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명철보신(明哲保身)

'논어' '공야장(公冶長)'편에 나오는 한 대목.  "영무자는 나라에 도가 있으면 지혜로웠고, 나라에 도가 없으면 어리석은 듯이 했다. 지혜로운 것은 미칠 수 있지만, 어리석은 듯함은 미칠 수가 없다." 알아주는 임금 앞에서 마음껏 역량을 펼치다가 세상이 어지러워지면 어리석은 체 숨어 자신을 지킨다. 후세는 영무자를 명철보신(明哲保身)의 지혜자로 높였다. 하지만 좀 얄밉다. 누릴 것만 누리고, 손해는 안 보겠다는 심보가 아닌가? 공자께서는 어째서 이를 대단하다 하신 걸까?

 

'춘추'에 보이는 전후 사정은 이렇다. 처음에 영무자는 위성공(衛成公)을 따라 여러 해 갖은 고초를 겪으며 충성을 다했다. 덕분에 사지에서 돌아온 성공은 영무자 아닌 공달(孔達)에게 정치를 맡겼다. 영무자의 서운함과 배신감이야 말할 수 없었겠는데, 그는 원망하는 대신 바보처럼 자신을 감추고 숨어 끝내 공달과 권력을 다투지 않았다. 공자는 처지를 떠난 영무자의 한결같은 충성을 높이 산 것이다. 나라는 어찌 되건 제 한 몸만 보전하려는 꾀를 칭찬한 말씀이 결코 아니었다. 하지만 세상 사람들은 이를 박수칠 때 떠나라는 식의 처세훈으로 오독했다.

 

명철보신이란 말은 '시경' '대아 증민(蒸民)'편에 나온다. "현명하고 또 밝아서 그 몸을 붙들어, 온 종일 쉬지 않고 한 임금만 섬기누나.(旣明且哲, 以保其身. 夙夜匪解, 以事一人)"란 시다. 주나라 선왕(宣王) 때의 재상 중산보(仲山甫)의 덕망을 칭송한 내용이다. 이것도 흔히 좋은 세상에서 누리며 잘 살다가 재앙의 기미가 보이면 재빨리 물러나 제 몸과 제 집안을 잘 보전하는 것을 가리키는 뜻으로 쓴다. 실제의 쓰임과는 정반대의 풀이다.

 

명철(明哲)은 원래 선악과 시비를 잘 분별한다는 뜻이다. 사람들은 이익과 손해를 잘 판별하고, 나설 때와 침묵할 때를 잘 아는 것으로 풀이한다. 어리고 약한 것을 붙들어 잡아주는 것이 보(保)다. 사람들은 제 몸을 지켜 재앙을 면한다는 뜻으로 이해한다. 다산은 세상에서 명철보신이란 말을 제 몸과 제 집안을 보전하는 비결로 여기면서부터 저마다 일신의 안위만 추구할 뿐 나랏일은 뒷전이 되어, 임금이 장차 국가를 다스릴 수조차 없게 되었다고 통탄했다. 경전을 제대로 읽지 못한 오독의 폐해가 참으로 크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화(舌禍)  (0) 2015.01.25
군기론(軍器論)  (0) 2015.01.24
지영수겸 (持盈守謙)  (0) 2015.01.22
묘계질서(妙契疾書)  (0) 2015.01.21
호곡장(好哭場)  (0) 2015.01.2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