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00년 전 북경을 포함한 중국 전 지역에 코끼리가 살고 있었다. 고대 코끼리의 존재는 상(商)과 촉(蜀) 지역 유적지에서 나온 코끼리 뼈와 코끼리 모양의 청동기 부조, 갑골문의 기록을 통해 확인된다. 최근 간행된 '3000년에 걸친 장대한 중국 환경사'라는 부제가 붙은 마크 엘빈의 '코끼리의 후퇴'(사계절)에도 3000년에 걸친 인간과 코끼리의 대립을 다룬 내용이 나온다.
코끼리의 서식지인 숲이 인간의 경작지로 바뀌고, 농작물 보호를 위해 코끼리를 없애거나, 전쟁이나 운반, 의식에 사용하려고 사로잡는 일들이 반복되었다. 또 요리 재료와 귀한 상아를 얻기 위해 그들을 살육하면서 코끼리는 점차 인간의 주변에서 사라졌다.
전국시대 말기에 이르면 이미 살아있는 코끼리를 직접 보기가 어려웠던 모양이다. '한비자(韓非子)'의 "해로(解老)" 편에 이런 대목이 있다. "사람들이 산 코끼리를 보기 힘들게 되자 죽은 코끼리의 뼈를 구해, 그림을 그려 산 모습을 떠올려보곤 했다. 그래서 여러 사람이 뜻으로 생각하는 것을 모두 '상(象)'이라 말한다." 남은 뼈만 보고 이 괴상한 어금니 주인공의 생김새를 떠올린 그림은 얼마나 가관이었을까? 오늘날 우리가 말하는 상상(想象)의 어원이 바로 여기서 나왔다. 코끼리를 나타내는 상(象)자에 이미지의 의미가 곁들여진 것도 뼈를 앞에 놓고 없는 실체를 떠올려보는 상상 행위와 관련이 있다.
연행길에 오른 조선 지식인들이 꿈에도 보고 싶었던 동물은 낙타와 코끼리다. 낙타는 북방지역에서 당시에도 운송수단으로 흔히 활용했다. 코끼리는 북경 선무문(宣武門) 안쪽 상방(象房)에 가야 볼 수가 있었다. 박지원은 '상기(象記)'에서 코끼리를 처음 본 순간 믿어지지 않아 동해 바다에서 본 신기루가 떠올랐다고 했다.
연암은 납득이 어려운 코끼리란 형상을 앞에 두고 특유의 장광설을 펼쳤다. 눈으로 직접 본 코끼리도 알 수가 없는데, 천하 사물은 이보다 몇만 배 더 복잡하다. 성인이 '주역'을 지을 때 코끼리 상(象)자를 취해 괘의 모양을 설명한 것은 다 까닭이 있다. 비유의 숲인 괘상(卦象)은 말하자면 뼈만 남은 코끼리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니다. 현상에 현혹되지 말라. 이미지를 유추해서 본질에 도달하라. 바야흐로 지금은 상상력이 경쟁력인 시대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