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취모구자(吹毛求疵)

목은(牧隱) 이색(李穡·1328~1396)의 '선동자영(選動自詠)'이란 시 중에 이런 대목이 있다. "늙고 낮음 탄식하여 다투어 내달려서, 남 밀쳐내 곧바로 위태롭게 만들고자, 터럭 불어 흠집 찾아 서로서로 헐뜯으며, 몸을 숨겨 모략하니 더욱 가소롭구나(嘆老嗟卑競馳逐, 排�直欲令人危. 吹毛求疵或相�, 匿影射人尤可嗤)."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함길도로 순행을 나선 김어사(金御史)를 전송한 시의 끝 두 구절에서 "뒤엉킨 일 풀어낼 솜씨 있음 내 알 거니, 어지러이 취모(吹毛)함을 일삼을 필요 없네(盤錯恢恢知有手, 紛�不必事吹毛)"라고 했다.

 

1456년 쿠데타 성공 이듬해  반대 세력을 역모로 몰아  일망타진하려고 조정에서 이계전(李季甸) 등의 처벌을 청했을 때 세조는 "이계전은 원훈(元勳)으로 마음이 충직하다. 죄의 정상이 드러났다면 죄 주는 것이 옳으나,정상이 드러나지 않았는데 취모구자(吹毛求疵)한다면, 대체(大體)에 손상이 있으리라"하며 끝내 허락하지 않았다.

 

세 글에 모두 취모구자(吹毛求疵)란 말이 나온다.  짐승의 몸에 난 사소한 흠은 털에 가려 잘 보이지 않는다. 입으로 불어 헤치면 안 보이던 흠집이 드러난다. 취모구자는 남의 잘 보이지 않는 허물까지 각박하게 캐내 비난하는 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한비자' 대체(大體) 편에서 "터럭을 불어서 작은 흠집을 찾지 않고, 알기 어려운 것을 때를 씻어내면서까지 살피지 않는다(不吹毛而求小疵, 不洗垢而察難知)"라 한 데서 나왔다.

 

송강 정철의 시조 한 수.    "어화 동량재(棟樑材)를 저리하여 어이할꼬. 헐뜯어 기운 집에 의논도 하도 할사. 뭇지위 고자자 들고 헵뜨다가 말려는가." 동량의 재목을 어렵게 구해 기울어 위태로운 집을 바로 세우려 한다. 그런데 작업을 진행해야 할 목수들이 일할 생각은 않고 먹통과 자를 들고 이러쿵저러쿵 말만 많으니 장차 이 일을 어찌하느냐는 탄식이다. 인사청문회가 직임의 역량 검증은 뒷전이고 흠집 찾아 망신주기로 된 지 오래다. 자신들도 예외일 수 없는 작은 흠까지 다 꺼내 잠깐만에 파렴치범, 인격 파탄자로 만들어 버린다. 흠잡자고 부는데 안 걸릴 사람이 없다. 피로도가 심하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착슬독서(著膝讀書)  (0) 2015.08.31
산사일등(山寺一燈)  (0) 2015.08.30
물기태성(物忌太盛)  (0) 2015.08.28
기부포비 (飢附飽飛)  (0) 2015.08.27
간저한송(澗底寒松)  (0) 2015.08.2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