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상식

고사성어 2013. 7. 5. 05:07
 

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한자상식

 

1. 文房四友 [문방사우]

서재에 갖추어야 할 네 벗인 지(紙)·필(筆)·묵(墨)·연(硯),

곧 종이·붓·먹·벼루의 네 가지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身言書判 [신언서판]

중국 당나라 때 관리를 등용하는 시험에서

인물평가의 기준으로 삼았던 기준.

즉, 몸[體貌]·말씨[言辯]·글씨[筆跡]·판단[文理]의 네 가지를 이르는 말.

 

3. 四君子 [사군자]

[품성이 군자와 같이 고결하다는 뜻으로]

‘매화·난초·국화·대나무’의 넷을 이르는 말.

 

4. 七去之惡 [칠거지악]

(지난날, 유교적 관념에서 이르던)

아내를 버릴 수 있는 이유가 되는 일곱 가지 경우.

1.시부모에게 불순한 경우

2. 자식을 낳지 못하는 경우

3.음탕한 경우

4.질투하는 경우

5.나쁜 병이 있는 경우

6.말이 많은 경우

7.도둑질한 경우’를 이름.

 

5. 三不幸 [삼불행]

맹자가 말한 불행의 세 가지.

1. 蓄財(축재)에 전념하는 것

2. 자기 처자만 사랑하는 것

3. 부모에게 불효하는 것

 

三不惑 [삼불혹]

빠지지 말아야 할 세 가지. 술 · 여자 · 재물

 

6. 三不孝 [삼불효]

세 가지 불효.

1. 부모를 불의(不義)에 빠지게 하고,

2. 가난 속에 버려두며,

3. 자식이 없어 제사가 끊어지게 하는 일.

 

7. 三不朽 [삼불후]

세가지 썩어 없어지지 않는 것.

세운 德(덕), 이룬 功(공), 敎訓(교훈)이 될 훌륭한 말.

 

8. 三從之道 [삼종지도]

세가지 따라야 할 도리

1. 옛날 여자가 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2. 시집을 가면 남편을 따르며

3. 남편이 죽으면 자식을 따르라는 말

 

9. 五常 [오상]

사람의 다섯가지 행실.

즉 인(仁), 의(義), 예(禮), 지(智), 신(信).

 

10. 五友 [오우]

다섯 종류의 절개 있는 식물. 선비가 벗삼을 만한 식물.

梅(매화)·蘭(난)·菊(국화)·竹(대나무)·蓮(연꽃).

 

11. 五淸 [오청]

다섯 가지의 깨끗한 사물. 선비들이 즐겨 그리는 것.

松(소나무)·竹(대나무)·梅(매화)·蘭(난)·石(돌).

 

12. 五行 [오행]

우주간에 쉬지 않고 운행하는 다섯가지 원리.

金(쇠)·木(나무)·水(물)·火(불)·土(흙). ◇

 

13. 益者三友 [익자삼우]

이로운 세가지 친구

정직한 사람, 진실한 사람, 학식이 많은 사람

  

14. 四端七情 [사단칠정]

사단은 《맹자(孟子)》의 〈공손추(公孫丑)〉

상편에 나오는 말로 불쌍히 여기는 마음 즉,

네 가지 도덕적 감정을 말한다.

惻隱之心 (측은지심) 남을 불쌍하게 여기는 타고난 착한 마음을 이르는 말

羞惡之心 (수오지심) - 자기의 옳지 못함을 부끄러워하고,

남의 옳지 못함을 미워하는 마음

辭讓之心 (사양지심) - 겸손하여 남에게 사양할 줄 아는 마음.

是非之心 (시비지심) - 옳음과 그름을 가릴 줄 아는 마음.

그리고 칠정은 《예기(禮記)》의 〈예운(禮運)〉에 나오는 말로

기쁨[喜(희)]·노여움[怒(노)]·슬픔[哀(애)]

·두려움[懼(구)]·사랑[愛(애)]·미움[惡(오)]

·욕망[欲(욕)]의 일곱 가지 인간의 자연적 감정을 가리킨다.

 

15. 四書三經 [사서삼경]

유교(儒敎)의 기본 경전

四書(사서)는 《대학(大學)》 《논어(論語)》 《맹자(孟子)》

《중용(中庸)》을 말하며,

三經(삼경)은 《시경(詩經)》 《서경(書經)》 《주역(周易)》을 이른다.

 

16. 世俗五戒 [세속오계]

신라 진평왕 때 승려 원광(圓光)이 화랑에게 일러 준 다섯 가지 계율.

원광이 수(隋)나라에서 구법(求法)하고 귀국한 후,

화랑 귀산(貴山)과 추항(項)이 찾아가 일생을 두고 경계할 금언을 청하자,

원광이 이 오계를 주었다고 한다.

 

이는 뒤에 화랑도의 신조가 되어 화랑도가 크게 발전하고

삼국통일의 기초를 이룩하게 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事君以忠 (사군이충) - 임금은 충성으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事親以孝 (사친이효) - 어버이를 효도로써 섬겨야 한다는 계율

交友以信 (교우이신) - 벗은 믿음으로써 사귀어야 한다는 계율

臨戰無退 (임전무퇴) - 전쟁에 임하여 물러나지 아니하여야 한다는 계율

殺生有擇 (살생유택) - 함부로 살생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계율

 

17. 十長生 [십장생]

장생 불사를 표상한 10가지 물상(物象)

해 ·산 ·물 ·돌 ·소나무 ·달 또는 구름 ·불로초 ·거북 ·학 ·사슴을 말하는데,

중국의 신선(神仙) 사상에서 유래한다.

10가지가 모두 장수물(長壽物)로 자연숭배의

대상이었으며, 원시신앙과도 일치하였다.

 

옛 사람들은 십장생을 시문(詩文) ·그림 ·조각 등에 많이 이용하였는데,

고구려 고분 벽화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이 사상은 고구려시대부터 있은 듯하다.

 

고려시대에는 이색(李穡)의 《목은집(牧隱集)》으로 보아

십장생 풍이 유행한 사실을 알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는 설날에 십장생 그림을 궐내에 걸어놓는 풍습이 있었다.

 

이 후 항간에서도 십장생 그림을 벽과 창문에 그려 붙였고,

병풍 ·베갯머리, 혼례 때 신부의 수저주머니,

선비의 문방구 등에도 그리거나 수놓았다.

 

18. 三多三無 [삼다삼무] 三寶三麗 [삼보삼려]

제주도에는 돌, 여인, 바람이 많다. (三多)

제주도에는 거지, 대문, 도둑이 없다. (三無)

제주도에는 언어, 수중자원, 식물 (三寶三麗)/옮긴 글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공의 적' 비둘기  (0) 2014.12.02
남계우와 석주명  (0) 2014.12.01
가훈(家訓)  (0) 2011.12.01
자웅난변(雌雄難辯)  (0) 2011.10.15
웃음의 구분  (0) 2011.03.28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