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자지자기(自止自棄)

노수신(盧守愼·1515~1590)이  임금에게 먼저 뜻을 세울 것을  청한 '청선입지소(請先立志疏)'의 한 대목. "대저 뜻이란 기운을 통솔하는 장수입니다. 뜻이 있는 곳이면 기운이 반드시 함께 옵니다. 발분하여 용맹을 다하고, 신속하게 떨쳐 일어나는 것은 힘을 쏟아야 할 곳이 있습니다. 산에 오르면서 꼭대기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그치는 것[自止]이 됩니다. 우물을 파면서 샘물이 솟는 것에 뜻을 두지 않는다면 이것은 스스로 포기하는 것[自棄]이 됩니다. 하물며 성현과 대덕(大德)이 되려면서 뜻을 세우지 않고 무엇으로 하겠습니까?"

 

등산은  정상에 오를 목표를 세우고 차근차근 밟아 올라간다.  우물은 차고 단물을 얻을 때까지 파고 또 판다. 파다 만 우물은 쓸데가 없고, 오르다 만 산은 가지 않은 것과 같다. 목표를 정해 큰일을 도모할 때는 심지를 깊게 하고 뜻을 높이 세워야 한다. 뜻이 굳지 않으면 제풀에 그만두고 제 스스로 포기하고 만다(自止自棄). 목표를 향해 밀어붙이는 힘은 굳센 뜻에서 나온다. 굳센 뜻이 없이는 추진하는 에너지가 생겨날 데가 없다.

 

하수일(河受一·1553~1612)은  젊은 시절 두 동생과 함께  청암사(靑巖寺)에서 글을 읽다가 절 뒷산에 올랐다. 정상에서 내려오면서 그 느낌을 이렇게 적었다. "사군자는 몸둘 곳을 마땅히 가려야 한다. 낮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낮아지고, 높은 곳에 처하면 식견이 높아진다. 높지 않은 곳을 택한 대서야 어찌 지혜를 얻으리(士君子處身宜擇, 處下而見下, 處高而見高. 擇不處高, 焉得智)." 꼭대기에서는 시야가 툭 터져서 안 보이는 것이 없었는데, 내려올수록 시야가 좁아져서 답답해졌기에 한 말이다.

 

조광조(趙光祖·1482~1519)가 말했다."등산을 하면서 산꼭대기까지 가려고 마음먹은 사람은 비록 꼭대기까지 못 가더라도 산허리까지는 갈 수가 있다. 만약 산허리까지만 가려고 작정한다면 산 밑바닥을 채 벗어나지도 않은 채로 반드시 그치고 말 것이다(登山期至山頂者, 雖不至頂, 可至山腰矣. 若期至山腰, 則不離山底而必止矣)."

 

품은 뜻이 그 사람의 그릇을 가른다.  바라보는 높이에 따라  뿜어져나오는 에너지의 양도 차이 난다. 제 깜냥도 모르고 날뛰는 것은 문제지만, 해보지도 않고 자포자기하는 것은 더 큰 문제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한신왕(心閒神旺)  (0) 2015.05.12
체구망욕(體垢忘浴)  (0) 2015.05.11
습정투한(習靜偸閑)  (0) 2015.05.09
설니홍조(雪泥鴻爪)  (0) 2015.05.08
상구작질 (爽口作疾)  (0) 2015.05.0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