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호질(虎叱)'의 행간

 

'호질'은 '열하일기'에 실려 있다. 북경으로 향하는 길목인 옥전현(玉田縣)을 지날 때, 심유붕(沈有朋)이란 이의 점포 벽에 걸려 있던 것을 베꼈다는 글이다. 작품 서두에서 범은 영특하고 거룩하고 문무를 갖추었으며, 자애와 효성, 지혜와 어짊을 지닌 용맹하고 웅장한 천하무적의 존재로 그려진다. 그런데 바로 뒤이어 그 범조차 꼼짝 못하고 쩔쩔매는 존재들이 등장한다.

 

비위와 죽우(竹牛), 자백(玆白)과 맹용 같은 짐승들이 그것이다. 범이 사람을 잡아먹으면 그 넋이 창귀가 되어 범의 하수인 노릇을 한다. 그들의 이름은 굴각(屈閣), 이올(彛兀), 육혼 등이다. 무슨 말인가?

 

범의 앞에 붙은 수식어는 청나라 황제의 존호(尊號) 앞에 붙는 표현을 조금 바꿔 조합했다. 범은 청나라 황제의 은유다. 그 대단한 범조차 두려워 떨게 만드는 비위와 죽우, 맹용 같은 짐승들은 티베트, 몽골, 신장 등의 북방 이민족이다. 범의 하수인 노릇을 하는 창귀는 한족(漢族)의 지식인들이다. 작품은 범이 밤중에 사람 고기를 먹으러 산을 내려왔다가 위선적 지식인인 북곽선생을 만나 그 가증스러운 요설에 일장 훈계로 일갈하고, 더럽다며 먹지도 않고 떠나버린다는 내용이다. 연암은 작품 뒤에 따로 한편의 글을 더 남겨, 당시 청나라의 고민을 겹쳐 읽었다.

 

'열하일기' '반선시말(班禪始末)'에서는 티베트 불교 지도자인 판첸(班禪) 라마에게 몸을 낮춰 경배하는 청 황제의 속내를 꿰뚫어 보았다. 황제가 열하까지 온 것은 "뇌를 누르고 앉아 몽고의 멱통을 틀어쥐려는 것일 뿐"이라고 분석했다. 또 "티베트(西番)는 특히나 사납고 추악해서 괴수처럼 기괴하니 두렵다. 회자(回子)는 옛날의 위구르인데 더더욱 사납다"고도 했다. 당시 청나라가 이들 북방 민족을 자신들의 통제력 안에 두기 위해 얼마나 고심하고 있었는지 연암은 '열하일기' 곳곳에서 명쾌하게 풀어 보였다.

 

당시 청나라의 이러한 고민은 지난 올림픽 때 티베트 사태나, 위구르 자치구 우루무치에서 최근 발생한 유혈사태에서 보듯 현재까지도 진행형이다. 몽골, 티베트, 신장은 여전히 중국의 화약고다. 단 한 번의 여행으로 당시 국제정세의 행간을 탁월하게 읽어낸 연암의 혜안이 새삼 놀랍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표류선과 해저유물선  (0) 2014.12.13
군이부당 (羣而不黨)  (0) 2014.12.12
열하일기 완성본  (0) 2014.12.10
책 읽는 소리  (0) 2014.12.09
기(機)  (0) 2014.12.08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