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욕로환장(欲露還藏)

"강가를 왕래하는 저 사람들은,   농어맛 좋은 것만 사랑하누나.  그대여 일엽편주 가만히 보게, 정작은 풍파 속을 출몰한다네." 송나라 때 범중엄(范仲淹)이 쓴 '강가의 어부(江上漁者)'란 작품이다. 현실에 역경이 있듯 강호에는 풍파가 있다. 강가엔 농어회의 향기로운 맛과 푸근한 인심만 있는 것이 아니다. 거기는 거기대로 찬 현실이 기다린다. 녹록지가 않다. 힘들고 어려워도 정면돌파 해야지, 자꾸 딴 데를 기웃거려선 못쓴다. 실컷 먹고 배 두드리는 함포고복(含哺鼓腹)과 가난해도 즐거운 안빈낙도(安貧樂道)의 삶은 기실 강호가 아닌 내 마음속에 있다.

 

육시옹(陸時雍)은 이 시를 이렇게 평했다. "정을 잘 말하는 자는 삼키고 토해냄을 잘 조절해 드러낼 듯 외려 감춘다." 욕로환장(欲露還藏), 보여줄 듯, 도로 감춘다는 표현에 묘미가 있다. 원래 범중엄은 입만 열면 귀거래(歸去來)를 되뇌며 현실을 나무라고 탓하는 자들에게 할 말이 아주 많았던 듯하다. 제 한 몸 깨끗이 한다며 현실을 모두 등진다면 세상은 어찌 되겠는가? 하지만 시인은 그 끝만 슬쩍 드러내 보여주었을 뿐 내놓고 비난하진 않았다.

 

욕로환장! 시뿐 아니라 세상 일이 다 그렇다.   미녀의 늘씬한 몸매도 보일 듯 말 듯 아슬아슬 감출 때 매력이 있지, 활씬 다 벗어부치면 추하고 역겹다. 저만치 혼자서 핀 꽃은 조금 떨어져 멀리서 바라보는 것이 옳다. 윤선도가 '어부사시사'에서 '강촌의 온갖 꽃이 먼빛에 더욱 좋다'고 노래했던 이유다. '먼빛에'와 '저만치'의 거리가 필요하다. 가지 않고 남겨둔 여백이 있어야 한다.

 

송나라 때 소강절(邵康節)은 이렇게 노래했다.  "좋은 술 마시고 살포시 취한 뒤에, 예쁜 꽃 절반쯤 피었을 때 보노라(美酒飮敎微醉後, 好花看到半開時)." 거나하게 취해 활짝 핀 꽃을 꺾는 것이 잠깐은 통쾌하겠지만, 아침에 깨고 보면 영 후회스럽다. 다 털어 끝장을 봐서 후련한 법이 없다. 갈 데까지 가면 공연히 볼썽사나운 꼴만 보게 된다. 말 한 마디에 울컥해서 오랜 친구를 죽이고, 한때의 분을 못 이겨 할머니와 소녀가 지하철에서 맞짱을 뜨는 세상이다. 말에 독이 들고, 혀가 칼이 된다. 간직해 남겨둔 여백을 잊고 산지가 오래되었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사주상(臨事周詳)  (0) 2015.02.26
기양(技癢)  (0) 2015.02.25
거전보과(鋸箭補鍋)  (0) 2015.02.23
심입천출(深入淺出)  (0) 2015.02.22
오서오능(鼯鼠五能)  (0) 2015.02.21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