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해상조로(薤上朝露)



‘해로(薤露)’는 한위(漢魏) 시기의 만가(挽歌)다. 상여가 나갈 때 영구를 끌면서 사람들이 함께 부르던 노래다. 초한(楚漢)의 쟁패 중에 제나라 대부 전횡(田橫)은 따르는 무리 5백인과 함께 바다 섬으로 들어갔다. 한고조 유방이 그를 부르자 어쩔 수 없이 낙양으로 나오다가 30리를 앞에 두고 굴욕을 거부하고 자살했다. 섬에서 그를 기다리던 무리 5백인이 이 소식을 듣고 슬퍼하며 모두 따라서 죽었다. 사람들이 이들의 넋을 달래려고 부른 노래가 바로 ‘해로’다. 해(薤)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인 염교를 말한다.

노래는 이렇다. “염교 잎 위 아침 이슬, 어이 쉬 마르는가? 이슬이야 마른대도 내일 아침 다시 지리. 사람 죽어 한번 가면 어느 때나 돌아올꼬?(薤上朝露何易晞? 露晞明朝更復落, 人死一去何時歸.)” 원래 노래에는 바깥짝이 있었는데, 후대에 따로 떼어 ‘호리가(蒿里歌)’가 되었다. “호리는 뉘 집 땅인가? 잘나고 못남 없이 고운 넋을 거두누나. 귀백(鬼伯)은 어이 이리 재촉을 하는 겐지, 사람 목숨 잠시도 머뭇대지 못하네.(蒿里誰家地? 聚斂精魄無賢愚. 鬼伯一何相催促? 人命不得少踟躕.)”

아침 산책 길에 풀잎마다 달렸던 이슬이 돌아올 때 보면 어느새 말라 흔적도 없다. 이슬은 아침마다 되풀이해 내리지만, 사람은 한번 가면 다시 오지 못한다. 아침 이슬만도 못한 인생, 이 강렬한 대비가 아등바등 움켜쥐기만 하는 삶에 깊은 울림을 남겼다. 명나라 유기(劉基·1311~1375)도 ‘해로가’에서, “어제는 7척의 건장하던 몸, 오늘은 죽어서 시신 되었네. 친척들 괜스레 집 가득해도, 넋과 기운 어디로 간단 말인가?(昨日七尺軀, 今日爲死尸. 親戚空滿堂, 魂氣安所之.)”라 했다.

돌아보면 사는 일이 참 덧없다. 그렇다고 모든 것을 허무적멸로 돌리기엔 남은 시간이 아깝고 귀하다. 가톨릭 성가 27장, ‘이 세상 덧없이’의 1절은 이렇다. “풀잎 끝에 맺혀진 이슬 방울 같이, 이 세상의 모든 것 덧없이 지나네. 꽃은 피어 시들고 사람은 무덤에. 변치 않을 분 홀로 천주뿐이로다.” 같은 말을 다르게 했다. 마음을 무엇으로 간직해야 할까? 욕심을 내려놓고 이슬처럼 맑게 살다가 가자.//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