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불수고방(不守古方)

송나라 때 진법의 도형을 인쇄해서 변방의 장수에게 내려주었다. 왕덕용(王德用)이 간하였다. "병법의 기미는 일정치가 않은데 진도(陣圖)는 일정합니다. 만약 옛 법식에 얽매여 지금의 군대를 쓴다면 일을 그르치는 자가 있게 될까 걱정입니다."

또 전을(錢乙)은 훌륭한 의사였는데 옛 처방을 지키지 않았고(不守古方), 때때로 이를 뛰어넘어 무시하기까지 했다. 하지만 끝내는 법에 어긋나지 않았다.

청나라 때 원매(袁枚)'수원시화(隨園詩話)'에서 두 예화를 통해 시문 짓는 법을 깨달을 수 있다고 썼다. 고식적으로 정해진 법식에만 집착하면 그것은 활법(活法)이 아닌 사법(死法)이 되고 만다.

유득공(柳得恭)'추실음서(秋室吟序)'에서 한 말은 이렇다. "옛날의 의사는 질병에 한 가지 약초나 약재(藥材)를 투약하면 병이 잘 나았다. 본초(本草)가 날로 늘어나고 의학이 점점 발전하자 어쩔 수 없이 맵고 단것을 섞고 순하고 독한 것을 합하여, ()과 신()이 있고, 돕는 것과 부리는 것이 있게 되었다. 그런 뒤에야 훌륭한 약제(藥劑)로 여긴다. 한 가지 약초나 약제로 지금 사람의 병에 투약하여 스스로 옛 처방임을 뽐낸다면 바보가 아니면 망령된 사람이다.

"약에 대한 내성이 달라지고, 식생활 환경이 바뀌면 예전의 신통한 처방도 아무 효과가 없게 된다. 통변(通變)의 정신이 필요한 까닭이다.

정약용(丁若鏞)의 말은 또 이렇다. "옛 사람은 의학을 배울 때 본초를 위주로 해서 이따금 직접 맛을 보아 그 성질과 맛, 기분 등을 시험해서 하나하나 분명하게 안 뒤에 조제하여 약을 지었다. 그래서 약을 잘못 쓰는 일이 없었다. 지금 사람은 만들어진 처방만 배우기 때문에 의술이 날로 못 쓰게 되어 간다." '복암이기양묘지명(茯菴李基讓墓誌銘)'에 나온다.약재의 개별 성질을 파악한 뒤 원리를 적용하면 그 안의 변화가 무궁하다.

약재의 성질은 모른 채 처방만 외우려 들면 발전이 없을 뿐 아니라 사람을 잡는 수가 있다. 같은 질병도 환자의 상황이 다 다르니 고식적으로 외워 적용할 수가 없다. 변화에 적절하게 응하려면 역시 기본기를 잘 닦는 것이 먼저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유이병(心有二病)  (0) 2018.05.31
구사비진(求似非眞)  (0) 2018.05.24
태배예치(鮐背鯢齒)  (0) 2018.05.14
함구납오(含垢納汚)  (0) 2018.05.03
육일섬서(六日蟾蜍)  (0) 2018.04.2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