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일슬지공(一膝之工)

김간(金榦·1646~1732)의 독실한 학행은 달리 견줄 만한 이가 없었다. 하루는 한 제자가 물었다. "선생님, 독서에도 일슬지공(一膝之工)이 있을는지요?" 일슬지공이란 두 무릎을 한결같이 바닥에 딱 붙이고 하는 공부를 말한다.

스승의 대답은 이랬다. "내가 예전 절에서 책을 읽을 때였지. 3월부터 9월까지 일곱 달 동안 허리띠를 풀지 않고, 갓도 벗지 않았네. 이부자리를 펴고 누워 잔적도 없었지. 책을 읽다가 밤이 깊어 졸음이 오면, 두 주먹을 포개 이마를 그 위에 받쳤다네. 잠이 깊이 들려 하면 이마가 기울어져 떨어졌겠지. 그러면 잠을 깨어 일어나 다시 책을 읽었네. 날마다 늘 이렇게 했었지. 처음 산에 들어갈 때 막 파종하는 것을 보았는데, 산에서 나올 때 보니 이미 추수가 끝났더군."

세상에나! 그는 목욕 한번 안 하고 늦봄부터 삼복더위를 지나 초겨울을 코앞에 두고서야 산에서 내려왔다. 고승대덕의 앉아 절대 눕지 않는다는 장좌불와(長坐不臥)는 들어보았지만, 산사에 공부하러 간 선비가 7개월간 허리띠도 풀지 않고 눕지도 않은 채 공부만 했다는 얘기는 처음 들었다. 신돈복(辛敦復·1692~1779)'학산한언(鶴山閑言)'에 실려 있다.

김흥락(金興洛·1827~1899)이 사위인 장지구(張志求)에게 준 편지에도 "산속 집에서 일슬지공을 겨우내 온전히 해냈으니 얻은 바가 반드시 얕지 않겠네(山齋一膝之工, 穩做三餘, 所得必不淺矣)"라 한 말이 나온다. 이런 독공(篤工)이 있고서야 공부에서 비로소 제 말이 터져 나온다. 다산은 책상 다리로 두 무릎을 딱 붙이고 공부하느라 튀어나온 복사뼈가 세 번이나 구멍이 났다 해서 과골삼천(踝骨三穿)의 이야기가 전설로 전해진다.

중종 때 양연(梁淵·?~1542)은 공부에 뜻이 없어 놀다가 나이 마흔에 비로소 정신을 차리고 공부를 시작했다. 그는 왼손을 꽉 쥐고서 문장을 이루기 전에는 결단코 이 손을 펴지 않겠노라 다짐했다.

몇 해 뒤 마침내 과거에 급제하여 꽉 쥔 왼손을 펴려 하자 그 사이에 자란 손톱이 손바닥을 파고 들어가 펼 수가 없는 지경이 되었다. 이것은 또 조갑천장(爪甲穿掌)의 고사로 회자된다. 공부는 머리로 하는 것이 아니다. 엉덩이와 무릎으로 한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일섬서(六日蟾蜍)  (0) 2018.04.26
취우표풍(驟雨飄風)  (0) 2018.04.19
반어구십(半於九十)  (0) 2018.04.05
오자칠사(惡者七事)  (0) 2018.03.29
오과지자(五過之疵)  (0) 2018.03.22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