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산산가애(珊珊可愛)

산산(珊珊)은 형용사다. 원래는 허리에 패옥을 차고 사람이 걸을 때 가볍게 부딪쳐 나는 소리를 말한다. 사뿐사뿐 부드럽고 아름다운 모습을 형용하는 표현으로도 자주 쓴다. 당나라 원진(元稹)'비파가(琵琶歌)'에서 "한 연주 막 끝나고 또 한 차례 연주하니, 고요한 밤 구슬 주렴 바람에 쟁글쟁글(一彈旣罷又一彈, 珠幢夜靜風珊珊)"이라고 했다. 미인이 주렴 안쪽에서 비파를 연주한다. 그녀가 뜯는 비파의 울림이 고요한 밤중에 구슬주렴을 진동시켜 가볍고 은은한 소리를 낸다는 뜻이다.

송나라 때 신기질(辛棄疾)'임강선(臨江仙)'도 있다. "남쪽 연못 밤비가 새 기와를 울리니, 삼경이라 소낙비 쟁글쟁글 들리네(夜雨南塘新瓦響, 三更急雨珊珊)." 새로 얹은 기왓장을 빗방울이 때리고, 그것이 튕겨 오르면서 내는 해맑고 여린 공명음을 산산으로 포착했다.

명나라 귀유광(歸有光)의 대표작 '항척헌지(項脊軒志)'는 애잔한 글이다. 항척헌은 고향집의 서실 이름이다. 한 사람이 겨우 거처할 만한 공간인데, 백 년이나 묵어 비만 오면 천장에서 빗물이 새고, 진흙이 떨어졌다. 북향으로 앉으면 해를 받지 못해, 오후면 이미 어두워지는 그런 방이었다.

이 방을 물려받은 그는 수리부터 했다. 지붕을 새로 이어 비가 새지 않게 하고, 창을 네 개나 두어 환하게 했다. 뜨락엔 꽃나무를 심고 난간을 둘러 눈을 기쁘게 했다. 책을 시렁 가득 꽂아두고, 누워 휘파람 불다가 고요히 앉아 책을 읽었다. 온갖 자연의 소리가 들려왔다. 정원은 적막해서 작은 새가 이따금 와서 모이를 쪼고 갔다.

나는 특히 이 대목이 좋다. "보름밤 밝은 달이 담장에 반쯤 걸리면 계수나무 그림자가 어른댄다. 바람이 흔들어 그림자가 움직이면 쟁글쟁글 그 소리가 사랑스러웠다(三五之夜, 明月半墻, 桂影斑駁, 風移影動, 珊珊可愛)."

귀유광이 이곳을 특별히 아꼈던 것은 어머니와 일찍 세상을 뜬 아내와의 추억이 깃들어서다. '항척헌지'는 이렇게 끝난다. "마당에는 비파나무가 있는데, 내 아내가 세상을 뜬 해에 손수 심은 것이다. 지금은 이미 높이 자라 일산(日傘)만 하다." 마음이 애틋해진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자필무(多者必無)  (0) 2018.08.23
검신성심(檢身省心)  (0) 2018.08.16
폐단구함(弊簞救鹹)  (0) 2018.08.02
능내구전(能耐久全)  (0) 2018.07.26
수도동귀(殊塗?道?同歸)  (0) 2018.07.19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