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수이불실(秀而不實)

모를 심어 싹이 웃자라면 이윽고 이삭 대가 올라와 눈을 내고 꽃을 피운다. 그 이삭이 양분을 받아 알곡으로 채워져 고개를 수그릴 때 추수의 보람을 거둔다. 처음 올라오는 이삭 대 중에는 아예 싹의 모가지조차 내지 못하는 것이 있고, 대를 올려도 끝이 노랗게 되어 종내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도 있다. 이런 것은 농부의 손길에 솎아져서 뽑히고 만다. 싹의 모가지가 싹아지, 즉 싸가지다. 이삭 대의 이삭 패는 자리가 싹수(穗)다. 싸가지는 있어야 하고, 싹수가 노래서는 안 되는 이유다. 사람도 마찬가지다.

 

공자는 논어'자한(子罕)'에서 이렇게 말했다."싹만 트고 꽃이 피지 않는 것이 있고, 꽃은 피었어도 결실을 맺지 못하는 것이 있다."(苗而不秀者有矣夫, 秀而不實者有矣夫!) 묘이불수(苗而不秀)는 싸가지가 없다는 말이다. 수이불실(秀而不實)은 싹수가 노랗다는 뜻이다. 싹이 파릇해 기대했는데, 대를 올려 꽃을 못 피우거나, 꽃 핀 것을 보고 알곡을 바랐지만 결실 없는 쭉정이가 되고 말았다는 얘기다. 결과는 같다.

 

모판에서 옮겨져 모심기를 할 때는 모두가 푸릇한 청춘이었다.   들판의 꿈은 푸르고 농부의 기대도 컸다. 애초에 싸가지가 없어 솎아지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고만고만한 중에 싹수가 쭉쭉 올라오면 눈길을 끌지만 웃자라 양분을 제대로 못 받고 병충해를 입고 나면 그저 뽑히고 만다. 탐스러운 결실을 기대했는데 참 애석하다.

 

한나라 때 양웅(揚雄)의 아들 자오(子烏)는 나이 아홉에 어렵기로 소문난 아버지의 책 '태현경(太玄經)' 저술 작업을 곁에서 도왔다. 두보의 아들 종무(宗武)도 시를 잘 써서 완병조(阮兵曹)가 칭찬한 글이 남아 있다. 중추(中樞) 벼슬을 지낸 곽희태(郭希泰)는 다섯 살에 '이소경(離騷經)'을 다섯 번 읽고 다 외웠다는 전설적인 천재다. 권민(權愍)은 그 난해한 '우공(禹貢)'을 배운 즉시 책을 덮고 다 암송했다. 하지만 이들은 후세에 아무 전하는 것이 없다.

 

천재가 꾸준한 노력을 못 이긴다.   대기만성(大器晩成)이 맞는 얘기다. 네 시작은 미약하였으되 네 끝은 창대하리라. 이것은 성경의 말씀이다. 시작만 잔뜩 요란하다가 용두사미로 흔적 없이 사라지는 것들이 더 많다. 재주를 못 이겨 제풀에 고꾸라진다. 꾸준함이 재주를 이긴다. 노력 앞에 장사가 없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진벽산(紅塵碧山)  (0) 2015.08.04
노다정산(勞多精散)  (0) 2015.08.03
신용어시(愼用於始)  (0) 2015.08.01
세심방환(洗心防患)  (0) 2015.07.31
잠시광경 (暫時光景)  (0) 2015.07.30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