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다창파수(茶槍破愁)



지난 주말 ‘한국의 다서’ 작업을 나와 함께 한 유동훈 선생이 연구실에 와서, 갓 나온 하동 첫 우전차(雨前茶)를 우려내 준다. 해차 향에 입안이 온통 환하다. 이 맛은 표현이 참 어렵다. 비릿한 듯 상큼한 생기가 식도를 따라 도미노 넘어가듯 퍼진다.

돌돌 말린 첫 잎은 생김새가 뾰족한 창과 같다 해서 다창(茶槍)이다. 여기에 두 번째 잎이 사르르 풀려 깃발처럼 내걸리면 그것이 일창일기(一槍一旗)다. 그 잎을 채취해 우전차를 만든다. 우전은 이렇게 창 끝에 깃발 하나 또는 둘을 달고 달려온다. 찬 겨울의 눈보라를 견디고, 자옥한 새벽 안개에 잠겨 차곡차곡 한 켜 한 켜 농축한 천지의 화기(和氣)가 창 끝처럼 솟았다. 그 첫 잎이 불기운과 만나 비비고 덖여 빚어진 해차는 절정의 결정체다. 이것을 그냥 차라고 부르기는 미안하다.

이 차가 다시 불을 머금은 물에 몸을 풀어 제 안에 깃든 다신(茶神)을 힘껏 불러낸다. 최적의 불과 최상의 물을 만난 차는 지고지순(至高至純)이다. 말을 붙이면 다 군더더기다. 이때 나는 차가 아닌 대지의 원기를 마신다.

전승업(全承業·1547~1596)은 ‘다창위부(茶槍慰賦)’에서 차 마시는 일을 노래했다. 찬 샘물을 길어 와 차를 넣고 끓인다. 뚜껑을 덮어 김을 막자 보글보글 끓던 찻주전자에 푸른 빛이 떠올랐다. 이윽고 물결이 가라앉아, 마른 입술에 찻물을 적시니 바싹 말랐던 창자가 젖어들며 온몸에 천향(天香)이 풍긴다. 좀 전의 답답하던 마음은 간 데가 없다. 막혔던 오목 가슴도 뻥 뚫렸다. 내려가지 못해 서걱대던 기운이 더는 걸리지 않는다.

전승업은 다창, 즉 차가 근심의 성을 쳐부수는 놀라운 무기(破愁城之利器)라고 했다. 세상 사람들이 이 맛을 몰라 술만 찾아 고래처럼 마셔대고, 마셨다 하면 끝장을 본다. 술이 근심을 잊게 해 준다며 망우군(忘憂君)으로 이름 지었지만, 술은 그나마 없던 덕마저 손상하고 만다. 근심은 잊히는 대신 더해진다. 차는 그렇지 않다. 근심을 깨부수어 녹인다. 내 비록 초라한 띠 집 아래 살아도 흥취는 늘 구름 노을 너머로 넘논다. 좋은 벗과 마주 앉아 첫 해차를 우려내는 토요일 오후! 나는 누구고 여기는 어딘가?//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