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우암의 글과 브로치 외교

 

1668년 현종이 74세의 원로 대신 이경석(李景奭·1595~1671)에게 궤장(几杖), 즉 지팡이와 의자를 하사하며 잔치를 베풀어주었다. 당시 잔치 장면을 그린 세 폭 그림이 보물 930호로 지정되어 남아 있다.

 

우암 송시열(宋時烈·1607~1689)은 이 잔치에 초대받았지만 건강을 이유로 참석하지 않았다. 이경석은 글이라도 보내 기록으로 남겨달라고 부탁했다. 우암은 이경석이 궤장을 하사받게 된 경과를 담담히 적고, 국가에서 원로를 예우하는 미풍을 칭송했다. 이경석은 1650년 효종의 북벌 계획이 밀고로 청에 알려졌을 때, 목숨을 걸고 책임을 자청하여 청에 의해 백마산성에 위리안치된 일이 있었다. 우암은 이 일을 적고 나서, "이로부터 임금께서 공을 더욱 융숭히 알아주었고, 선비들의 마음도 더욱 그를 붙좇게 되었다. 하늘의 보우하심을 받아 장수하고 건강하여(壽而康), 마침내 우리 성상께 은혜로운 예를 받게 된 것은 이 때문이다"라고 덕담하였다.

 

그런데 글 가운데 '장수하고 건강하여(壽而康)'란 표현이 문제가 되었다. 예전 송나라 흠종(欽宗)이 금나라 진영에 구금되었을 때, 손적(孫覿 )이 오랑캐인 금을 칭송하는 글을 바쳐 풀려난 일이 있었다. 이 일을 두고 당시 사람들이 "당신이 오랑캐 진영에서 천리에 순종하여 자기를 몹시 위하였으니 장수하고 건강한 것이 당연하다"고 기롱했다. 주자도 손적의 일을 기록하면서 인용했던 구절이다.

 

이경석은 병자호란 당시 청 태종의 공덕을 칭송한 치욕적인 삼전도 비문을 지은 장본인이었다. 우암은 이 축하의 글에 손적과 관련된 '수이강'의 세 글자를 의도적으로 집어넣어, 자신의 이경석에 대한 불편한 마음을 내색했던 것이다. 웃음 속에 칼을 감춘 모질고도 무서운 글이다. 나라의 존망이 달린 위급한 때에 그인들 그 글을 쓰고 싶어 썼겠는가? 송시열이 조정에 나간 것은 애초에 이경석의 천거에 의해서였다.

 

원효 스님의 법어 중에 이런 말이 있다. "참기 어려운 것을 능히 참는 것이 보살의 행함이요, 말할 수 있는데도 말하지 않는 것이 대인의 마음이다(難忍能忍菩薩行, 可言不言大人心)." 올브라이트 미국 전 국무장관이 브로치로 자신의 의중을 전달하고, 상대에게 휘둘리지 않겠다는 자기 암시의 수단으로 썼다는 기사를 보다가 뜬금없이 왜 이 생각이 났는지 모르겠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4세 급제와 18세 교수  (0) 2014.12.31
정조의 활 솜씨  (0) 2014.12.30
국화 축제  (0) 2014.12.28
명량대첩 축제와 거북선 탐사  (0) 2014.12.27
고락상평 (苦樂常平)  (0) 2014.12.2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