枕書)/
문심혜두(文心慧竇)/
문유삼등(文有三等) /
문유십기(文有十忌)/
문유십의(文有十宜)/
물가유감(勿加惟減))/
물경소사(勿輕小事)/
물기태성(物忌太盛)/
미견여금(未見如今)/
미음완보(微吟緩步)/
바
박견집몌(拍肩執袂)/
반어구십(半於九十)/
반일투한(半日偸閑)/
발초첨풍(撥草瞻風)/
발發총유(發塚총儒)/
발호치미(跋胡疐尾)/
방무운인(傍無韻人)/
방유일순(謗由一脣)/
백년양조(百年兩朝)/
백운동원(白雲園林)/
백재고잠(栢在高岑)/
벌모세수(伐毛洗髓) /
법여시족(法如是足) /
법자천토(法者天討)/
병동지한(甁凍知寒)/
보과위교(步過危橋)/
봉인유구(逢人有求)1/
봉인유구(逢人有求)2/
부승치구(負乘致寇)/
부신구화(負薪救火)/
부유의상(蜉蝣衣裳)/
부작무익(不作無益)/
부초화형(腐草化螢)/
북원적월(北轅適越)/
분도양표(分道揚鑣)/
분토취부(糞土臭腐) /
불무구전(不務求全)/
불삼숙상 (不三宿桑)/
불수고방(不守古方)/
불려표조(怫戾僄窕)/
불여류적(不如留賊)/
불위선악(不爲善惡)/
불인미군(不忍媚君)/
불출악성(不出惡聲)/
불통즉통(不通則痛)/
불필친교(不必親校)/
불학지인(不學之人)/
비극태래(否極泰來)/
비대목소(鼻大目小)/
비서십원(悲誓十願)/
비조시석(非朝是夕)/
빈환주인(頻喚主人)/
사
사기만지(死氣滿紙)/
사대사병(四大四病)/사벌등안(捨筏登岸)/
사사무은(事師無隱)/
사소팔다(四少八多) /
사숙淑록(私淑錄록)/
사지삼혹(四知三惑)/
사천왕사와文豆婁) /
사청사우(乍晴乍雨) /
사행호시(蛇行虎視)/
사후칭미(死後稱美)/
쌍미양상(雙美兩傷)/
새벽스님(새벽스님)/
새아침새아침(아침)/
사유오장(仕有五瘴)/
색은행괴(索隱行怪)/
생사사생(省事事省)/
생사요법(省事要法)/
생처교숙(生處敎熟)/
산사일등(山寺一燈)/
산산가애(珊珊可愛)/
산인오조(山人五條)/
삼강오륜(三綱五倫)/
삼년지애(三年之艾)/
삼복사온(三復四溫)/
삼심양합(三心兩合)/
삼절삼멸(三絶三滅)/
삼함三緘삼함(三緘)/
삼환사실(三患四失)/
살殺풍경(殺風景경)/
상구작질(爽口作疾)/
상동구이(尙同求異)/
상두보소(桑土補巢)/
상생패신(傷生敗身)/
상유만경(桑楡晩景)/
쌍미양상(雙美兩傷)/
서소묵장(書巢墨莊)/
서중사치(書中四痴)/
서해맹산(誓海盟山)/
세간지락世間至樂)/
세구삭반(洗垢索瘢)/
세류서행(細柳徐行)/
세사상반(世事相反)/
세심방환(洗心防患)/
세歲한도(歲세寒圖)/
세재비아(世財非我)/
석복겸공(惜福謙恭)/
석복수행(惜福修行)/
석원이평(釋怨而平)/
석체소옹(釋滯消壅)/
선기원포(先期遠布) /
선담후농(先淡後濃)/
선담후농(先淡後濃)/
설니홍조(雪泥鴻爪)/
설화舌禍설화(舌禍)/
성경익륜(誠敬翼輪)/
성문과정(聲聞過情)/
성사원방(省事遠謗)/
성일역취(醒日亦醉)/
소객택인(召客擇人)/
소구적신(消舊積新)/
소굴대신(小屈大伸)/
소년등과(少年登科)/
소년청우(少年聽雨)/
소림황엽(疎林黃葉)/
소심방담(小心放膽))/
소인난거(小人難去)/
소인인소(笑人人笑)/
소지유모(小智惟謀)/
손이익난(損易益難)/
송무백열(松茂柏悅)/
수경신(守庚申)신앙/
수도동귀(殊塗同歸)/
수락석출(水落石出)/
수문심인(修文深仁)/
수상포덕(守常抱德)/
수서낭고(首鼠狼顧)/
수오탄비(羞惡歎悲)/
수이불실(秀而不實)/
수정장점(隨定粧點)/
수처작주(隨處作主)/
숙살수렴(肅殺收斂/
순사고언(詢事考言)/
순물신경(徇物身輕)/
순안첩공(瞬眼輒空)/
순인자시(詢人者是)/
습習용관(習容용觀)/
습인책노(習忍責怒)/
습정양졸(習靜養拙)/
습정투한(習靜偸閑)/
승영시식(蠅營豕息)/
시비이해(是非利害)/
시비재중(是非在中)/
시아비아(是我非我)/
시유삼건(侍有三愆)/
시지인길(尸至人吉)/
사청사우(乍晴乍雨)/
식기심한(息機心閑) /
식진관명(植眞觀命)/
신기위괴(新奇爲怪)/
선모신파(鮮侔晨葩)/
신신신야(信信信也)/
신언과우(愼言寡尤)/
신언불미(信言不美)/
신용어시(愼用於始)/
신진대사(新陳代謝)/
심동신피(心動神疲)/
심상자분(心上自分)/
심원의마(心猿意馬)/
심유이병(心有二病)/
심입천출(深入淺出)/
심자양등(深者兩等)/
심장불로(深藏不露)/
심한신왕(心閒神旺)/
십년독서(十年讀書)/
십무낭자(十無浪子)/
십사세급제(교敎授)/
아
아만의반성(我慢만)/
아시인구(我矢人鉤)/
애여불공(隘與不恭)/
애이불교(愛而不敎)/
안불망위(安不忘危)/
압승득길(壓勝得吉)/
앙급지어(殃及池魚)/
야행조창(夜行朝昌)/
약교지도(約交之道)/
약란토비(若蘭吐菲) /
약상불귀(弱喪不歸)/
약이불로(略而不露)/
양묘회신(良苗懷新)/
양비근산(兩非近訕)/
양장음소(陽長陰消)/
양질호피(羊質虎皮)/
양탕지비(揚湯止沸)/
어가지요(御家之要)/
어귀정상(語貴精詳)/
어묵찬금(語嘿囋噤)/
어심양안(御心養安)/
어후반고(馭朽攀枯)/
엄이투령(掩耳偸鈴)/
여지餘地(여지餘地)/
예실구야(禮失求野)/
연서조저(燃犀照渚)/
염취박향(廉取薄享))/
영서연설(郢書燕說)/
영상조파(影上爪爬)/
영영구구(營營苟苟)/
열복熱福청복(淸福)/
열하일기(完成本본)/
오과지자(五過之疵)/
오괴오합(五乖五合)/
오교삼흔(五交三釁)/
오로칠상(五勞七傷)/
오리이원익(梧里리)/
오미사악(五美四惡) /
오서오능(鼯鼠五能)/
오자칠사(惡者七事)/
오형오락(五刑五樂)/
옥작불휘(玉爵弗揮)/
완이이소(莞爾而笑)/
옹독취보(甕櫝聚寶)/
요동백시(遼東白豕)/
요생행면(僥生倖免)/
요요적적(寥寥寂寂) /
욕개미창(欲蓋彌彰)/
욕로환장(欲露還藏)/
용서성학(傭書成學)/
용종가소(龍鍾可笑)/
용지허실(用之虛實)/
용형삼등(用刑三等)/
우각괴장(牛角壞牆)/
우두마면(牛頭馬面)/
우수운산(雨收雲散) /
우암과부로치(외교)/
우작경탄(牛嚼鯨呑)/
우적축은(牛賊丑隱/
우측통행(右側通行)/
위학삼요(爲學三要)/
원굴옹알(冤屈壅閼)/
웃음의구분(소笑소)/
유구기미(唯求其美)/
유민가외(唯民可畏)/
유생개곡(有生皆哭) /
유유문답(兪兪問答) /
유초유종(有初有終) /
유희임천(惟喜任天)/
육요사병(六要四病)/
육일섬서(六日蟾蜍)/
육자결(六字결訣)/
육회불추(六悔不追)/
윤물무성(潤物無聲)/
의관구체(衣冠狗彘)/
의금상경(衣錦尙絅)/
의재필선(意在筆先)/
은산철벽(銀山鐵壁)/
은환위목(銀還爲木)/
음주십과(飮酒十過)/
음주육폐(飮酒六弊)/
응신식려(凝神息慮)/
응작여시(應作如是/
이난삼구(二難三懼)/
이두자검(以豆自檢)/
이매망량(魑魅魍魎)/
이명비한(耳鳴鼻鼾)/
이백과포(以帛裹布)/
이언무책(易言無責)/
이입도원(移入桃源)/
이장선위(易長先萎)/
이적초앙(以積招殃)/
이진지인(易進之人)/
이택麗澤택(麗澤)/
익공익미(益公益美) /
인묵수렴(忍默收斂)/
인약발병(因藥發病)/
인양념마(因羊念馬)/
일각장단(一脚長短)/
일산난취(一散難聚)/
일슬지공(一膝之工)/
일언방담(一言芳談)/
일언상방(一言喪邦)/
일엽지추(一葉知秋)/
일우보윤(一雨普潤)/
일자문결(一字文訣)/
일자사師(一字자師)/
임거사결(林居四訣)/
임사주상(臨事周詳)/
잊혀진풍속(風俗속)/
임진마창(臨陣磨槍)/
자
자경팔막(自警八莫)/
자만난도(滋蔓難圖)/
자모인모(自侮人侮)/자지자기(自止自棄)/
자웅난변(雌雄難辨)/
자화자찬(自畵自讚)/
재석도와(剝綿攪車)/
재여부재(材與不材)/
재재화화(財災貨禍)/
쟁신칠인(諍臣七人)/
작가정신(作家精神) /
작각서아(雀角鼠牙)/
작관십의(作官十宜)/
작문오법(作文五法)/
작문육오(作文六誤)/
작비금시(昨非今是)/
작정산밀(斫正刪密)/
잠린소미(潛鱗燒尾) /
잠시광경(暫時光景)/
잡채판서(雜菜判書)/
장광설舌(長廣광舌)/
장망록어(張網鹿魚)/
장수선무(長袖善舞)/
장엄행관(張嚴行寬) /
제심징려(齊心澄慮)/
제이오吾(第제二吾)/
제주의외국인 표류/
적이능산(積而能散)/
전설傳說야담(野談)/
전설야담(傳說野談)/
절대가난(絶對家難)/
점수청정(點水蜻蜓)/
점철미봉(點綴彌縫) /
정념실덕(正念實德) /
정수투서(庭水投書)/
정식정팽(鼎食鼎烹) /
정인매리(鄭人買履)/
정조의활솜씨(正祖)/
정좌식심(靜坐息心)/
조병추달(操柄推達)/
좌명팔조(座銘八條)/
존상存想존상(存想)/
조조무덤 조조무덤/
조락공강(潮落空江)/
종풍지료(縱風止燎)/
주영렴수(晝永簾垂)/
주미구맹(酒美狗猛)/
주심제복(注心臍腹)/
주옹반낭(酒甕飯囊)/
죽외일지(竹外一枝)/
중中국판(東醫寶鑑)/
중봉직필(中鋒直筆)/
중정中正중정(中正)/
즐풍목우(櫛風沐雨)/
지단의장(紙短意長)/
지덕맹장(智德猛將)/
지도노마(知途老馬)/
지도인기(知道認己)/
지려작해(持蠡酌海)/
지만계영(持滿戒盈)/
지미무미(至味無味)/
지미위난(知味爲難)/
지방지술(止謗之術)/
지상담병(紙上談兵)/
지언知言지언(知言)/
지영수겸(持盈守謙)/
지유조심(只有操心)/
지이불언(知而不言)/
지인안민(知人安民)/지족보신(知足保身)/지지지지(知止止止)/
지칭삼한(只稱三閒)/
집가벌가(執柯伐柯)/
집옥봉영(執玉奉盈)/
집지전일(執持專一)/
차
차납지변(借納之辨)/
채봉채비(采葑采菲)/
채수시조(債帥市曹)/
책읽는소리(讀독本)/
착념삼일(着念三日)/
착슬독서(著膝讀書)/
찰풍오술(察風五術)/
창연체하(愴然涕下)/
처명우난(處名尤難)/
처세십당(處世十當)/
처세육연(處世六然)/
처정불고(處靜不枯)/
체구망욕(體垢忘浴)/
체수유병(滯穗遺秉)/
척확무색(尺蠖無色)/
천년삼蔘(칠백년茶)/
천리여면(千里如面) /
철망산호(鐵網珊瑚)/
첨제원건(尖齊圓健)/
청선聽蟬청선(聽蟬)/
초화계흔(招禍啓釁)/
총욕불경(寵辱不驚)/
추구목옹(芻狗木翁)/
추삼조사(推三阻四)/
추연가슬(墜淵加膝)/
춘몽수구(春夢水漚)/
취모구자(吹毛求疵)/
취몽환성(醉夢喚醒)/
취문성뢰(聚蚊成雷)/
취로적낭(就艫摘囊)/
취우표풍(驟雨飄風)/
축장요곡(築墻繞曲)/
치모랍언(梔貌蠟言)/
치이란이(治已亂易)/
칠등팔갈(七藤八葛)/
침정신정(沈靜神定)/
칭찬교육(稱讚敎育)/
카
타
타락수구(打落水狗)/
타장지정(打獐之梃)/
태배예치(鮐背鯢齒)/
탄조모상(呑棗模象)/
탐득과수(貪得寡羞)/
탕척비린(蕩滌鄙吝)/
토굴사관(土窟四關)/
토붕와해(土崩瓦解)/
퇴불우인(退不尤人)/
파
파부균분(破釜均分)/
파사현정(破邪顯正) /
파초설說(芭蕉파초)/
팔면수적(八面受敵) /
팔십종수(八十種樹) /
폐목강심(閉目降心)/
패위회목(佩韋晦木)/
폐추자진(敝帚自珍)/
평등안(平等眼)평등/
평지과협(平地過峽)/
폐단구함(弊簞救鹹)/
폐시묵양(閉視默養)/
표류선해저(유遺物)/
풍중낙엽(風中落葉)/
피지상심(披枝傷心)/
필패지가(必敗之家)/
하
하정투석(下井投石)/
해학재담(諧謔才談)/
해현갱장(解弦更張)/
행루오리(幸漏誤罹)/
행역방학(行役妨學)/
한겨울공부(工夫房)/
한불방과(閒不放過)/
한운불우(閑雲不雨)/
한자상식(漢字常識)/
함구납오(含垢納汚)/
함사사영(含沙射影) /
함제미인(含睇美人) /
함장축언(含章蓄言)/
해상조로(薤上朝露)/
행불리영(行不履影)/
허심공관(虛心公觀)/
허정무위(虛靜無爲)/
허착취패(虛著取敗)/
형범미전(荊凡未全)/
형제비타(兄弟匪他)/
형제비타(兄弟匪他)/
호곡哭장(好哭場장)/
호랑이와(四字成語)/
호명자표(好名自標)/
호변號辨호변(號辨)/
호승감녕(好勝甘佞) /
호식병공(虎食病攻)/
호질의행간(虎叱칠)/
호추불두(戶樞不蠹)/
화경포뢰(華鯨蒲牢)/
화복상의(禍福相倚) /
화진유지(火眞有知/
화풍진진(花風陣陣)/
환상부환(幻上復幻)/
환양망익(豢羊望翼)/
환원탕사(還源蕩邪)/
환이삼롱(桓伊三弄)/
황공대죄(惶恐待罪)/
회근보춘(晦根葆春)/
홍진벽산(紅塵碧山)/
희소불휴(喜笑不休)/
후미석독(厚味腊毒)/
후적박발(厚積薄發)/
후피만두(厚皮饅頭)/
훼인칠단(毁人七端)/
흉종극말(凶終隙末)/
찾기고사(世說新語)/
--------------------------------------------------------------------------------------
말 주머니를 잘 여미면 허물도 없다/
굳고 곧은 갈매나무/
뒷간거리의 가무락조개/
눈을 감고 보라/
외통/
|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