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조락공강 (潮落空江)

"조각배에 외론 객이 늦도록 머뭇대니, 여뀌꽃이 피어 있는 수역(水驛)의 가을일세. 세월에 놀라다가 이별마저 다한 뒤, 안개 물결 머무느니 고금의 근심일래. 구름 낀 고향 땅엔 산천이 저무는데, 조수 진 텅 빈 강서 그물을 거두누나. 여기에 예쁜 아씨 옛 노래가 들려오니, 노 젓는 소리만이 채릉주(采菱舟)로 흩어진다(片帆孤客晩夷猶, 紅蓼花前水驛秋. 歲月方驚離別盡, 烟波仍駐古今愁. 雲陰故國山川暮, 潮落空江網�收. 還有吳娃舊歌曲, 棹聲遙散采菱舟).

 

참으로 적막하고 쓸쓸한 광경이다. 조각배를 탄 나그네가 물가를 쉬 떠나지 못하는 것은 강가의 붉은 여뀌꽃 때문만은 아니다. 둘러보니 지나온 세월은 덧없고, 사랑하던 사람들은 다 떠났다. 산천은 자옥한 구름 속에 가뭇없이 저물고, 썰물 진 빈 강에서 어부들은 말없이 낮에 쳐둔 그물을 거둔다. 환청인가 싶게 먼 데 노랫소리가 가냘프게 들린 것만 같다. 사공은 나를 빈 강가에 내려놓고 찌꺽찌꺽 노를 저어 저문 강 저편으로 사라진다.

 

청나라 때 김성탄(金聖嘆)이 '산천은 저무는데,그물을 거둔다'고 한 5·6구를 읽고 이런 평을 남겼다. "하루가 끝난 뒤는 이와 같을 뿐이다. 일생이 끝난 뒤도 이와 같을 뿐이고, 한 시대가 끝난 뒤도 이와 같음에 지나지 않는다."

 

이덕무(李德懋)는 김성탄의 평을 보고 또 평을 남겼다.    "내가 이 말을 듣고 망연자실 드러누워 천장을 우러러 보며 드넓은 흉금에 감탄하였다." '청비록(淸脾錄)'에 나온다.

 

하루가 이렇게 가고,한 인생이 이렇게 가고, 한 시대도 이렇게 물러나는 것이다. 목전의 일 앞에 일희일비(一喜一悲)하며 사생결단하던 다툼이 머쓱해진다. 좀전의 노랫가락은 환청이었을까? 그는 아주 먼 길을 돌아서 처음 자리에 다시 섰다. 하지만 그런가? 어둠이 곧 찾아들겠지만, 금세 새벽이 온다. 사공은 부지런히 노를 저어 물가에 다시 배를 댈 게고, 어부는 힘차게 새 그물을 칠 것이다. 고운 아가씨는 간밤의 슬픈 가락을 잊고 새 단장에 분주하리라. 이런 반복 속에서 장강대하(長江大河)와 같이 하루가, 일생이, 한 시대가 흘러왔다. 차분하고 담담하게 닫히고 열리는 한 시대를 본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심징려(齊心澄慮)  (0) 2015.07.21
하정투석(下井投石)  (0) 2015.07.20
유언혹중(流言惑衆)  (0) 2015.07.18
도유우불(都兪吁咈)  (0) 2015.07.17
회근보춘(晦根葆春)  (0) 2015.07.1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