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득구불토(得句不吐)

 

옛 전시도록을 뒤적이는데, 추사의 대련 글씨 하나가 눈에 들어온다. 옆에 쓴 글씨의 사연이 재미있다. "유산(酉山) 대형이 시에 너무 빠진지라, 이것으로 경계한다(酉山大兄淫於詩, 以此箴之)." 유산은 다산의 맏아들 정학연(丁學淵)이다. 아버지가 강진으로 유배간 뒤, 그는 벼슬의 희망을 꺾었다. 다산은 폐족(廢族)이 된 것에 절망하는 아들에게 학문에 더욱 힘쓸 것을 주문했지만, 그는 학문보다 시문에 더 마음을 쏟았다.

 

추사는 그와 막역한 벗이었다. 추사가 정학연에게 써준 시구는 이렇다. "구절을 얻더라도 내뱉지 말고, 시 지어도 함부로 전하지 말게(得句忍不吐, 將詩莫浪傳)." 마음에 꼭 맞는 득의의 구절을 얻었더라도, 꾹 참고 배 속에만 간직하고, 흡족한 시를 지었다 해도 세상에 함부로 전하지 말라는 얘기다. 정색한 얘기라면 들은 상대가 대단히 불쾌했을 테지만, 글씨도 내용도 장난기가 다분하다. 샘솟듯 마르지 않는 정학연의 시재(詩才)를 따라갈 수 없어 샘이 나서 이렇게 썼지 싶다. 농담처럼 건네는 말 속에 은근히 뼈도 있다.

 

누구의 시인가 궁금해 찾아보니, 소동파와 두보의 시에서 한 구절씩 잘라내서 잇댄 것이었다. 소동파는 "시구 얻고 차마 토하지 않음은, 옛것 좋아 내 뜻이 빠져서라네(得句忍不吐, 好古意所耽)"라 했고, 두보는 "술을 보면 서로 생각나겠지마는, 시 지어도 함부로 전하지 말게(見酒須相憶, 將詩莫浪傳)"라고 했다. 두 시에서 한 구절씩을 따와 나란히 잇대어 붙이니, 전혀 다른 느낌의 한 짝이 되었다. 처음엔 글씨를 보고 획이 눈에 설어 위품(僞品)일 수도 있겠다 싶었는데, 구절을 찾고 보니 추사 외에 이렇게 맵시 나게 따올 수 있을까 싶어 의심이 걷혔다. 더욱이 소동파의 시는 추사가 늘 곁에 두고 보던 '영련총화(楹聯叢話)'에 실려 있다.

 

여보게 유산! 시를 좀 아끼게나. 입이 근질근질해도 꾹 눌러 참을 때의 그 미묘한 맛을 알아야지. 짓는 시마다 세상에 내놓으면 안에 고이는 것이 아무것도 없질 않겠나? 그 시 속에 담긴 자네의 속내까지 다 드러나니 이건 안 되네. 옛사람의 장난기에 웃다가, 언중유골의 그 서슬에 또 깜짝 놀란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삼도(讀書三到)  (0) 2018.10.25
문유십기(文有十忌)  (0) 2018.10.18
춘몽수구(春夢水漚)  (0) 2018.10.04
궁이불궁(窮而不窮)  (0) 2018.09.27
봉인유구(逢人有求)  (0) 2018.09.2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