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朝鮮王陵의 10가지 秘密

 

조선왕릉은 중국 일본서는 찾아 볼 수 없는독특한 형식과 구조를 띠고 있다.세계문화유산 등재를 계기로 조선왕릉만이 간직하고 있는 비밀 10가지를 들여다본다.

1. 조선왕릉은 왜 서울 경기에 몰려 있을까?
강원 영월로 유배돼 비극적 죽음을 맞이한 단종의 장릉(영월군)을 제외한 조선왕릉 39 기는 서울 경기 일대에 모여 있다.왕릉을 한양의 궁궐에서 10리(4km)∼100리(40km) 떨어진 곳에조성했기 때문이다.왕이 왕릉에서 제례를 올리기 위한 행차를 하루 만 에 다녀올 수 있도록 거리를 고려한결과이기도 하다.
 

2. 어느 쪽 봉분이 왕이고 어느 쪽이 왕비까?
태종과 비 원경왕후가 나란히 묻힌 헌릉(서울 서초구 내곡동)의 태종 능 위치는 봉분 뒤에서 봤을 때 오른쪽이다.조선왕릉은 우상좌하(右上左下) 원칙으로 왕이 오른쪽에 묻혔다.덕종의 경릉(경기 고양시)만은 덕종이 왼쪽에,
비인 소혜왕후가 오른쪽에 묻 혔다..덕종은 왕세자로 죽었고 소혜왕후는 아들성종이 즉위해 왕대비로 세상을 떠났 기 때문이다.

. 조선왕릉은 왜 거의 도굴이 안 됐을까?
임진왜란 때 훼손된 성종의 선릉, 중종의 정릉(서울 강남구 삼성동)을 빼고 도굴된 적이 없다.세종의 영릉(경기 여주군) 석실 부재들의 이음매는 대형 철제 고리로 고정했고 입구에 '이중 돌 빗장'을 채웠다.석실 사방은 석회 모래 자갈 반죽을 두껍게 채웠다. 부장품을 의궤에 상세히 남겼는데 부장품으로 모조품을 넣은 것도 도굴을 막은 한 요인이다.

4. 왕과 왕비가 항상 함께 묻히지 못한 까닭은?
왕릉은 당대 정치권력의 향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조성됐다.중종의 두 번째 계비로 명종을 수렴청정한 '여걸' 문정왕후는 중종 옆에 묻히고싶어 중종의 첫 번째 계비 장경왕후의
희릉(고양시) 옆에 있던
중종의 정릉을 삼성동으로 옮겼다.하지만 문정왕후 사후 정릉에 물이 찬다는 이유로 결국 서울 노원구 공릉동에 외로이 묻혔다. 태릉 이다.

6. 최장신 문·무석인은 어디에 있을까?
문석인(문관)과 무석인(무관)은 대체로 사람 키를
훌쩍 넘어 권위를 뽐낸다.가장 큰 문·무석인은 철종의 예릉(고양시),
장경왕후의 희릉에 있다. 3m 이상이다.중종 시대 (16세기)는 석물의 장엄미가 최고조였던 때다.철종은 19세기의 왕이 아닌가.전문가들은 흥선대원군이 왕권 강화를 꿈꾸며 예릉을 위엄있게 꾸몄다고 말한다.

7. 정자각의 계단은 왜 측면에 있을까?
참배자가 동쪽(오른쪽)으로들어가 서쪽(왼쪽)으로 나오도록 설계됐기 때문이다.해 가 동쪽(시작과 탄생)에서 서쪽(끝과 죽음)으로 지는 자연 섭리를
인공 건축물에 활용 한 것. 동쪽 계단은 2개, 서쪽 계단은 1개다.올라갈 때는 참배자가 왕의 영혼과 함께 하지만 내려올 때는
참배자만 내려온다는 것.왕의 영혼은 정자각 뒤 문을 통해 봉분으로 간다고 생각했다.

8. 봉분 뒤에는 왜 소나무가 많을까?

10. 서삼릉에는 왕족의 공동묘지가 있다?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