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남방지강(南方之强)

스물네 살 나던 늦가을 이덕무(李德懋·1741~1793)가 과거 시험공부에 얽매여 경전 읽기를 게을리한 것을 반성하면서 '중용'을 펼쳤다. 99일부터 시작해 111일까지 날마다 '관독일기(觀讀日記)'를 썼다. 그날 읽은 '중용'의 해당 부분과 읽은 횟수, 그리고 소감을 적어 나갔다.

923일자 '관독일기'에서 그는 독서를 약()에다 비유했다. "중용이란 것은 원기가 충실하고 혈맥이 잘 통해, 손발이 잘 움직이고 귀와 눈이 총명해서 애초에 아무런 통증이 없는 종류이다. 중용을 잘하지 못하는 자는 처음에는 성대하고 씩씩하지 않음이 없으나 지니고 있던 병의 뿌리가 점차 번성하여 온갖 질병이 얽혀드니 만약 때에 맞게 조치하지 않는다면 마침내 죽음의 지경에 이르고 만다."

이 글은 제자 자로(子路)가 공자에게 굳셈에 대해 묻는 '중용'의 한 대목을 읽고 썼다. 자로가 묻는다. "선생님! 진정한 강함은 어떤 것입니까?" 공자가 대답한다. "남방의 강함을 말하느냐, 북방의 강함을 말하는 것이냐? 아니면 너의 강함을 말하느냐? 관대함과 온유함으로 가르치고, 무도한 자에게 보복하지 않는 것이 남방의 강함이다. 군자는 이렇게 한다. 창칼과 갑옷을 두른 채 죽어도 그만두지 않는 것은 북방의 강함이다. 강한 자가 이렇게 한다.(南方之强與? 北方之强與? 抑而强與? 寬柔以敎, 不報無道, 南方之强也, 君子居之. 袵金革, 死而不厭, 北方之强也, 而强者居之.)"

진정한 강함은 남방의 강함에 있다는 말이다. 이를 이어 공자는 군자의 강함이 품은 네 가지 덕을 말했다. 먼저 '화이불류(和而不流)''중립불의(中立不倚)'. 화합하여 품되 한통속이 되지 않는다. 중간에 우뚝 서서 어느 한쪽만 편들지 않는다. 다시 두 가지가 더 있다. 나라에 법도가 있으면 빈천할 때의 지조를 변하지 않고(國有道不變塞), 나라에 법도가 없어도 죽을지언정 뜻을 바꾸지 않는다(國無道至死不變). 이것이 공자가 생각한 진정한 강함이다.

이덕무는 그해 연말에 쓴 '갑신제석기(甲申除夕記)'에서 자신이 '관독일기'를 쓰게 된 계기가 바로 '중용'의 이 구절을 읽었기 때문이었다고 했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곡투식(國穀偸食)  (0) 2017.11.24
주미구맹(酒美狗猛)  (0) 2017.11.16
작각서아(雀角鼠牙)  (0) 2017.11.02
자만난도(滋蔓難圖)  (0) 2017.10.27
구전지훼(求全之毁)  (0) 2017.10.2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