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옥작불휘(玉爵弗揮)

 

송나라 문언박(文彦博)이 낙양령으로 있을 때 일이다. 옥 술잔을 꺼내 귀한 손님을 접대했다. 관기(官妓)가 실수로 하나를 깨뜨렸다. 문언박이 화가 나서 죄 주려 하자, 사마광(司馬光)이 붓을 청해 글로 썼다. “옥 술잔을 털지 않음은 옛 기록에서 전례(典禮)를 들었지만, 채색 구름은 쉬 흩어지니, 과실이 있더라도 이 사람은 용서해줄 만하다(玉爵弗揮, 典禮雖聞於往記. 彩雲易散, 過差可恕於斯人).” 문언박이 껄껄 웃고 풀어주었다.

 

이 말은 예기'곡례(曲禮)’ ()옥 술잔으로 마시는 자는 털지 않는다(飮玉爵者弗揮)”고 한 데서 나왔다. 옥 술잔에 남은 술을 털려다가 자칫 깨뜨리기가 쉬우니 아예 털지 말라는 뜻이다. 옥 술잔을 깨뜨린 것은 혼이 나야 마땅하지만, 채색 구름은 금방 흩어진다. 저 젊은 관기의 어여쁜 용모도 얼마 못 가 시들고 말 테니 이번만은 특별히 용서해주는 것이 어떻겠느냐는 이야기다. ‘동고잡록(東皐雜錄)’에 나온다. 다산도 이 글을 목민심서'에 인용했는데, 관기를 관노(官奴)로 잘못 적어 문맥이 이상해졌다.

 

백거이(白居易)는 소간간(蘇簡簡)이란 어여쁜 13세 소녀가 일찍 죽은 것을 애도해 지은 간간음(簡簡吟)’이란 시에서 이렇게 노래했다. “대부분의 좋은 물건 단단치가 못하니, 채색 구름 쉬 흩어지고 유리는 잘 깨진다네(大都好物不堅牢, 彩雲易散琉璃脆).” 귀하고 좋은 것은 깨지기 쉽고, 노을빛이 곱고 아름답지만 금세 사라지고 만다. 그래서 그것이 더 아깝고 귀하다.

 

한위공(韓魏公)이 높은 벼슬에 있을 때 1백금을 주고 옥 술잔 한 쌍을 샀다. 밭 갈던 자가 옛 무덤에서 얻은 것으로, 흠집 하나 없는 희귀한 보물이었다. 하루는 귀한 손님을 맞아 술자리를 베풀었는데, 아전 하나가 잘못 다뤄 옥 술잔 두 개가 다 깨졌다. 그는 낯빛을 바꾸지 않고 좌중의 손님에게 말했다. “물건이 이루어지고 부서지는 것 또한 절로 때가 있는 법이지요.” 아전을 돌아보며 말했다. “네가 잘못했다. 하지만 일부러 그런 것이 아니니 어찌 죄가 있겠느냐?” 귀한 옥 술잔을 부주의로 깬 것은 아깝지만, 아랫사람의 실수를 보듬어 감싸는 윗사람의 뜻이 참 두텁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불린(磨而不磷)  (0) 2021.02.11
백년양조(百年兩朝)  (0) 2021.02.04
죽외일지(竹外一枝)  (0) 2021.01.21
탄조모상(呑棗模象)  (0) 2021.01.14
기득환실(旣得患失)  (0) 2021.01.07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