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태배예치(鮐背鯢齒)

 

나이 많은 노인을 일컫는 표현에 태배(鮐背)와 예치(鯢齒), 그리고 황발(黃髮)이 있다.

태배는 복어의 등인데 반점이 있다. 연세가 대단히 높은 노인은 등에 이 비슷한 반점이 생긴다고 한다. 이의현(李宜顯·1669~1745)은 만 70세 이후에 쓴 자신의 시를 모아 제목을 '태배록(鮐背錄)'이라고 붙였다. 세종 임금이 14395, 조말생(趙末生)에게 궤장(幾杖)을 하사하며, "! 경은 몸을 편히 하고 힘을 북돋워 태배(鮐背)의 수명을 많이 늘이라"고 한 것도 이 뜻이다.

예치는 고래 이빨이다. 고래의 이빨은 세모난 송곳니 모양이다. 상노인이 이가 다 빠지고 오래되면 다시 뾰족하고 가는 이가 난다. 어린이의 이빨과 같다고 해서 아치(兒齒)라고도 한다. 이남규(李南珪·1855~1907)'동신선전(董神仙傳)'에서 "동신선은 짙은 머리가 흘러내려 이마를 덮었고, 아래윗니가 단단하고 뾰족해서 고래의 이빨과 같았다"고 묘사한 바 있다. 이른바 낙치부생(落齒復生)이라 하는 것이다.

황발은 희게 셌던 머리털이 다시 누렇게 변한 것을 말한다. 이제 다시 검어질 일만 남았으니, 인생의 한 사이클을 새로 시작할 준비를 마친 셈이다. 몸에 이런 변화가 일어나면 오래 장수할 조짐으로 여겼다.

1794년 정조는 어머니 혜경궁 홍씨가 곧 회갑의 경사를 맞게 되자, 경축하는 잔치를 크게 베풀었다. 그리고는 이를 기념하여 70세 이상의 관리와 80세가 넘은 백성 등에게 지위를 한 등급씩 올려주고, 100세 이상의 노인에게는 숭정대부의 품계를 내렸다. 그해 정초부터 6월까지 전국적으로 조사하여, 벼슬을 받은 사람이 75100여 명이나 되었다. 이들의 나이를 모두 합하자 5898210세였다.

정조는 이 7만여 명의 노인들이 은혜에 감격하여 자전(慈殿)을 축수(祝壽)한다면 그 기쁨이 과연 어떻겠느냐면서, "예치가 조정에 가득하고 학발이 들판을 뒤덮은(鯢齒盈廷, 鶴髮蔽野)" 성대의 장관을 회복해보자고 했다. 국가에 그 상서로운 기운이 가득 퍼지기를 염원해, 그 전후사연을 정리해 '인서록(人瑞錄)'이란 책자를 펴내기까지 했다. 임금의 거룩한 효심에 감격해 온 백성이 환호했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사비진(求似非眞)  (0) 2018.05.24
불수고방(不守古方)  (0) 2018.05.17
함구납오(含垢納汚)  (0) 2018.05.03
육일섬서(六日蟾蜍)  (0) 2018.04.26
취우표풍(驟雨飄風)  (0) 2018.04.19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