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관저복통(官猪腹痛)

유엽갑(柳葉甲)은 버들잎 모양의 쇠미늘을 잘게 꿰어 만든다.   한 곳이 망가지면 쉬 흐트러져 쓰기가 어려웠다. 인조 때 대신들이 청나라의 제도에 따라 갑옷을 고쳐 만들 것을 건의했다. 임금은 새 갑옷이 예전 것보다 갑절이나 낫다면 몰라도 그렇지 않다면 굳이 있는 것을 훼손해가며 개조할 필요가 있느냐고 되물었다. 국고의 낭비를 염려해서다.

 

방물로 납입되는 갑옷이  도무지 쓸모가 없으니  이 문제의 해결이 먼저라며 이렇게 말했다. "속담에 '관가 돼지가 배 앓는다(官猪腹痛)'고 했다. 누가 자주 기름을 칠하고 잘 보관해서 오래 사용하려 하겠는가?" 그러자 이시백이 자신도 이 갑옷을 하사받았는데 너무 무거워 입을 수가 없었다며 수긍했다. 예전 갑옷은 가볍고 보관이 용이해 가끔 기름칠만 해 두면 오래 쓰는 데 아무 문제가 없었다. 하지만 제 물건이 아니라고 누구도 기름칠을 하지 않고 내버려 두니 유사시에 쓰려 들면 성한 것이 하나도 없었다.

 

관저복통(官猪腹痛)은  '관가 돼지 배 앓는 격'이란 우리말 속담을 한자로 옮긴 말이다. 관가에서 기르는 돼지는 배곯을 일이 없어 팔자가 편할 것 같지만 정작 배를 앓아도 아무도 보살피는 사람이 없다는 뜻이다. 어떻게 되겠지, 누군가 하겠지 하는 사이에 아픈 돼지만 죽을 맛이다.

 

박지원은  '열하일기'의 '구외이문(口外異聞)'에서  북경의 열 가지 가소로운 일(十可笑)을 소개했다. 황제 직속의 태의원(太醫院)에서 내는 약방문과 무고사(武庫司)의 칼과 창, 오늘날 검찰청에 해당하는 도찰원(都察院)의 법률 기강, 국자감의 학당, 한림원의 문장 등등을 꼽았다. 최고여야 할 국가기관들이 실상은 가장 형편없다는 뜻으로 한 우스갯말이다. 한나라 때 속담에는 '수재로 뽑고 보니 글을 모르고(擧秀才不知書), 효렴(孝廉)에 발탁하자 아비와 따로 산다(察孝廉父別居)'고 했다. 명실상부(名實相符)가 아닌 명존실무(名存實無)다. 이름뿐 실지는 없는 빈 껍데기다. 멀쩡한 갑옷에 기름칠할 생각은 않고 다 갈아엎고 새로 만들자고 한다. 내 돈 드는 것도 아닌데 뭐가 문제인가? 그 와중에 들리느니 백성들 배 앓는 소리뿐이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언불미(信言不美)  (0) 2015.09.07
몽롱춘추(朦朧春秋)  (0) 2015.09.06
괄모귀배(刮毛龜背)  (0) 2015.09.04
기왕불구 (旣往不咎)  (0) 2015.09.03
궁만즉절(弓滿則折)  (0) 2015.09.02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