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후미석독(厚味腊毒)

남구만(南九萬·1629~1711)이 쓴 숙부께 올림(上叔父)’은 숙부가 임지에서 술을 절제하지 못해 구설이 많다는 풍문을 듣고 조카가 올린 편지다. “저는 한때 조금만 쉬더라도 쌓여서 지체되는 일이 너무 많은데, 하물며 아침저녁으로 쉴 새 없이 술을 마신다면 어찌 업무가 폐하여지고 정신이 흐트러지지 않을 수가 있겠습니까? 공적인 일은 그래도 바깥일이라 절박하지 않다 해도 밖으로 마음 끓일 일이 많은데, 안으로 석독(腊毒)의 맛만 맞이한다면 두 가지가 서로 침해할 테니 무엇으로 스스로를 보전하시렵니까? 이 조카의 생각은 만약 술 마시는 것을 자제할 수 없다면 일찍 스스로 사직하셔야 합니다.” 술잔을 들고 이 편지를 읽던 숙부는 정신이 번쩍 들었을 것이다.

글 속 석독(腊毒)의 석()은 고기를 두껍게 썰어 말린 육포로 편포(便脯)라고도 한다. 두꺼워 씹는 맛이 좋지만, 잘 마르지 않아 속이 쉬 상한다. 별미지만 겉만 멀쩡하고 속이 상한 것은 맹독을 품어, 먹으면 식중독에 걸린다. ‘국어(國語)’ 주어 하(周語下)에서 높은 지위는 사람을 엎어지게 만들고, 맛난 음식에는 석독이 들어 있다(高位寔疾顚, 厚味寔腊毒)”고 한 데서 나온 말이다.

권호문(權好文·1532~1587)그칠 줄 알면 위태롭지 않다(知止 不)’에서 슬프다 벼슬아치들 갈 것도 잊고, 석독만 즐기니 어리석구나. 총애가 지나치면 끝내 저자에 버려지니, 상채(上蔡)에서 사냥개 끌고 뒤쫓기 어려우리(哀宦子之忘行, 嗜腊毒而蚩蚩. 寵濫而終棄東市, 上蔡之牽黃難追)”라 했다. 이식(李植·1584~1647)이 동짓날을 맞아 지은 시 견우(遣遇)’에서 무늬 좋은 표범은 함정에 들고, 미인은 질투와 모함이 많네. 맛난 음식 석독이 가득 차 있고, 큰 거리에도 깎아지른 바위 있는 법(文豹來罟穽, 佳冶多妬讒. 厚味實腊毒, 康莊或巉巖)”이라고 노래한 것도 같은 뜻이다.

칠극(七克)’에서는 맛난 음식이 온갖 병을 부른다는 뜻으로 후미백질(厚味百疾)’을 말하며 먼저 먹은 음식이 소화되지 않았는데 또 밥을 더 먹으면 반드시 병이 생긴다(前食未化, 又加飡焉, 必生疾矣)”고 했다. 절제를 통해 몸과 정신을 길러야겠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산난취(一散難聚)  (0) 2020.12.10
일언상방(一言喪邦)  (0) 2020.12.03
상유만경(桑楡晩景)  (0) 2020.11.19
농이소미(濃而少味)  (0) 2020.11.12
반일투한(半日偸閑)  (0) 2020.11.05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