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불인미군(不忍媚君)

이시백(李時白·1581~1660)은  이귀(李貴·1557~1633)의 아들로 젊어 가난할 때 땔감과 숯을 직접 내다 팔아 부모를 봉양했다. 인조반정에 성공한 후 세 부자가 나란히 정사공신(靖社功臣)에 봉해졌다. 나이 차가 많은 아우 이시방(李時昉·1594~1660)은 나무 팔아 고생하던 시절을 모르고 자랐다. 그 이시방이 회갑을 맞았다. 이시백이 아우의 집에 가니 장막과 잔치 도구가 몹시 사치스러웠다. 여종조차 비단 옷을 입고 있었다. 수십 가지 좋은 음식이 상에 가득 담겨 나왔다.

 

이시백이 벌떡 일어나 눈물을 흘리며 말했다. "아우는 부모님이 겪으신 가난을 모르겠지. 내가 종일 나무해서 내다 팔아 그것으로 겨우 먹고살았었네. 부모님이 입으신 옷도 하도 꿰매 누더기에 가까웠지. 옛 시절을 생각한다면 어찌 이리 할 수 있겠는가? 이런 사치는 내가 차마 볼 수가 없으이." 이시방이 따라 울고 잔치를 그 자리에서 파했다.

 

1646년 나라에서  이시백에게 집 한 채를 하사했다. 그 집 섬돌 곁에 금사낙양홍(金絲洛陽紅)이란 이름난 꽃이 있었다. 중국에서 온 것이라고들 했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일꾼들을 이끌고 왔다. 공이 연유를 묻자 명을 받들어 그 꽃을 대궐로 옮기려 한다는 것이었다. 이시백은 의복을 갖춰 입고 직접 뜨락으로 내려가 뿌리까지 파내더니 꺾어 부러뜨려 버렸다. 그러고는 말했다. "지금의 나라 형세가 아침저녁을 보전하지 못할 지경인데 주상께서 어진이를 구하지 아니하고 이 같은 꽃을 구하는 것이 웬 말인가? 내가 차마 꽃을 가지고 임금에게 아첨하여 나라 망하는 꼴을 보지 못하겠네(不忍媚君). 너는 이 뜻으로 가서 아뢰거라." '해동속소학(海東續小學)'에 나온다.

 

같은 얘기가 '좌계부담(左溪裒譚)'에도 실려 있다.  꺾은 꽃이 왜철쭉이라 한 것이 다르고, '주상께서 와신상담(臥薪嘗膽) 해야 할 때에 어느 겨를에 기화이초(奇花異草)를 기르신단 말이냐? 내가 중임을 맡고서 감히 잡초로 주상의 뜻에 영합할 수는 없다'며 꽃을 짓밟아 버렸다고 적었다. 효종이 "내 잘못이다" 하고는 참회해 마지않았다는 말이 덧붙어 있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인인소(笑人人笑)  (0) 2015.09.14
요동백시(遼東白豕)  (0) 2015.09.13
처세육연 (處世六然)  (0) 2015.09.11
고태류극  (0) 2015.09.10
백재고잠 (栢在高岑)  (0) 2015.09.09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