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이 영남 선비 이인행(李仁行)에게 준 친필 글씨 중에 이런 내용이 있다. 긴 글을 간추려 읽는다. "편당(偏黨)이 나뉘면 반드시 기이한 재앙이 있게 마련이다. 우리나라의 일만 논해보겠다. 동인과 서인이 나뉘자 기축년의 옥사가 일어났고, 남인과 북인이 갈리매 북인은 마침내 큰 살육의 함정에 빠지고 말았다. 노론과 소론이 나뉘고 청남(淸南)과 탁남(濁南)이 갈라서자, 죽이고 치는 계교를 펼쳐, 밀치고 배척하여 떨치지 못하였다. 말의 날카로움은 창보다 예리하고, 마음자리는 가시 돋친 납가새나 명아주보다 험하다. 뜻을 같이하는 자는 부추겨서 드넓은 길로 내보내 돕고, 뜻을 달리하는 자는 밀쳐서 구렁텅이에 몸을 빠뜨린다. 헛것을 꾸미니 패금(貝錦)으로 글을 이루고, 기운을 부리자 화살과 돌멩이가 비오듯한다. 듣는 이가 하품하고 기지개 켜는 것은 돌아보지 않고, 논하는 자가 꾸짖어 물리치는 것도 생각지 않는다. 선배의 충후한 풍도는 잃어버리고, 시속의 경박한 자태만 받아들인다. 병장기를 각자 마음속에 숨겨놓고, 덫을 놓아 눈앞에서도 알 수가 없다. 그 솟구쳐 부딪치는 연유를 들어보면 모두 젊은이들이 객기를 부려서 마침내 이에 이른 것이다. 만약 나이가 많은 덕 높은 이가 이들을 야단쳐서 금지시켜 감히 제멋대로 난동을 부리지 못하게 했다면 그 흐름이 어찌 마침내 여기까지 이르렀겠는가? 번번이 나는 옳고 저쪽은 그르다면서 늘 자기는 펴고 남은 꺾으려 든다면 되겠는가? 내가 비록 백 번 옳고 저가 비록 백 번 그르다 해도, 서로 끊임없이 공격한다면 벌써 더러운 것과 결백한 것이 같아지고 만다." 190년 전에 쓴 글인데, 눈앞의 일을 예견해 말한 듯 생생하다.
멧돼지가 도심을 출몰하는 일은 이제 뉴스거리도 못 된다. 먹잇감을 찾아 아파트 단지와 운동장을 횡행하다, 먹이를 얻지도 못한 채 엽총에 맞아 비명에 죽는다. 사람들은 놀란 가슴을 쓸어내린다. 낭분시돌(狼奔豕突)이란 말이 있다. 이리 승냥이가 길길이 날뛰고 멧돼지가 저돌적(猪突的)으로 돌진하는 형국을 말한다. 무리 지어 패악을 부리며 길길이 날뛰느라 소란스러운 상태를 일컫는다. 오랑캐가 중원을 휘젓고 다니는 것을 이렇게 비유했다. 피를 본 이리는 눈에 뵈는 것이 없다. 굶주린 멧돼지는 닥치는 대로 들이받는다. 도심에 뛰어든 멧돼지는 이치로 달래서 산속으로 돌려보낼 방법이 없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