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재석도(載石圖)와 박면교거(剝綿攪車)

 

중국에 사신 갔던 신위(申緯)가 돌아왔다. 휘장을 친 수레 하나가 따라왔다. 가족과 친지들은 입이 그만 귀에 걸렸다. 휘장을 걷자 온통 돌뿐이었다. 그 무거운 괴석을 싣고 만주벌을 건너왔던 것이다. 자신은 그것을 자랑으로 여겨 화공을 불러 재석도(載石圖), 즉 돌 싣고 오는 장면을 그림으로 그리게 했다.

 

추사가 '수선화부(水仙花賦)'를 글씨로 쓰는 등 수선화 예찬론을 펼치면서, 중국에서 수선화 구근을 수입해 오는 것도 한때 크게 유행했다. 수반에 구근을 얹어 겨울철 방 안에서 수선화 향기 맡는 것을 사대부의 고아한 풍류로 여겼다. 나중에는 정도가 너무 심해져서 국가에서 수입을 금지시켰다.

 

다산은 사신으로 연경에 가는 이기양(李基讓)을 전송하는 글에서, 중국에 간 우리나라 사신들이 그 비싼 은을 가져가서 금방 닳아 없어지고 말 비단이나 각종 소비재만 잔뜩 사올 뿐, 백성들의 실용에 도움이 될 만한 물건을 하나라도 구해가지고 오는 사람을 못 보았다고 한탄했다. 그러면서 고려 때 문익점(文益漸)이 목화씨를 얻어 돌아온 일을 말했다. 실 잣는 기계 틀을 '물레'라고 하는데, 문익점이 가져왔다는 뜻의 '문래(文來)'에서 나왔다고도 했다.

 

이기양은 다산의 이 말을 듣고 북경에서 목화를 앗는 기계인 박면교거(剝綿攪車)를 구해왔다. 나사 홈을 판 축 끝에 십자 기어를 맞물려 그 아래에 가로로 나무를 걸어 만든 기계장치다. 의자에 앉아 발판을 밟으면 하루에 200근의 목화를 앗을 수 있었다. 200근은 젊은 여자가 20일 꼬박 매달려야 겨우 마칠 수 있는 엄청난 양이었다. 정조가 기뻐하여 그대로 본떠 만들어서 팔도에 나눠주게 했다.

 

다산은 이기양에게 보낸 다른 편지에서 이 기계를 이용해 장사하는 사람이 4000근의 목화를 앗아 1000근으로 만든다면 운송 비용도 4분의 3이 절감될 테니 이익이 얼마나 크냐면서, 그 공이 문익점이 목화씨 가져온 것 이상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같이 중국에 갔는데, 한 사람은 돌이나 수선화 뿌리를 사오고, 한 사람은 목화씨 앗는 기계를 구해왔다. 그 해맑은 운치가 귀하고, 값비싼 비단만 잔뜩 사온 것보다야 낫다 해도, 목화씨 앗는 기계가 가져온 이용후생(利用厚生)의 보람에 견줄 수야 없겠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판 동의보감  (0) 2014.12.22
무덕부귀(無德富貴)  (0) 2014.12.21
호변(號辨)  (0) 2014.12.19
수경신(守庚申) 신앙  (0) 2014.12.18
칭찬 교육  (0) 2014.12.1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