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이백과포 (以帛裹布)

고전문학  올해 탄신 100주년을 맞은 박목월 선생의 수필집을 정리하다가 '명주안감'이란 글을 읽었다. 아들은 아침저녁 10리씩 걸어서 학교에 갔다. 혹독한 겨울 날씨에 내의를 안 입은 채 광목옷이 빳빳이 얼면 사타구니가 따가웠다. 어머니는 아버지의 헌 명주옷을 뜯어 아들의 바지저고리에 안을 받쳐 주었다. 살결에 닿는 감각이 간지러울 정도로 부드럽고 따뜻했다.

 

우연히 손자의 옷 안자락을 보게 된 할아버지가 불벼락을 안겼다. "당장 벗어라." 그러고는 어린 것을 저리 키워 뭐에 써먹느냐고 펄펄 뛰었다. 그날 밤 어머니까지 큰댁으로 불려가 할아버지의 큰 꾸중을 들어야만 했다. 손자는 다시 그 옷을 입지 못했다. 훗날 선생은 그때의 소동에서 한 그루 교목(喬木)처럼 실팍하고 굳세게 자녀를 기르시려는 할아버지의 준엄한 마음을 읽었고 어머니의 따뜻한 사랑을 기억했다.

 

김언종 교수가 번역해  실학박물관에서 새로 펴낸  다산의 잡록 '혼돈록(餛飩錄)'을 보니 '이백과포(以帛裹布)'의 항목이 보인다. 당시 우리나라의 조복(朝服)이 여름엔 모시를 쓰는데 비단으로 안감을 대서 겹옷으로 만들었다. 정조가 이를 금지시켜 겉의 천이 모시이면 안감 또한 모시를 두게 했다. 정조의 이 같은 조처는 '예기(禮記)' '옥조(玉藻)'편에서 "베옷에 비단으로 안감을 두는 것(以帛裹布)은 예가 아니다"라고 한 데서 나왔다.

 

모시로 옷을 지어놓고  안에다 비단을 대는 것은  겉은 소박한 체하고 속으로는 사치를 부린 것이다. 겉 다르고 속 다른 행동이기에 비례로 여겼다. 겉과 속이 한결 같아야 명실상부(名實相符)가 된다. 표리부동(表裏不同)은 용납할 수 없다. 조정 대신이 비단으로 된 조복을 입는다 해서 나라의 체통이 깎일 일도 아닌데 비단으로 안감 대는 것조차 임금은 허락하지 않았다. 낡아 못 입게 된 아버지의 명주옷을 재활용해 자식 옷의 안감을 대준 것마저 할아버지는 용서하지 않았다. 당장 그 옷을 벗겼다. 불편해도 정신의 가치를 붙든다. 겉 다르고 속 다른 행동은 하지 않는다. 아무리 자식이 귀엽고 귀해도 차고 맵게 키운다. 지금은 어떤가?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류서행(細柳徐行)  (0) 2015.04.11
필패지가(必敗之家)  (0) 2015.04.10
교자이의(敎子以義)  (0) 2015.04.08
척확무색(尺蠖無色)  (0) 2015.04.07
이명비한(耳鳴鼻鼾)  (0) 2015.04.0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