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
외통궤적 | 외통인생 | 외통넋두리 | 외통프리즘 | 외통묵상 | 외통나들이 | 외통논어 |
외통인생론노트 | 외통역인생론 | 시두례 | 글두레 | 고사성어 | 탈무드 | 질병과 건강 |
생로병사비밀 | 회화그림 | 사진그래픽 | 조각조형 | 음악소리 | 자연경관 | 자연현상 |
영상종합 | 마술요술 | 연예체육 | 사적跡蹟迹 | 일반자료 | 생활 | 컴퓨터 |
1950年 주한 미군 기지관리사령부 사진 150장 · 동영상 40여개 인터넷 공개 6·25전쟁 당시 미군 사진사들과 카메라맨들이찍은 사진과 동영상이 인터넷을 통해 공개됐다.6일 미 군사전문지인 성조지(Stars and Stripes)에 따르면, 주한미군 기지관리사령부(IMCOM-K)는 미 국방부 자료실로부터 6·25 전쟁 관련 동영상 40여개와 사진 150장을 입수, 웹사이트에 올렸다. 기지관리사령부 공보관 에드워드 존슨씨는 "이들 사진과 동영상들은 한국전과 그 이후 시기에 대한 역사적 정보의 보고(寶庫)"라고 말했다고 성조지는 전했다. 사진에는 전쟁 중 폐허로 변한 도시의 모습과 한국군·미군의 전투 모습 등이 다양한 형태로 담겨 있다. 맥아더 유엔군사령관의 전장 시찰,인기 코미디언 보브 호프와 여배우 마릴린 먼로가 미군을 위문하는 장면 등도 포함돼 있다. 동영상 가운데는 6·25 전쟁 격전지의 전투는 물론, 6·25전쟁 후 한국민의 생활상을 생생하게 볼 수 있는 내용도 들어 있다. 사진은 http://www.flickr.com/photos/imcomkorea/sets/72157607808414225/에서, 동영상은 http://kr.youtube.com/warinkorea에서 볼 수 있다. July 18, 1950. Breeding. (Army) 24 보병연대가 전선으로 이동하고 있다. 2. Railroad cars loaded with barbed wire at Taegu RTO (Railway Transportation Office), Korea. July 24, 1950. Sgt. Riley. (Army) 철조망을 싣고 대구역을 출발하는 화물 열차. 3. Wounded American soldiers are given medical treatment at a first aid station, somewhere in Korea. July 25, 1950. Pfc. Tom Nebbia. (Army) 부상병이 의무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deserved rest during his evacuation to Pusan, Korea, on a hospital train. He was wounded by enemy mortar fire on front lines. July 29, 1950. Sgt. Dunlap. (Army) 북한군의 박격포 공격으로 부상 당한 병사가 부산으로 이동하는 열차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다 Dr. Syngman Rhee speak to the United Nations Council in Taegu, Korea.July 30, 1950. Sgt. Girard. (ARmy) 대구에서 이승만 대통령의 연설을 듣기 위해 군중이 모여 있다 To the aft a Marine is washing his dungarees by dragging them along behind the ship.July 1950. Sgt. Frank C. Kerr. (Marine Corps) 해군 병사들이 배 난간에 기대어 쉬고 있다 James Grahn of Co. B, 71st Sig. Svc. Bn., Pusan, Korea.August 1, 1950. Cpl. Crowe. (Army) 3개의 BD-100A와 BD-96을 제임스가 조작하고 있다 somewhere in Korea.August 6, 1950. Sgt. Dunlap. (Army) 상륙후 부두에서 쉬고 있는 미군 병사들 24th Infantry Regiment, reads the latest news while enjoying chow during lull in battle, near Sangju, Korea.August 9, 1950. Pfc. Charles Fabiszak, Army. (USIA) 전투가 소강 상태일 때 무전병이 신문을 보며 음식을 먹고 있다 supply port of Pusan, are shown prior to moving up to the front lines. August 1950. INP. (USIA) 새로 도착한 미 해병 대원들이 전선으로 이동하기 전의 모습 Maeson Dong.September 2, 1950. Sgt. Turnbull. (Army) 전사자 모습 Naktong River.September 3, 1950. Cpl. Thomas Marotta. (Army) 9보병연대 병사들과 M26 탱크가 북한군의 낙동강 도강에 대비히고 있다 He wear a "Prisoner of War" tag and was treated in accordance with United Nations' rules of international warfare. September 4, 1950. S. Sgt. Walter W. Frank. (Marine Corps) 북한군 포로의 모습, 그는 '전쟁 포로'라는 판을 목에 걸고 유엔법에 따라 관리되었다 Inchon,September 15, 1950. Sgt. Frank C. Kerr. (Marine Corps) 해병대를 태운 상륙정이 인천 해변으로 향하고 있다 Ichon, Korea. Four LST's unload men and equipment on beach. Three of the LST's shown are LST-611, LST-745, and LST-715. September 15, 1950. C.K. Rose. (Navy) 4척의 상륙정으로부터 병력과 장비가 내려지고 있다 Inchon.September 15, 1950. S.Sgt. W. W. Frank. (Marine Corps) 사다리를 싣고 인천 상륙을 위해 상륙정에 승선한 해병들 in "mop-up" of Wolmi Island, gateway to Inchon.September 15, 1950. Sgt. Frank C. Kerr. (Marine Corps) 인천의 관문인 월미도에서 북한군을 소탕 중인 해병대 "The Shores of Tripoli" in the Marine Hymn, Leathernecks use scaling ladders to storm ashore at Inchon in amphibious invasion September 15, 1950. The attack was so swift that casualties were surprisingly low. S.Sgt. W.W. Frank. (Marine Corps) 해병들이 사다리를 이용해 인천 해안에 상륙하고 있다. 이 공격은 신속했으며 부상자는 놀랄 정도로 적었다. Gen. Douglas MacArthur,Commander in Chief of U.N. Forces; and Maj. Gen. Edward M. Almond observe the shelling of Inchon from the U.S.S. Mt. McKinley, September 15, 1950. Nutter (Army) 상륙 작전중 인천 해안을 살피는 맥아더 사령관 after elements of the 1st Marine Div. and South Korean Marines invaded the city of Inchon,in an offensive launched against the North Korean forces in that area. September 16, 1950. Pfc. Ronald L. Hancock. (Army) 어린 소녀가 길가에 앉아 울고 있다. 미해병과 한국 해병이 인천에 상륙한 직후. Pusan Stadium during his visit to the fighting front. He died shortly after his return from Koera where he gave of his talent untirigly and unceasingly. He made the trip at his own expense. September 17, 1950. Kondreck. (Army) al jolson이 부산 운동장에서 공연을 하고있다 그는 자비로 공연을 했으며 한국에서 돌아간 직후 사망했다. Kimpo Airfield, is again in friendly hands, upon recapture of field. September 18, 1950. Sgt. Frank C. Kerr. (Marine Corps) 북한군의 공격으로 김포 공항에서 파괴된 비행기가 1950년 9월18일 다시 미군의 손에 들어왔다. Inchon Harbor, Korea, aboard LST's. September 18, 1950. Hunkins. (Army) 31연대 병력이 인천에 상륙하고 있다. taken prisoner in the Sindang-dong area by elements of the 389th Inf. Regt., are interrogated by a U.S. soldier shortly after their capture. September 18, 1950. Pfc. Francis Mullin. (Army) 신당동에서 미군에 잡힌 북한 소년병이 신문을 받고 있다. after being wonunded while crossing the Naktong River in Korea.September 19, 1950. Cpl. Dennis P. Buckley. (Army) 낙동강을 건너다 부상 당한 병사가 들것에 누워 있다 Seoul, Korea.September 20, 1950. Lt. Robert L. Strickland and Cpl. John Romanowski. (Army) 시가전 중인 유엔군 village street.September 26, 1950. S. Sgt. John Babyak, Jr. (Marine Corps) 탱크가 포로 행렬을 따르고 있다 U.S. Flag at American consulate in Seoul,while fighting for the city raged around the compound. September 27, 1950. Sgt. John Babyak, Jr. (Marine Corps) 미영사관에 성조기를 게양하고 있다 wholesale murder at Chonju by North Koreans.September 27, 1950. M. Sgt. E. T. Tarr. (Army) 북한군에 의해 대량 학살된 시신 옆에서 오열하고 있는 한국인 Suwon, Korea.The tank was caught on a bridge and put out of action by the Air Force. October 7, 1950. Marks. (Army) 공군의 폭격으로 파괴된 다리 위의 탱크 Pohang. Most buildings that housed red troops were destroyed. October 17, 1950. (Navy) 한국군 헌병이 무너진 건물 앞에서 포즈를 취하고 있다 Seoul, Korea.The capitol building can be seen in the background (right). October 18, 1950. Sfc. Cecil Riley. (Army) 서울의 주거지의 파괴된 모습. 멀리 중앙청이 보인다. cross the new railroad bridge which they built across the Han River at Seoul, Korea.October 19, 1950. Sfc. Albert Guyette. (Army) 한강에 새로 건설된 철교에 처음으로 지나가는 기차 앞에서 62공병대 병사들과 사병들 Chong Jin, Korea,in effort to cut Northern Korean communications. Chong Jin is only 39 miles from the border of China. October 21, 1950. (Navy) 북한군의 통신 단절을 위한 청진에서 16인치포 일제사격, 청진은 중국에서 39마일 떨어져 있다. Seoul, Korea.October 23, 1950. Capt. Bloomquist. (Army) 밥 호프의 공연을 보며 웃고 있는 병사들. wing rockets at North Korean communist field positions. October 24, 1950. PhoM3c. Burke. (Navy) 북한군을 향해 로켓을 발사하는 미해군 전투기 cheers at the close of the UN Day ceremony at Seoul.October 24, 1950. Sgt. Ray Turnbull. (Army) 유엔의 날에 마지막에 한국의 부통령(이시영)이 만세를 선창하고 있다 as members of his troupe enterain at Womsan, Korea.October 26, 1950. Cpl. Alex Klein. (Army) 위문 공연을 온 밥 호프와 함께 포즈를 취한 병사들 now living in a refugee camp at Changseung-po, Korea.October 1950. United Nations. (USIA) 마산 근처의 ching pung면에서 피난 온 가족. 지금은 장생포에 있다 materials among the ruins of Seoul, Korea.November 1, 1950. Capt. C. W. Huff. (Army) 폐허가된 서울에서 할머니가 쓸만한 물건을 찾고 있다 Seoul for anything that can be used or burned as fuel. November 1, 1950. Capt. F. L. Scheiber. (Army) 아주머니와 아이들이 땔감을 찾고 있다 is telling how she escaped the Communist-led North Koreans when they captured Seoul, by hiding in the mountains until the U.N. forces liberated the city. November 8, 1950. Cpl. Robert Dangel. (Army) 한국의 여류시인 모윤숙이 어떻게북한군 치하의 서울에서 탈출했는지 말하고 있다.유엔군이 올때까지 산에 숨어 지냈다 bomb on Korean side of a bridge crossing the Yalu River at Sinuiju, into Manchuria. Note: anti-aircraft gun emplacement on both sides of the river. November 15, 1950. (Navy) 미해군 폭격기가 신의주 압록강 다리를 폭격하고 있다 and try to keep warm beside a small fire in the Seoul, Korea, railroad yards. November 17, 1950. Pfc. Fulton. (Army) 아이들이 먹을 것을 찾고 있다. 추위를 피하기 위해 작은불 옆에 있다. Chongchon River,Sfc. Major Cleveland, weapons squad leader, points out communist-led North Korean position to his machine gun crew. November 20, 1950. Pfc. James Cox. (Army) 청천강에서 북한군 진지를 겨냥하고 있는 병사들 8076th Mobile Army Surgical Hospital at Kunr-ri, Korea. November 27, 1950. Cpl.Fred Rice. (Army) 환자들을 위해서 조지 밀러가 피를 모으고 있다 the snow-covered bodies of dead Marines. Koto-ri, Korea.December 3, 1950. Cpl. W. T. Wolfe. (Marine Corps) 부상당한 목사님이 전사한 해병들을 위해 추도식을 거행하고 있다. cooking rice in their foxhole in the Kagae-dong area, Korea.December 7, 1950. Pfc. Donald Dunbar. (Army) 밥을 짖고 있는 세 병사 until they learn how to walk with a synthetic limb. Pfc. Charles Woody, injured near Taegu, walks on crutches. Walter Reed Mil. Hosp. Washington, DC. December 8, 1950. T. Sgt. Trehearne, USAF; PhoM2c. Knudsen, USN. (USIA) 부상 당한 병사들은 의족 의수를 어떻게 쓰는지 익숙해 질 때 까지 휠체어와 목발에 의지했다. Communist Forces bearing down on Hungnam, Korea.December 11, 1950. Pfc. Emerich M. Christ. (Army) 공산군의 맹공으로 흥남에서 철수하는 보급품과 장비들 Inchon prior to invasion by U.S. Marines. December 13, 1950. (Navy) UN군의 LST가 인천항으로 들어가고 있다. memorial services at the division's cemetery at Hamhung, Korea,following the break-out from Chosin Reservoir, December 13, 1950. Cpl. Uthe. (Marine Corps) 전사한 미해병들의 무덤에서 추도 행사가 거행되고 있다 ![]() 53. Marines of the First Marine Division pay their respects to fallen buddies during memorial services at the division's cemetery at Hamhung, Korea,following the break-out from Chosin Reservoir, December 13, 1950. Cpl. Uthe. (Marine Corps) 전사한 미해병들의 무덤에서 추도 행사가 거행되고 있다. White Housesigning a proclamation declaring a national emergency. December 16, 1950. Acme. (USIA) 투루먼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 선언문에 서명하고 있다 Hungnam.Here they jam the decks of a South Korean LST and many fishing boats. December 19, 1950. (Navy) 북한의 피난민들이 흥남을 떠나고 있다. Hungnam,while other refugees unload some of their meager belongings from an ox-cart and load them on a fishing boat. December 19, 1950. (Navy) 피난민들이 LST에 승선을 준비하고 있다. 다른 피난민들은 우마차에서 짐을 내려 어선에 옮기고 있다. ![]() 57. The USS Missouri fires 16-inch shell into enemy lines at Hungnam.A 16-inch 3-gun salvo is on its way to commies. December 26, 1950. (Navy) 흥남으로 함폭 사격 중인 미해군 out the enemy from their hillside entrenchments. Billows of smoke rise skyward from the target area. Hagaru-ri.December 26, 1950. Cpl. McDonald. (Marine Corps) 전투기의 근접 지원 후 전진 중인 미해병 who hurled back a surprise onslaught by three Chinese communist divisions,hear that they are to withdraw! Ca. December 1950. Sgt. Frank C. Kerr. (Marine Corps) 중공군의 맹공에 후퇴하는 미군 U.N. Security Council,raises his hand to cast the only dissenting vote to the resolution calling on the Chinese Communists to withdraw troops from Korea. Lake Success, NY. December 1950. INP. (USIA) 유엔안전보장이사회에서 한국에서 중공군의 철수 결의안에 반대표를 던지는 소련 대표. march single file across a rice paddy. 1950 (Marine Corps) 논을 따라 이동중인 북한군 포로들 ![]() 62.U.S. Marines guarding three captured North Koreans, ca. 1950. Sgt. W. M. Compton. (Marine Corps) 미해병이 지키고 있는 북한군 포로 from Pyongyang,the North Korean capital. They recrossed the 38th parallel. 1950. (USIA) 평양으로부터 철수하여 38선을 건너는 유엔군 night in Korea. Ca. 1950. (Marine Corps) 참호에 있는 미해병 swung aboard a barge at the Naval Supply Center by crane, for transhipment to our forces in the Pacific Far Eastern Command. Oakland, CA, 1950. Acme. (USIA) 극동태평양사령부로부터 보급된 탱크가 항구로 내려지고 있다 Suwon Airfield, a 37-mm anti-tank gun is hauled out of the area for repairs, by a weapons carrier. 1950. INP. (USIA) 수원비행장의 한국인들이 철수하는 동안 대전차포가 수리를 위해 트럭에 의해 이동되고 있다 dock and staring quietly at the waiting aircraft carrier before he leaves for Korea. 1950. Black Star. (USIA) 한 장교와 그의 아내가 자동차에 조용히 앉아서 장교가 한국으로 타고 갈 비행기를 기다리고 있다 MD, is shown bidding his wife, Ann, and their 8-month-old son, John Jr., goodbye as he leaves for Korea,1950. Washington Post. (USIA) 작별 인사를 하고 있는 미군 병사 |
▲ 1950. 7. 5. 한 국군 용사의 무덤.
▲ 1950. 12. 18. 대구. 훈련소에서 교육을 마친 신병들이 전선으로 가고자 대구역전 광장에 집결해 있다.
▲ 1950. 12. 18. 전방으로 떠나는 신병들.
▲ 1950. 12. 18. 대구역. "총알을 요리조리 잘 피해서 어예든동 살아오이라."
'어무이 걱정 꽉 붙들어 매이소. 어무이 아들 아잉기요. 내는 꼭 살아돌아올 깁니다."
▲ 1951. 5. 20. 지게부대.
▲ 1950. 7. 7. 기마대 행렬.
▲ 1951. 4. 3. 강대국이 그어놓은 원한의 38선. 이 38선 때문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피눈물을 흘리며 살아왔던가.
▲ 1950. 7. 7.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유엔파병안을 통과시키고 있다.
▲ 1951. 1. 26. 미 폭격기들이 북한군 진지에 폭탄을 떨어뜨리고 있다.
▲ 보급품 공수
▲ 1950. 12. 9. 중공군의 참전으로 혹한 속에 후퇴하는 유엔군.
▲ 1950. 10. 20. 400여 명의 낙하산부대가 평양부근에 투하되고 있다
▲ 1950. 11. 20. 국경지대, 미군들이 소달구지로 보급품을 운반하고 있다.
▲ 1950. 12. 10. 중공군의 참전으로 강추위 속에 후퇴 행렬.
한 병사가 너무 추운 날씨로 모포를 뒤집어쓰고 있다.
▲ 1950. 7. 29. 주야간 전투에 지친 국군 병사들이
▲ 1950. 10. 영동, 생포한 북한 측 유격대원들
▲ 1950. 3. 7. 미군이 중공군 포로의 소지품을 검사하고 있다.
▲첫 北 여성포로들 ▪ 1950년 9월28일 서울에서 미군 병사들이 체포한 북한 여성 포로 2명을 심문하고 있다. 미군 종군기자가 찍은 사진 속 여성 포로는 각각 16세(오른쪽), 19세로 자신들이 간호사라고 주장했으며, 서울 외곽에서 체포된 최초의 여성 포로들이라는 영문 설명이 붙어 있다.
▲수용소에 도착한 포로들중 여성포로도 있다.
▲거제도의 여군포로들
▲1950년 6월 25일 새벽, 구소련 스탈린의 지원을 받은 김일성은 남침전쟁을 감행했다.
▲1951년겨울 한국전선을 시찰하는 중국 팽덕회 장군 (가운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