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한 명장이 듣지도 못한 장수 이순신장군에게 대패를 하였으니 그 충격은 대단했을 것이다. 한 예로 와키자카는 한산대첩 이후로 충격에 6일을 굶었다고 본인이 그렇게 기록 하고 있으니 그 충격은 대단했을 것 같다. 식음을 전폐하고 내가 왜 졌는지 생각하고 고민한 글을 아래와 같이 남겼다고 한다.
'나는 이순신이라는 조선의 장수를 몰랐다. 단지 해전에서 몇번 이긴 그저 그런 다른 조선ㅍ장수 정도였을 거라 생각하였다. 하지만 내가 겪은 그 한 번의 이순신, 그는 여느 조선의 장수와는 달랐다. 나는 그 두려움에 떨려 음식을 몇일 몇날을 먹을 수가 없었으며, 앞으로의 전쟁에 임해야 하는 장수로서 나의 직무를 다할 수 있을지 의문이 간다.'라고 적었다.
2천의 군사로 5만 이상의 조선군을 물리친 일본의 명장이 이렇듯 두려움에 떨 정도였으니, 이후에 와키자카는 여러번 이순신 장군에 대한 본인의 생각과 조선 수군과 있었던전투 내용을 상세히 기록해 두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그가 쓴 내용에
내가 제일로 두려워하는 사람은 이순신이며,
가장 미운사람도 이순신이며,
가장 좋아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며,
가장 흠숭(欽崇)하는 사람도 이순신이며,
가장 죽이고 싶은 사람 역시 이순신이며,
가장 차를 함께 하고 싶은 이도 바로 이순신이다.
적장이지만 와키자카도 멋있는 사람이라고 느껴지는 글이다. 아마 이러한 이유 때문에 400년이 지난 지금도 그 후손들이 이순신장군 탄생일에 오는가 보다.
2. 명의 사신이 본 이순신
그리고 "운덕 " 이라는 명나라의 사신은 후일 이순신 장군에 대해 이렇게 기록했다.
'하루는 어두운 밤 눈이 몹시 내리고 그 바람이 칼날 같아서 살결을 찢는 듯하니, 감히 밖으로 나서지 못하겠더라..
그러한데 그 속을 통제사 영감이 홀로 지나가니, 무슨 까닭으로 이 어둡고 추운 바람 속으로 거닐고 있는걸까?
궁금하던 차에 한번 따라가 보니 통제사 영감이 가고 있던 곳은 바로 왜놈이 잡혀 있는 현장으로 가는게 아닌가...
더욱이 이상하여 더 밟아보니 통제사 영감의 손에는 한권의 책이 있더라.
밖에서 보니 통제사 영감은 그 왜군에게 명심보감 중 효행편을 읽어주고 있는 것이 아닌가.
다음날 알아보니 그 왜군의 나이는 15세이더라. 10살의 어린 나이에 병사가 되어 왔음에 이 아이가 포로가 된후 이를 딱히 여긴 통제사 영감이 별도로 감싸주었던 것 이다. 10살에 포로가 되었으니 벌써 5년이 되었고 그 동안 왜군의 아이는 조선말을 배웠으며 간간히 통제사 영감이 책을 읽어주기도 했다고 한다.
서로 죽이고 죽이는 전쟁이지만, 저 두사람을 보면 어찌 서로를 원수라 하겠는가? 내가 본 저 두사람은 조선 장수대 왜군이 아닌 한 아버지와 아들의 관계로 보였으니.
통제사 염감이 저러하다면, 그의 백성을 아끼는 마음 무엇으로 나타낼 수 있겠는가!
3. 명의 도독 진린이 본 이순신
명나라의 황제 神宗(만력제)은 조선에서 진린 도독으로부터 한통의 서신을 받는다. "황제폐하 이곳 조선에서 전란이 끝나면 조선의 왕에게 명을 내리시어 조선국 통제사 이순신을 요동으로 오라 하소서. 신(臣)이 본 이순신은 그 지략이 매우 튀어날 뿐만 아니라 그 성품과 장수로 지녀야할 품덕을 고루 지닌 바, 만일 조선 수군통제사 이순신을 황제폐하께서 귀히 여기신다면 우리 명(明)국의 화근인 저 오랑케(훗날 淸國)를 견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 오랑캐 땅 모두를 우리 明國으로 귀속 시킬 수 있을 것이옵니다."
"혹여 황제 폐하께서 통제사 이순신의 장수됨을 걱정하신다면 신(臣)이 간청하옵건데 통제사 이순신은 전란이 일어나고 수년간 수십 차례의 전투에서 단 한번도 패하지 않았음에도 조선의 국왕은 통제사 이순신을 업신여기며 또한 조정 대신들 또한 이순신의 공적에 질투를 하여 수없이 이간질과 모함을 하였으며, 급기야는 통제사의 충의를 의심하여 결국에는 그를 조선 수군통제사 지위를 빼앗아 백의종군에 임하게 하였나이다."
"허나 통제사 이순신은 그러한 모함과 멸시에도 굴하지않고 국왕에게 충의를 보였으니 이 어찌 장수가 지녀야할 가장 큰 덕목이라 하지 않을 수 있겠나이까?
조선 국왕은 원균에게 조선 통제사를 제수했으나, 그 원균이 자만심으로 인하여 수백척에 달한 함대를 전멸케 하였고, 단 10여척만이 남았음에 당황한 조선 국왕은 이순신을 다시 불러 조선 수군 통제사에게 봉했으나, 이순신은 단 한번의 불평 없이 충의를 보여 10여척의 함대로 수백척의 왜선을 통쾌하게 격파하였나이다.
허나 조선의 국왕과 조정 대신들은 아직도 잘못을 깨닫지 못하고 또 다시 통제사 이순신을 업신여기고 있나이다. 만일 전란이 끝이 난다면 통제사 이순신의 그 목숨은 바로 풍전등화가 될 것이 뻔하며, 조정 대신들과 국왕은 반드시 통제사 이순신을 害하려고 할 것입니다.
황제폐하 바라옵건데 통제사 이순신의 목숨을 구명해주소서. 통제사 이순신을 황제 폐하의 신하로 두소서. 황제 폐하께서 통제사 이순신에게 덕을 베푸신다면 통제사 이순신은 분명히 목숨이 다하는 날까지 황제 폐하께 忠을 다 할 것이옵니다. 부디 통제사 이순신을 거두시어 저 북쪽의 오랑케(훗날의 청국) 를 견제케 하소서."
4. 책의 저자인 쟝웨이링 교수가 본 이순신
1990년 3월 하북에서 제1차 중.일 합동 연구회(이순신)를 가졌다. 이순신, 내가 알고 있는 이순신은 조선 시대 임진왜란 때 장수였던 정도로 알고 있었다. 사실 이 연구회엔 나의 절친한 동료 학자의 권유로 참석하였으며 그저 잠시나마 자리에 참석할 생각뿐이었다. 사실 조선의 역사에 대해선 그다지 큰 관심이 없던 터라, 나는 그저 일본 교수진들의 말만 들을 뿐.
이러한 내게 작으나마 충격적인 일이 있었다. 조명이 꺼지고 화면 가득 보여지는게 있었으니 그것은 바로 거북선이라고 불리는 배였다. 저런 배가 400여년 전에 있었단 말인가?(본것은 처음이었다) 나의 놀라움은 거기에서 끝나지 않았다. 일본 학자들은 임진왜란에 대해서 나와는 너무나 다른 시각으로 보고 있었다.
아무리 나라가 다르다지만. 그 시각의 차이는 너무나도 크게 달랐다. 더군다나 그 차이는 중일간의 차이가 아니라 바로 조선이라는 나라를 보는 것. 아니 엄밀히 말하자면 조선이 아닌 이순신이라는 한 인간을 보는 것이었다.
일본 교수진들은 이 연구회를 이순신이라고 붙엿다. 즉 임진왜란 자체를 이순신이라는 인물이 중심이 되어서 바라 보고, 찾고, 연구하고, 가설을 붙이는 것이엇다. 이는 우리 중국 어느 누구에게도 연구해 보지 않은 방법이었다. 나는 그 학술회가 끝나자 일본 교수의 도움으로 이순신이란 인물에 대한 책자를 얻을 수 있었다.
7권은 이순신 이라는 인물에 관한 책인데. 나는 그 7권을 단 하루만에 다 읽고 말았다.
책을 손에서 놓은 뒤 내게 있어서 가느다란 한숨과 함께 어디선가 느껴지는 심장의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순신!
참으로 읽으면 읽을수록 수수께끼 같은 인물. 지금까지 우리 중국 학자들은 임진왜란은 일본의 토요토미가 조선을 침략하였으며, 조선의 왕 선조는 그들을 막지 못하고 의주로 몽진을 하여 우리 명나라의 도움으로 가까스로 그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었으며, 그로 인해 明나라는 국력을 소비한 나머지 淸에 의해 멸하고 말지 않앗던가?
이것은 우리 중국과. 한국, 북한. 일본의 역사 교과서에도 별차이 없이 나오는 부분이었다. 그런데이날 연 학술회에선 이 모든 것을 흔들어 버리는 아니 뒤엎는 가설을 내놓은 것이다. 바로 이순신 이라는 이름으로.
5. 장웨이링 교수가 말하는 우리의 거북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