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착슬독서(著膝讀書)

퇴계 선생이 산사일등(山寺一燈)을 아꼈다면 이상정(李象靖·1711~17

81)은 착슬독서(著膝讀書)를 강조했다. '저(著)'는 '착'으로 읽으면 딱 붙인다는 뜻이다. 착슬독서란 무릎을 방바닥에 딱 붙이고 엉덩이를 묵직하게 가라앉혀 읽는 독서를 말한다. 아들에게 보낸 편지에서 "모름지기 시간을 아껴 무릎을 딱 붙이고 글을 읽도록 해라. 의문이 나거든 선배에게 물어 완전히 이해하고 입에 붙도록 해서 가슴 속에 흐르게끔 해야 힘 얻을 곳이 있게 된다. 절대로 대충대충 지나치면서 책 읽었다는 이름만 얻으려 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또 다른 편지에서도 "모름지기 마음을 누르고 뜻을 안정시켜 착슬독서 해야만 조금이라도 힘을 얻게 될 것이다. 그저 유유히 날이나 보낸다면 읽어도 읽지 않느니만 못하다"고 했다.

 

이재(李栽·1657~1730)는 과거에  낙방하고 상심해 있는  손행원(孫行遠)에게 부친 편지에서, "합격 소식이 끝내 적막하니 탄식할 만하다. 독서하지 않고 과거 급제의 이름을 바라는 것은 연목구어(緣木求魚)와 다를 게 없다. 네 나이 이제 서른이니 아직 늦지 않았다. 이제부터 다시 시작하거라. 12경사(經史)를 숙독해서 무릎을 딱 붙이고 배고픔을 참아(著膝忍飢) 익숙해질 때까지 읽어라"고 적었다.

 

조종경(趙宗敬·1495~1535)이  '우음(偶吟)'이란 시에서" 긴 세월 무릎 붙여 책상 절로 구멍 나니, 공부가 그제야 찰찰함을 깨닫겠네(著膝長年榻自穿, 工夫頓覺始涓涓)"라고 노래한 것도 착슬독서의 중요성을 강조한 말이다. 시 중에 책상에 구멍이 났다는 말은 후한(後漢)의 고사(高士) 관영(管寧)이 요동 땅에 숨어 살며 50년간 나무 걸상 하나로 공부하자 나중에는 걸상에 무릎 닿는 부분이 깊숙이 패어 구멍이 났다는 고사다.

 

송나라 때 학자 양시(楊時)가 호전(胡銓)과 만나 "내가 이 팔꿈치를 책상에서 떼지 않은 것이 30년이오. 그런 뒤에야 도에 진전이 있더군요"라고 했다. 이것은 '팔꿈치가 책상에서 떨어지지 않았다(肘不離案)'는 또 다른 고사다. 자고로 공부는 엉덩이가 무거워야 하는 법이다. 사람이 노력은 않고 운 탓만 한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만즉절(弓滿則折)  (0) 2015.09.02
정인매리(鄭人買履)  (0) 2015.09.01
산사일등(山寺一燈)  (0) 2015.08.30
취모구자(吹毛求疵)  (0) 2015.08.29
물기태성(物忌太盛)  (0) 2015.08.28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