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대오구금(臺烏久噤)

다산이 '양성이 바른말로 간하지 않아 한유가 나무란 것을 당나라 신하들이 축하하다(唐羣臣賀韓愈書責陽城以不諫)'란 글에서 썼다. "옳은 길로 권면함이 도리이건만, 장마(仗馬)가 울지 않음 개탄스럽네. 어이 일이 없는데 말을 하겠나? 대오(臺烏)가 오래 입 다묾을 탄식하노라(責以善是道也, 慨仗馬之不鳴. 豈無事可言耶? 歎臺烏之久噤)."

장마불명(仗馬不鳴)과 대오구금(臺烏久噤)은 고사가 있다. 당나라 때 보궐(補闕) 두진(杜璡)이 간신 이임보(李林甫)의 국정 농단을 간언했다가 지방관으로 좌천되었다. 떠나기 전 동료들에게 말했다. "자네들, 입장마(立仗馬)를 보지 못했나? 종일 울지 않으면 꼴과 콩을 실컷 먹고, 한 번이라도 울면 쫓겨난다네. 쫓겨난 뒤에는 비록 울지 않으려 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입장마는 의장대(儀仗隊)에 서 있는 말이다. 가만있지 않고, 몸을 움직이거나 힝힝대면 바로 쫓겨난다. 두진의 말뜻은 이렇다. "꼴 맛에 길들어 우는 것을 잊었군. 간관(諫官)이 바른말을 잊으면 의장대의 저 말과 다를 게 뭔가? 나는 가네. 자네들 꼴 잘 먹고 살이나 찌시게들." 이것이 장마불명, 즉 울지 않는 의장마 이야기다.

한나라 때 어사부(御史府) 앞에 잣나무가 줄지어 서 있었다. 수천 마리의 까마귀가 아침저녁으로 모여 앉아 시끄럽게 짖어댔다. 이후 사간원을 오대(烏臺)라 불렀다. 증공량(曾公亮)이 늙어 정무를 감당하지 못하면서도 벼슬에서 물러나지 않았다. 대간 중 누구도 이를 지적하지 않자 이복규(李復圭)가 시를 지어 조롱했다. "연못가 늙은 봉황 웅크린 채 안 떠나도, 대 위 주린 까마귀는 입 다물고 말 안 하네(老鳳池邊蹲不去, 飢烏臺上噤無聲)." 이것이 또 대오구금의 고사다. 간관이 직무를 유기 한 채 입을 꽉 다문 것을 말한다. 입을 다물면 맛있는 꼴이 생기고, 바른말을 하면 즉시 쫓겨나기 때문이다.

김종직(金宗直)'술회(述懷)' 시에서 말했다. "양심은 엄정하고 여론은 공정하니, 대오(臺烏)가 입 다물고 말이 없다 하지 마소(天君有嚴輿論公, 莫謂臺烏噤無語)." 의장대의 말과 어사부의 까마귀가 입을 꽉 닫아도 세상에는 양심과 공론이 있단 말씀!//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요사병(六要四病)  (0) 2020.02.06
패위회목(佩韋晦木)  (0) 2020.01.30
응신식려(凝神息慮)  (0) 2020.01.16
삼절삼멸(三絶三滅)  (0) 2020.01.09
지려작해(持蠡酌海)  (0) 2020.01.02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