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만상대반 (挽裳對飯)

'일성록(日省錄)' 정조 17년 11월 25일 조에 인용된  영조의 수교(受敎)는 이렇다. "다른 사람과 치마를 당기거나 마주 앉아 밥을 먹다가(挽裳對飯) 그 남편이 보고서 분을 내어 혹 화가 나서 잘못 죽였을 경우는 모두 가벼운 형률에 따르도록 하라."

 

외간 남자가  아내의  치마꼬리를  끌어당기거나 아내가  외간 남자와 스스럼없이 겸상하고 앉아 밥을 먹는다. 우연히 이 광경을 목격하게 된 남편이 격분해 두 사람을 칼로 찔러 죽여도 살인죄로 기소하지 말고 가벼운 처벌에 그치라는 지시를 내린 내용이다. 이때 치마를 당기고 마주 앉아 밥 먹는다는 뜻의 만상대반(挽裳對飯)은 당시에 간통의 의미로 쓰던 말이다. 이 두 가지 행동은 이미 선을 넘은 허물없는 남녀 사이에서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기에 일종의 완곡 어법인 셈이다.

 

살인을 해도  가벼운 처벌에 그치라는  왕의 지침은  국가에서 혼외 성관계에 대한 처벌 의지가 그만큼 강했다는 뜻이기도 하고, 이렇게라도 하지 않고는 통제가 안 될 정도였다는 의미로도 읽힌다. 실제로 1785년 9월 평안도 철산 사람 서돌남은 아내 이씨가 김승추와 간통하자 둘을 붙잡은 후 아내의 머리카락을 모두 자르고 김승추의 머리통을 내려쳐서 죽였다. 정조는 살인한 서돌남의 석방을 명령했다. 아내 이씨의 간통 자백이 근거였다. 이런 예는 너무 많아 일일이 예거하기 힘들다.

 

1797년에는 경상도 함창 사람 최우룡이  술에 취한 상태에서  자신의 제수(弟嫂) 유씨를 희롱하며 몸을 더듬던 김흥재를 발로 차서 죽였다. 부부 사이의 일이 아니고 간통이 아님에도 정조는 최우룡의 감형을 명했다. 이 같은 잇단 판결은 당시 백성에게 간통죄 또는 성희롱 죄가 살인죄에 우선한다는 인식을 확실하게 심어주었을 법하다.

 

간통죄가  헌재의 위헌 결정으로  62년 만에 폐지되었다. 간통죄가 부부 사이 정조 의무의 상징적 보루로 여겨졌던 만큼 사회적 파장이 적지 않은 듯하다. 다분히 수사학적 표현이긴 해도 밥을 같이 먹었다고 살인마저 용서되던 세상에서 자유와 자율의 성숙한 사회로 옮겨가는 전이를 보는 듯해서 금석(今昔)의 감회가 새롭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안능지(具眼能知)  (0) 2015.03.07
문심혜두(文心慧竇)  (0) 2015.03.06
의금상경(衣錦尙絅)  (0) 2015.03.04
평등안(平等眼)  (0) 2015.03.03
광이불요(光而不耀)  (0) 2015.03.02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