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교정교태(交情交態)

한(漢)나라 때 하규(下邽) 사람 적공(翟公)이 정위(廷尉) 벼슬에 있었다. 빈객이 문 앞을 늘 가득 메웠다. 자리에서 밀려나자, 그 많던 손님의 발길이 뚝 끊겨 대문 앞에 참새 그물을 칠 정도였다. 얼마 후 그가 원직에 복귀했다. 빈객의 발길이 다시 문 앞에 줄을 섰다. 적공은 말없이 대문 앞에 방문을 써 붙였다. "한 번 죽을 뻔하고 한 번 살아나자 사귐의 정을 알겠고, 한 번 가난하다가 한 번 부자가 되매 사귐의 태도를 알겠다. 한 번 귀하게 되고 한 번 천하게 되자, 사귐의 정이 드러났다.(一死一生, 乃知交情. 一貧一富, 乃知交態. 一貴一賤, 交情乃見.)" 사마천의 '사기(史記)' 중 급정열전(汲鄭列傳)에 나온다. 찾아온 자들이 뜨끔해서 물러났다.

 

추사 김정희는 '세한도제발(歲寒圖題跋)'에서 이끗이 다하면 사귐도 멀어지는 염량세태를 통탄하며 적공의 방문(榜文)이 박절하기 짝이 없다고 했다. 전후할 것 없이 방문객의 목적은 자신들의 이끗에 있었지, 적공이 좋아서가 아니었다. 뻔한 이치인데 새삼 방문까지 써 붙여 나무란 것은 피차 민망하지 않으냐는 얘기다.

 

참 기가 막힐 일이 아닌가?  잘 나갈 때는 입속의 혀처럼 비굴하게 굽실대던 자들이 실족하여 미끄러지자 거들떠도 안 본다. 그때 가서 내가 고작 이런 인간이었던가 하고 탄식한들 무슨 소용인가. 적공은 속물들에게 분풀이할 기회라도 가졌지만, 한번 밀려난 권력은 대부분 참새 그물 속에 갇힌 채 끝이 나니 문제다.

 

가깝게 지내던 집안 서숙(庶叔)이  면앙정(俛仰亭)  송순(宋純)에게 말했다. "지방에서 올라온 재상 중에 죽어 서소문으로 나가는 사람은 봤지만 살아 남대문으로 나가는 사람은 여태 못 보았네." 벼슬길에 한번 발을 들이면 죽기 전에는 권력을 놓지 않으려 들기에 한 말이었다. 뒤에 송순이 개성유수를 지내다가 고향으로 돌아갈 때 서숙이 강가로 배웅을 나왔다. 송순이 말했다. "제가 이제 제 발로 남대문을 나갑니다." 그러고는 뚜벅뚜벅 남대문을 나서며 뒤도 돌아보지 않았다. 허균(許筠)의 '성옹지소록(惺翁識小錄)'에 나온다. 권력이란 원래 허망한 것이다. 방문을 써 붙이는 분풀이가 소용없다. 늦어 더 큰 욕을 보기 전에 제 발로 툴툴 털고 걸어나가는 게 맞는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장불로 (深藏不露)  (0) 2015.06.14
상생패신(傷生敗身)  (0) 2015.06.13
육회불추(六悔不追)  (0) 2015.06.11
풍중낙엽 (風中落葉)  (0) 2015.06.10
심원의마(心猿意馬)  (0) 2015.06.09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