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조선시대 기네스 인물
보통 4-5개의 국어에 능통한 사람을 보고도 천재라고 극찬을 한다.그런데 한사람이 7개국어를 할 수 있다면 어떻게 평가해야 할까.바로 조선조에 영의정을 지낸 범옹 신숙주가 주인공이다. 정치적인 얘기는 접어두고 학자적으로만 평가한다면 그는 뛰어난 언어학자였으며 한국최초의 일본 관련책 해동제국기를 저술하는등 어문학에 많은 족적을 남겼다. 그는 특히 설총의 이두문자는 물론 중국어, 몽고어, 여진어, 일본어등에 능통했으며 인도어, 아라비아어까지도 터득했다고 한다. 명문가답게 일제하 독립투쟁의 주역들인 단재 신채호, 신규식 선생 등이 그의 후손들이다.
76세에 처음 장가들고 99세까지 장수한 홍유손
조선시대 하면 사내아이는 보통 10세를 넘으면 장가를 가게 되는데,무려 76세의 죽을 나이에 첫 장가를 가고 아이를 얻었다는 기록이 있다.장본인은 홍유손.그는 소위 죽림칠현으로 속세를 떠난 청담파를 자처하는 인물이다.76세에 장가를 들어 아들 지성을 낳고 99세까지 살다간 조선시대 기인중의 한명이다. 같은 죽림칠현이자 생육신이었던 남효온은 그를 평해 [글은 칠원같고 시는 산곡을 누빈다]고 하였다. 그는 거의 기인에 가까웠으며 특히 세조가 정권을 잡은 후 김시습, 남효온등과 어울리면서 세상을 비관하고 냉소로 일관하면서 풍자적인 인생을 살았다. 99세의 천수를 누린 그는 역사 인물사전에 나오는 최장수 인물이 되고 있다.
그는 과거에 급제하지 않았다. 우암 송시열의 제자로 당쟁의 한 축이었으며 재야의 막후실력자 소론의 영수였다. 윤증은 왕의 얼굴 한 번 보지 않고 우의정 까지 올랐던 우리나라 역사상 단 한 명밖에 없는 인물이었다. 그가 과거에도 응시하지 않았는데 그가 받았던 관직을 보면 36세때 내시교관부터 공조정랑, 사헌부 지평, 호조참의, 대사헌, 우찬성, 좌찬성, 83세때 판돈녕부사까지 계속 관작이 승진되면서 제수 받았으나 모두 사양하였다. 어쨌든 그는 출사하지도 않은 체 재야에서 일정한 세력을 등에 업고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한 번도 조정에 나가지 않고 왕의 얼굴도 보지 않으며 정승이 되는 진기록을 남겼다
2. 죽어서 왕이 된 인물은 조선조에는 죽은 후에 왕으로 추존된 인물이 다섯명인데 덕종은 세조[수양대군]의 아들로서 세조 1년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인수대비의 남편이며 슬하에는 월산대군과 성종, 명숙공주 등 3명을 두었다. 원종은 선조의 5남으로 1627년에 왕으로 추존됨. 인조 등 4남을 둠. 진종은 영조의 아들로 사도세자와 4촌. 6세에 세자로 책봉되었으나 즉위전에 죽었다. 양자인 정조가 즉위하자 진종으로 추존. 장조는 유명한 사도세자로서 영조의 둘째아들이며 정조의 아버지. 부인은 홍봉한의 딸인 혜경궁 홍씨. 당파싸움의 희생양이 되어 아버지 영조에 의해 죽음. 1899년 장조로 추존됨. 익종은 순조의 아들이며 헌종의 아버지. 4세에 세자로 책봉되고 19세때[순조27년]대리청정으로 참정하였으나 4년만에 죽고 뒤에 익종으로 추존됨.
6. 가장 짧은 기간 재위한 임금은? 12대 인종이며 재임기간 9개월이었다.
7. 가장 오랫동안 재위한 임금은? 21대 영조로서 51년 7개월로서 반세기동안 왕좌를 지켰다.
9. 가장 장수한 임금은 ? 21대 영조로서 83세까지 장수했다
각종 최장기 기록들
2. 호조판서를 최장기간 지냈던 인물은? 영의정 정태화의 후손인 정홍순으로 무려 11년간을 호조판서로 재임한 유일무이한 인물. 그는 재정문제에 대한 당대 제일인자의 명성을 날렸다.
4. 가장 여러대의 임금을 보좌한 사람은?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예종, 성종까지 7대의 임금을 보좌한 김세민[경주김씨]으로 70년 동안 봉직하면서 7대의 임금을 보좌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6. 가장 귀양살이를 오래한 사람은 누구일까? 다산 정약용으로 28세때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종교문제로 19년간 강진에 유배됨.
8. 일인지하 만인지상인 영의정에 가장 오래 재임한 인물은? 유명한 재상 황희정승으로 지속적으로 18년간을 재임하는 대기록을 남겼다 그는 조선 제일의 청백리 관료이자 가장 대표적인 신하이다.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