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때 좌의정을 지냈던 유언호(兪彦鎬·1730~1796)는 기복이 많은 삶을 살았다. 잘나가다 40대에 흑산도로 유배 갔고, 복귀해서 도승지와 대사헌을 지낸 후에 또 제주도로 유배 갔다. 벼슬길의 잦은 부침은 진작부터 그로 하여금 전원의 삶을 꿈꾸게 했다.
한번은 그 가 지방에 있다가 임금의 급한 부름을 받았다. 역마를 급히 몰아 서울로 향했다. 장맛비가 주룩주룩 내려 길이 온통 진창이었다. 옷이고 뭐고 엉망이었다. 어느 주막을 지나는데, 한 아낙네가 어린 자식을 무릎에 눕혀 놓고 머릿니를 잡아주고 있었다. 아이는 긁어줄 때마다 시원하다고 웃고, 어미는 자식의 이가 줄어드는 것을 기뻐했다. 둘이 천진스레 깔깔대며 즐거워하는 모습에 참다운 정이 가득했다. 그는 진창 속에 비 맞고 말을 달리다가 잠깐 스쳐 본 그 광경에 저도 몰래 망연자실하고 말았다. 나는 지금 어디로 달려가는가? 삶의 천진한 기쁨은 어디에 있는가?
이후로 그는 부산스럽기만 한 벼슬길에 회의를 느껴 어버이 봉양을 핑계 대고 사직했다. 한동안 조용히 묻혀 지내며 옛 사람의 맑은 이야기를 가려 뽑아 '임거사결(林居四訣)'이란 책자를 엮었다. 전원에 사는 비결로 그가 꼽은 네 가지는 달(達)·지(止)·일(逸)·적(適)이다.
달(達)은 툭 터져 달관하는 마음이다. 견주어 계교하는 마음을 걷어내야 달관의 마음이 열린다. 주막집 아낙의 천진함과 조정 대관의 영화를 비교하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지(止)는 있어야 할 곳에 그쳐 멈추는 것이다. 욕심은 늘 끝 간 데를 모르니, 그쳐야 할 데 그칠 줄 아는 자세가 필요하다. 끝장을 보려 들면 안 된다. 고요히 비워라. 일(逸)은 은일(隱逸)이니 새가 새장을 벗어나 창공을 얻듯 툴툴 털고 숨는 것이다. 달관하여 멈춘 뒤라야 두 손에 움켜쥐었던 것을 내려놓을 수가 있다. 적(適)은 마음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 편안히 내맡기는 것이다. 물아양망(物我兩忘)의 경계가 비로소 열려 그제야 깔깔대며 웃을 수가 있다.
도시에 지친 사람들은 늘 전원을 꿈꾼다. 하지만 그마저도 마음의 준비 없이는 견디기가 어렵다. 막상 유언호의 전원생활도 그리 오래가지는 못했다. 그 마음속에 맑은 바람이 부는 한, 도시와 전원의 구획을 나누는 것은 의미 없는 일이 아닐까?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