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모란공작(牡丹孔雀)

 

 

유득공(柳得恭·1748~1807)'이십일도회고시(二十一都懷古詩)'에서 고려의 개성을 읊은 9수 중 제5수는 이렇다. "고려 때 재상이 살았던 집 가리키니, 황폐하다 비바람에 흙담마저 기울었네. 모란과 공작은 모두 다 스러지고, 노랑나비 쌍쌍이 장다리꽃 위를 난다.(指點前朝宰相家, 廢園風雨土墻斜. 牡丹孔雀凋零盡, 黃蝶雙雙飛菜花.)"

 

예전 고려 때 재상이 살던 집은 흙담마저 기울어 금세 무너져 내릴 판이다. 옛날 권력에 취해 거리낄 것 없던 시절에는 모란이 활짝 핀 정원에 공작새가 놀았을 것이다. 지금은 누군가 빈터에 일군 채마밭에 노랑나비만 난다.

 

고려 신종(神宗) 때 일이다. 참지정사(參知政事) 차약송(車若松)이 특진관 기홍수(奇洪壽)와 함께 중서성(中書省)에 들어갔다. 차약송이 물었다. "공작은 잘 있소?" 기홍수가 대답했다. "고기를 먹다 가시가 목에 걸려 죽었습니다." 이번에는 기홍수가 물었다. "모란을 잘 기르려면 어찌해야 하는지요?" 차약송이 그 방법을 자세히 일러 주었다. 이 이야기를 들은 사람이 말했다. "재상의 직책은 도를 논하고 나라를 경륜함에 있거늘, 다만 꽃과 새만 논하고 있으니 어찌 백관의 본보기가 되겠는가?" 유득공의 위 시는 이 고사를 가지고 지었다.

 

명나라 중종이 화미조(畵眉鳥)를 몹시 사랑했다. 수많은 조롱 속에 한 마리씩 따로 넣어 길렀다. 누가 말했다. "화미조에게 갓 까고 나온 새끼 거위의 골을 먹이면 더 기막히게 운다고 합니다." 천자가 즉시 광록시(光祿寺)에 명해 날마다 새끼 거위 300마리를 잡아 그 골만 빼서 화미조에게 먹이게 했다. 과연 새의 목소리가 더욱 아름다워져서 궁궐의 깊은 정원이 화미조의 맑은 울음소리로 가득했다. 평자가 말했다. "운치야 있겠지만, 천하일을 살펴야 할 천자 가 어찌 이 같은 일을 한단 말인가?"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長箋散稿)' '공작변증설(孔雀辨證說)'에 나온다.

 

재상은 모란과 공작에 취해 나랏일은 뒷전이었고, 천자는 새 울음소리에 빠져 하루 300마리나 되는 새끼 거위의 골을 파냈다. 모란이 탐스럽고 공작이 화려하며 화미조의 소리가 사랑스러워도 무엇을 먼저 해야 할지를 살피지 않았다. 차례가 틀렸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연설설(無然泄泄)  (0) 2019.05.08
흉종극말(凶終隙末)  (0) 2019.05.01
울진 성류굴에서 나온 신라 글자 (窟神受法)  (0) 2019.04.17
말이 참 무섭다(可畏者言)  (0) 2019.04.10
앙급지어(殃及池魚)  (0) 2019.04.04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