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평등안(平等眼)

압록강을 건너  책문으로 막 들어선 박지원은  국경 변방 시골 도시의 번화한 광경에 그만 기가 팍 질린다. 이 궁벽진 촌이 이럴진대 도대체 북경은 어떻겠는가. 얼굴이 화끈거려 이쯤에서 발길을 돌리고 싶어진다고 적었다.

 

연암은  자신의 이런 마음이  좁은 소견에 기인한 질투심 때문이라고 진단했다. 그래서 '시방세계(十方世界·불교에서 전 세계를 가리키는 용어)'를 평등하게 바라본다는 석가여래의 밝은 눈을 부러워했다. 그때 마침 한 장님이 어깨에 비단 주머니를 둘러멘 채 손으로 월금을 타며 지나간다. 연암이 말한다. "저 장님이야말로 정말 평등안을 지녔구나." "열하일기" '도강록' 중의 한 대목이다.

 

장님은 못 보니까 눈앞의 광경에 질투를 내고 말고 할 것도 없다. 마음이 편안하다. 눈이 늘 문제다. 사람들은 대충 보고 겉만 봐서 판단에 착오를 일으킨다. 차라리 장님이 되면 마음에서 편견이 걷혀 사물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지 않겠는가?

 

일반적으로  정의의 여신은 왼손에는 저울을,  오른손에는 검을 들고 서 있다. 저울은 법의 공평한 적용을, 검은 준엄한 집행을 나타낸다. 게다가 그녀는 천으로 눈을 가린 모습으로 종종 등장한다. 감각의 유혹에 빠지지 않는 공정성을 상징한다.

 

눈을 가리면 볼  수가 없는데,  공정성이 보장될까?  그녀의  눈가리개는 1494년 알브레히트 뒤러가 제작한 판화에 처음 등장한다는 주장이 있다. 궤변으로 소송을 일삼아 사법기관의 업무를 마비시키는 브로커들을 풍자하기 위해 눈을 가렸다는 것이다. 앞도 못 보면서 저울과 칼을 들고 선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무력한 법집행을 희화화했다. 이 그림이 전 유럽에 퍼지면서 어느 순간 원래의 풍자적 의미는 지워지고, 법의 공정성을 나타내는 의미로 바뀌었다고 한다.

 

눈은  자꾸 착각을 일으켜 바른 판단을 방해한다.  하지만 음대 입시에서 커튼을 쳐 놓고 연주하게 한다고 입시 부정이 근절되던가? 연암도 답답해서 한 소리지 정말로 장님이 부러워 한 말은 아니었다. 우리나라 대법원 앞 정의의 여신상은 검 대신 법전을 들고 높이 의자에 앉아 있다. 법 앞에 만민이 평등하다는 의미일 터. 그런데 검이 없고 자세가 편해서일까? 준엄함이 보이지 않는다. 그녀는 눈을 가리고 있지 않지만 자꾸 인정에 휘둘릴 것만 같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상대반 (挽裳對飯)  (0) 2015.03.05
의금상경(衣錦尙絅)  (0) 2015.03.04
광이불요(光而不耀)  (0) 2015.03.02
독서망양(讀書亡羊)  (0) 2015.03.01
평지과협(平地過峽)  (0) 2015.02.28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