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집가벌가(執柯伐柯)

 

1633, 회시(會試)의 시무책(時務策)은 법제(法制)를 묻는 출제였다. 문제는 이랬다. 시대마다 그 시대의 법제가 있다. 법제가 타당하면 정치가 간결해서 백성이 편안했고, 법제가 요점을 잃으면 정사가 번잡해져서 백성이 원망한다. 한 나라의 치란은 법제에 좌우된다. 어찌해야 법제가 제자리를 얻고, 정사가 바르게 설 것인가?

 

윤선도(尹善道·1587~1671)는 글의 서두에서, 맹자가 한갓 법으로는 저절로 행해질 수가 없다(徒法不能以自行)”고 한 말을 인용하고, “정치만 있고 그 마음은 없는 것을 도법(徒法)’이라 한다(有其政而無其心, 是謂徒法)”고 한 주자의 풀이를 끌어왔다. 백성을 위한 마음 없이 정치를 위해 만든 법제는 도법이라고 말한 것이다.

 

이어 말했다. “법이란 정치를 보좌하는 것이고, 마음은 법을 만드는 것이다. 법이 아니고는 정치를 할 수가 없고, 마음이 아니고는 법을 만들 수가 없다. 대개 남의 마음을 자기의 마음과 같게 하여, 도끼 자루를 벨 때 잡은 도끼 자루에 말미암는다면, 어찌 내 마음을 닦지 않으면서 능히 법을 세움이 있으며, 어찌 내 마음을 바르게 하지 않으면서, 능히 법을 행함이 있겠는가? 선왕이 천하에 법이 되어 후세에 전해질 수 있었던 것은 먼저 그 마음을 바로 하였기 때문이고, 후세가 법을 세우고도 폐단이 일어나고, 명령이 나와도 행해지지 않은 것은 그 마음을 닦지 않았기 때문이다.”

 

도끼 자루를 벨 때 잡은 도끼 자루에 말미암는다는 글 속의 말은 출전이 있다. 시경』 「벌가(伐柯)편에 도끼 자루를 베고, 도끼 자루를 벰이여. 그 법칙이 멀지 않네(伐柯伐柯, 其則不遠)”라 했다. 도끼 자루감을 마련하기 위해 나무를 벨 때는 손에 쥔 도끼 자루를 기준으로 삼으면 되는데, 자꾸 멀리서 딴 기준을 찾으려 든다는 말이다. 중용13장에서도 도끼 자루 잡고서 도끼 자루를 베면서, 둘러보아 살피며 멀다고 생각한다(執柯以伐柯, 睨而視之, 猶以爲遠)”고 했다. 표준이 자기 손에 있는데도 엉뚱한 데서 기준을 찾는 어리석음을 말한다.

 

마음은 안 고치고 제도만 고치려 드는 사이에 민심은 저만치 떠나고 없다. 마음이 그대론데 제도를 바꾼다고 망가진 정치가 바로 서겠는가?//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조모상(呑棗模象)  (0) 2021.01.14
기득환실(旣得患失)  (0) 2021.01.07
인약발병(因藥發病)  (0) 2020.12.24
관간어중(寬簡御衆)  (0) 2020.12.17
일산난취(一散難聚)  (0) 2020.12.1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