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지미위난(知味爲難)

명말(明末) 장대(張岱·1597~1680)'민노자차(閔老子茶)'는 벗인 주묵농(周墨農)이 차의 달인 민문수(閔汶水)를 입에 침이 마르도록 칭찬하는 말을 듣고 그를 찾아간 이야기다. 민문수는 출타 중이었다. 집 지키던 노파는 자꾸 딴청을 하며 손님의 기미를 살핀다. 주인은 한참 뒤에야 "어째 여태 안 가셨소?" 하며 나타난다. 손님이 제풀에 지쳐 돌아가기를 기다렸던 것. 장대는 "내가 집주인의 차를 오래 사모해왔소. 맛보지 않고는 결단코 안 갈 셈이오." 무뚝뚝한 주인은 그제야 손님을 다실로 이끈다.

 

전설적인 최고급 다기 십여 개가 놓인 방에 안내되어 끓여온 차 맛을 본 장대가 "무슨 차입니까?" 하자, 낭원차(閬苑茶)라는 대답이 돌아온다. 그가 고개를 갸웃한다. "이상하군요. 낭원차의 제법이긴 한데 맛이 다릅니다." 민문수가 씩 웃고 말한다. "그럼 무슨 차 같소?" "혹시 나개차(羅芥茶)?" 그 말에 민문수의 표정이 싹 바뀐다. 장대가 다시 묻는다. "물은 어떤 물이오?" "혜천(惠泉) 것이올시다." "그런가요? 물이 조금 퍼진 느낌인걸?" "숨길 수가 없군요. 혜천 물이 맞긴 맞소만 한밤중 새 물이 솟을 때 길은 것이 아니라서."민문수가 혀를 내두르며 나가 새 차를 끓여 장대에게 따랐다. "마셔 보시오." "향이 강하고 맛이 혼후하니 봄에 딴 차로군요. 앞서 것은 가을에 딴 것이고요." 민문수가 껄껄 웃으며 말했다. "내 나이 칠십에 손님 같은 분은 처음입니다. 우리 친구 합시다." 글은 이렇게 끝난다.

 

맛 알기가 참 어렵다. 치수(淄水)와 민수(澠水)는 지금의 산둥성을 흐르는 물 이름인데 물맛이 달랐다. 두 물을 섞어 두면 보통 사람은 가려내지 못했는데 역아(易牙)는 틀림없이 구분해냈으므로 공자가 이에 대해 말했다. '여씨춘추(呂氏春秋)'에 나온다. 순욱(荀勖)은 진() 무제(武帝)의 잔칫상에서 죽순 반찬을 맛보더니 "이것은 고생한 나무를 불 때서 요리한 것이로군"이라고 했다. 조용히 사람을 보내 알아보니 과연 오래된 수레바퀴를 쪼개 땔나무로 썼다는 전갈이었다. '세설신어'에 나온다. 사람 감별도 한 입에 알 수 있다면 참 좋을 텐데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구지보(無口之輔)  (0) 2016.04.13
유산오계(遊山五戒)  (0) 2016.04.06
골경지신(骨鯁之臣)  (0) 2016.03.24
지도노마(知途老馬)  (0) 2016.03.16
지방지술(止謗之術)  (0) 2016.03.09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