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선

사적跡蹟迹 2023. 12. 5. 09:06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사 적迹蹟跡 찾기

開城市의 최근 모습/ 개 코도 모르면서/ 각국의 왕궁/ 거인흔적/ 계림호 14호분 황금보검의 비/ 격동의 현대사/ 경복궁의 비밀/ 경주 유적지의 옛 모습밀/ 고구려왕조실록(高句麗王朝實錄)/ 고구마.벽창호.억지춘향/ 古代 中國의 형벌/ 고려장의 진실/ 고종 황제의 잊혀진 여인/ 과거/ 光化門밀/ 공짜 자유는 없다/ 국보와 보물/ 국보 탑,종,비/ 國寶 87호 금관총금관과 그밖의 국보급 유물/ 국왕의 뒷이야기/ 그때 그시절/ Greece Meteora/ 그리스메테오라, 대 메테오론 수도원(Megalo Meteoron)/ 그리운 내 친구 / 기네스북에 오른 조선시대 인물/ 김 전총리의 요미우리 신문 강연/ 김종서를 꾸짖은 황희/ 김치(金緻)와 심기원(沈器遠)/ 나라잃은 설음/ 난징의 눈물/ 논개이야기/ 대마도/ 大統領과 娼女 이야기/ 대한민국 건국 / 대한민국 암말 한마리가 미국을 감동 / 대한민국의 역사 /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과 궁궐/ 대한제국 마지막 황실/ The Maya City of Chichen ItzaMexico/ 되돌아오지 않는 그때 / 되새김/ 독도가 왜 우리땅인지 / 독도는 조선땅.1924년 日교과서 / 독도,대마도,간도 모두가 한국땅!!/ 독도의 역사/ 독도의 역사/ 독도 팻말 / 독도 팻말의 비밀 / 獨島팻말의 秘密 / 독일사진 1939-1940 / de Gaulle( 드골 ) 대통령의 서거와 유언/ 러시아가 소장한 북한사진/ 루르드 대성당/ 마음 아린 사진 / 마지막 황실, 잊혀진 대한제국/ 마지막 황태자비 이방자의 일생 / 마포나루/ 만행/ 명성황후 시해범 후손들 '110년만의 사죄'/ 묘비명/ 미.남북전쟁/ 무궁화(無窮花)비/ 미국인 화가 휴버트 보스가 그린1900년도 우리나라 그림/ 바다밑 女王의 전설 / 바미얀 계곡 석굴 군/ 바티칸 내부/ 朴正熙 大統領에/ 백제 유적8곳 유산등제/ 本貫과 貫鄕, 故鄕 / 悲運의 大韓帝國王室/ 사건사고 / 4대문과 4소문 서울/ 4대문과 4소문 서울/ 泗溟大師와 德川家康/ 사라진 사건과 인물들의 기록들/ 사라진 인류 7대 보물/ 사랑과 영혼/ 사적 迹蹟跡 찾기 / 사진으로 보는 중국의 20세기 제국의 최후 / 삶은 이어지고/ 38선 / 3만2천년 전 크로마뇽인들의 그림 실력: 쇼베 동굴 Chauvet Cave / 삼학사(三學士)는 / 상흔(傷痕)/ 세계의 개선문/ 서울의 옛 모습/ 서울25개 구 명칭의 유래/ 세계미스테리 20선/ 세계문화유산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세계사와국사/ 세계에서 위대한 역사도시 베스트10/ 세상에서 가장 슬픈 만남/ 세계에서 가장 위대한 역사도시 베스트10/ 세조(世祖) 임금님 이야기/ 석굴암/ 설날의 의미와 유래/ 성씨고(姓氏考)/ 성웅 이순신/ 송도삼 절[松都三絶] / 스리랑카 시기리야 성(城)/ 스페인 사그라다 파미리아 대성당/ 씨엠립 앙코르의 미소 바욘사원/ 신비의 파라오 투탕카멘(Tutankhamun)/ 실록으로 본 조선의 기인들/ 10.26/ 10.26/ 아리랑에 담긴 秘密 / Our story in two minutes history / 아이스맨 외치(Oetzi The Ice Man) / 安重根將軍의 유묵(遺墨)/ 약속/ ‘에조’ 보고서의 교훈 / 역사 속으로 사라진 사진들 / 역사투영(歷史投影)/ 에티오피아의 진실/ 옛것들/ 옛날 우리/ 옛사진/ 옛적사진들/ 옛적엔/ 옛평양/ 역사추적/ 연등의 유래와 의미.부처님 오신날 / 열성 어필 십이 편 / 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자/ 왕능의 비밀/ 외규장각 의궤 / 외규장각 의궤 / 우리나라 각지방의 명칭별 설명서 / 우리역사 다시보기/ 우리의자화상 60년대/ 우리의모습 1900년대 / 우리의 민낯 / 우리의백자/ 우리의상처/ 우리의자화상/ 우리의자화상/ 위대한 기적터/ 유네스코 등재 우리나라 기록유산/ 625 김일성이 일으킨 625전쟁/ 625/ 625/ 625/ 625/ 625/ 625/ 625 / 625/ 625 90일/ 625미.중/ 625북의선전용사진/ 625상처를 안고 자라는 나무들/ 625영상모음/ 625우리/ 6.25寫眞資料/ 625세계기념비/ 625자료모음/ 625전쟁/ 625전쟁/ 6.25전쟁사12 / 625戰禍/ 625.휴전속내/ 이땅의 한쪽은?/ 이렇게 해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이상한 옛날 자동차/ 이성계와 무학대/ 이승만(국부)대통령/ 李承晩博士의 1942년 육성/ 이승만 1.2.3.4/ 李承晩 청년/ 이승만 후계자는 박정희였다/ 20세기초 일본사/ 인디언과 대한민족의 공통점/ 日本과 中國에서 보는 이순신 / 일본1945년 /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 전, 조선시대 궁궐 모습/ 임거사결(林居四訣)/ 임경업장군 탄생과 일대기/ 잊혀진 과거/ 자선/ 자화상1/ 자화상2/ 제국의 실체/ 장녹수(張綠水)와 연산군/ 적상산 사고(무주史庫)/ 전흔戰痕/ 정난정/ 조명/ 조선시대 天才·奇人 / 조선역대 왕들의 사망 원인/ 조선 역대 왕들의 사망 원인 / 조선조 역대 왕들의 수명/ 조선시대 희귀사진자료 모음/ 조선실록으로 본 담배 이야기/ 朝鮮王陵의 10가지 秘密/ 朝鮮王陵의 10가지 秘密/ 조선시대기록/ 조선왕조계보 전체공개 / 조선왕조연대표/ 조선왕조 임금님들의 일화/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의 조상(濟州夫氏)한국인으로 밝혀졌다/ 종과 조의 다른 점/ 지난 날/ 지명유래/ 1954년 1955년의 대구/ 청백리 맹사성 / 초대 대통령 / 100 Years in 10 Minutes (1911 - 2011 in 10 Minutes) / 추사 김정희 / 추사체란? / 케리前美해병대중장과 흥남철수작전 / 태극기/ / 탑(石塔).비(碑石).종(鐘)/ 터키의 수멜라 수도원/ Turkey Pamukkale/ Treasures of Tutankhamun / 815광복/ 815광복/ 815광복과 625전쟁 / 포로수용소/ 포스타 / Pompeii의 神秘를 벗기다!/ 프란체스카의 일기/ 한국 역사속 ​ 8대 미스테리 (marguerite higgins)/ 한국전에 종군한 유일한 종군 여기자 마게릿 히긴스 (marguerite higgins)/ 한글/ 한국 역사속 9대 미스테리/ 한국 천주교 100년사/ 韓國 最初의 醫師 7人, 獨立鬪士가 되/ 한미동맹 70주년 / 호패 ( 號牌) / 화석fossil,化石 / 황성옛/ 혼유석의 비밀/ 흔적(痕迹)/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되기 전엔/ 희귀 자료와 사진/ 흰두교 석굴/ 휘호(揮毫) / 휴전 이후/ 희귀사진/ 희귀자료/ 히틀러의 유대인 학살 실제 영상/ 외통

美蘇는 한반도의 38선으로
일본 제국을 분할했다

1945년 9월 말 돈 오브라이언(Don O' Brien, 왼쪽)이 38선 인근에서 소련군을 만나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미군 소속 사진가 돈 오브라이언은 1945년 해방 직후 한국에 도착해서 다음해 1월 떠날 때까지 해방 직후의 한국 모습을 기록했다./돈 오브라이언 flickr 계정

1941년부터 1945년까지 전개된 미·일 전쟁은 이상한 전쟁이었다. 만주사변이나 중일전쟁 개전 때와 달리 일본군은 승전에 대한 확신 없이 개전했다. 미국에서 유학했던 일본 연합함대 사령관 야마모토 이소로쿠는 하와이 공습을 성공시킨 후 의심했다. “잠자는 사자를 건드린 것이 아닌가?”

일본은 중화민국을 지원하던 미국과 영국의 기세를 제압한 후, 유리하게 평화협정을 체결할 생각이었다. 1942년 2월 잠수함을 보내 캘리포니아 해안을 포격했지만 본토 상륙작전은 없었다. 4개월 후 미드웨이 해전에서 일본은 항공모함 4척 등을 잃으며 대패했다.

이후 일본군은 계속 밀렸다. 승전에 기반한 평화협상이 불가능해지자 패전에 대비한 외교가 시작되었다. 일본이 패전 외교로 시간을 끌지 않고 좀 더 일찍 항복했다면 한반도는 소련 참전 이전에 해방되어 분단을 피할 수 있었다.

“덴노(天皇)와 한반도는 포기 불가”

이기기 위한 승전 외교 이상으로 힘든 것이 패전 외교다. 난파선의 선원들이 어떻게 처신하느냐에 승객들의 목숨이 달려 있다. 일본제국의 외교관들은 최대한 유리하게 지려고 했다.

일본에 가장 유리했던 종전 방식은 교전선(交戰線)에 따른 공간 분할(uti possidetis) 방식이었다. 이 방식에 따라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일본은 동남아시아, 대만, 한반도, 만주 등을 계속 장악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침략전쟁의 결과를 인정하지 않는다.”라는 미국의 스팀슨 독트린과 충돌했다.

다음으로 일본에 유리했던 것은 전쟁 이전 상태 회복(status quo ante bellum) 방식으로 평화협정을 체결하는 것이었다. 이 경우 전쟁 이전 시점을 어디로 보느냐가 중요했다. 1941년 12월 미·일 전쟁 개전 이전인가? 아니면 1937년 중일전쟁, 또는 1931년 만주사변 발발 이전인가? 1931년 이전 상태, 즉 베르사유 평화체제로의 회복을 조건으로 평화협정을 체결하면 일본은 대만과 한반도에 더해서 서태평양 일대까지 차지할 수 있었다.

그러나 루스벨트와 처칠은 이미 1943년 1월 카사블랑카에서 “무조건 항복” 원칙을 천명해 놓았다. 미국, 영국, 그리고 중화민국(현재의 대만)은 1943년 12월 카이로에 이어 1945년 7월 포츠담에서 전쟁 책임에 따른 징벌적 재조정 방식으로 공간을 재획정 했다. 일제는 마지막까지 천황제 폐지나 히로히토의 퇴위, 그리고 한반도 해방은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다.



1945년 7월 9일 미 육군 공보처에서 발행한 전황 지도의 개략도. 회색으로 표시된 곳이 당시 일본군 주둔 지역이다. 1945년 8월 9일 소련군이 참전한 후 소련군과 미군의 작전구획선으로 38선이 설정됐다. /그래픽=양진경

일본 항복은 소련군 참전 덕분?

1945년 8월 15일 항복에 반대하는 일본군의 궁정 반란을 뚫고 히로히토의 녹음 연설이 방송되었다. 그의 항복 결정에는 히로시마(8.6)와 나가사키(8.9) 원폭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최근 미국의 원폭보다 유럽에서 독일군을 꺾은 소련군의 참전이 더 결정적이었다는 주장이 확산하고 있다. 중립조약을 맺고 있던 소련의 중재를 통한 평화교섭이 불가능해지면서 항복 결정이 이루어졌다고 보는 것이다.

소련 참전의 영향을 강조하는 주장은 일본이 불필요하게 원폭 피해자가 되었다고 보는 입장과 맥을 같이한다. 도쿄 전범재판 당시부터 미국이 지정한 미군 변호사는 일본의 전범들을 변호하면서 미국의 원폭 결정을 물고 늘어졌었다.

1959년에 만들어진 “히로시마 내 사랑”이라는 프랑스-일본 합작 영화는 대중의 사랑을 받으며 미국의 원폭에 대한 적개심을 널리 확산시켰다. 독일군과 동거했던 프랑스 여인이 종전 후 프랑스인들에게 머리를 깎이는 등의 수모를 당한 것과 히로시마 원폭 피해를 오버랩시킨 영화였다. 피해자들에 대한 동정심과 원폭에 대한 공포는 이후에도 여러 영화들의 흥행을 촉진하며 미국의 가해와 일본의 피해를 부각시켜왔다.

원폭으로 전쟁을 끝낸 이유

소련군의 참전이 일제의 항복에 영향을 미친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8월 9일 소련군의 참전도 8월 6일 히로시마 원폭 이후의 일이었다. 히로히토의 항복 결정은 제3의 원폭이 도쿄 황궁에 떨어질지 모른다는 공포와 무관하지 않았다. 반인반신처럼 조작된 덴노의 이름으로 전쟁이 수행되었던 것처럼 종전에서도 히로히토의 결정이 필요했다. 당시 미국은 2개의 원폭밖에 없었지만, 그가 그런 사실을 알 리 없었다.

1945년 6월에 끝난 오키나와 전투는 미국의 원폭 사용 결정에 영향을 미쳤다. 일본군 약 8만 명 이외에도 오키나와 주민 약 8만 명이 일본군의 결사 작전에 희생되었다. 미군도 태평양 지역 단일 전투 최대 전사자(약 1만2000명)를 기록했다. 제주도를 비롯한 한반도와 일본 본토에서 미군의 상륙작전이 전개된다면 훨씬 더 많은 군인과 민간인들이 희생될 수밖에 없었다.

원폭 이후 한반도 해방과 삼팔선

“(한반도) 해방은 우리가 자고 있을 때 도둑같이 왔다.” 당대를 살았던 ‘씨알 사상가’ 함석헌의 회고다. “전쟁이 몇 해만 더 계속되었다면 어찌 되었을까? 생각만 하여도 소름이 끼치는 일”이었다. 이 사실을 모르거나 부정하면 “해방을 다시 도둑질당하게 된다”는 것이 그의 경고였다.

대한민국 임정 주석 김구에게 일본의 항복 소식은 “희소식이라기보다 하늘이 무너지고 땅이 갈라지는 느낌”이었다. “미국 육군성과 긴밀한 합작을 이루었는데 한 번도 실시하지 못하고 왜적이 항복한 것이다. 이제껏 해온 노력이 아깝고 앞일이 걱정이었다.”

히로시마에 원폭이 투하되자 8월 15일 이전에는 참전하기 어렵다던 소련은 8월 9일 만주에서부터 경성(서울)을 향해 빠르게 진격했다. 미군은 아직 오키나와에 있었다. 미국은 소련에 북위 38도선으로 작전구획을 나눌 것을 제안했다. 38도선 이남에 서울, 그리고 일본군이 만든 미군과 영연방군 포로수용소가 있다는 점이 고려되었다.

랴오닝(遼寧)반도 남단의 다롄(大連)과 평양 남쪽을 확보할 수 있는 북위 39도선도 고려되었지만 채택되지 못했다. 러일전쟁 때부터 군사적 요충지였던 다롄을 소련이 양보할 리 없었다. 당시 미국과 소련의 정책 결정자들이 삼팔선을 그어 분할 점령하려고 했던 것은 한국이 아니라 항복 이전의 일본제국이었다.

공간은 나뉘었지만... 시간과 인간은 쉽게 나뉘지 않는다.

한반도 분단은 임정 주석 김구의 탄식처럼 한민족이 해방의 주역이 되지 못했던 데 큰 원인이 있었다. 제2차 세계대전 중에 대한민국 임정이 국제적으로 승인되고 한반도 해방 작전의 주역이 되었다면 삼팔선은 미군과 소련군의 작전분계선에 불과했을 것이다. 그러나 영국군과 미군의 일원으로 참전했던 한인들의 수는 일본군으로 참전한 조선인들에 비해서도 턱없이 적었다.

종전 이후 소련군 대위였던 김일성은 이승만이나 김구의 귀국보다 빠르게 원산에 상륙했다(1945.9.19.). 김일성을 원산까지 수송한 소련 선박도 사실은 미제(美製)였다. 그 배는 미국이 2차 세계대전 당시 군수용으로 대량 생산한 2700여 척의 리버티 선박들 중 한 척으로 1943년 미국이 소련에 원조한 것이었다.

한반도에 들어온 김일성은 자신을 “조국 해방전쟁”의 영웅으로 만들고 싶었다. 그렇게 미화된 김일성은 흑백투표함 선거 등을 통해 정권을 잡았다. 1945년 일제에 맞선 “조국 해방전쟁”에 참전한 적이 없던 김일성은 1950년 미제에 맞선 “조국 해방전쟁”이라며 6·25전쟁을 일으켰다. 배후에는 1949년 미국의 원폭을 복제한 스탈린과 국공내전에서 승리한 마오쩌둥이 있었다. 이후 3년 이상의 전쟁을 통해 삼팔선은 군사분계선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위성사진이 보여주는 군사분계선 이남과 이북의 차이는 확연하다. 이 선을 국경선으로 만들려는 움직임이 남북 양쪽에 존재한다. 그렇게 되면 자칫 북한 지역도 과거 간도처럼 상실할 수 있다. 군사분계선 이남만의 평화와 발전도 일장춘몽에 그칠 것이다. 약 80년간 공간이 나뉘었다고 해서 수천 년 한반도의 시간(역사)과 인간(민족)이 쉽게 나뉠 리 없다.

[김명섭의 그레이트 게임과 한반도] [20·끝] 2차 세계대전 종전과 한반도 해방/ 김명섭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입력2024.02.01. 03:00업데이트2024.02.01. 06:25/조선일보






'사적跡蹟迹'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승만 1.2.3.4  (1) 2024.02.14
10.26  (0) 2024.02.06
국부 이승만 대통령 2  (1) 2023.11.15
휴전 이후  (0) 2023.11.09
이승만 후계자는 박정희였다  (2) 2023.10.15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