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아만(我慢)의 반성

 

추사는 좀체 남을 인정하는 법이 없었다. 남이 한 것은 헐고, 제 것만 최고로 쳤다. 아집과 독선에 찬 언행으로 남에게 많은 상처를 입혔다. 그가 단골로 꺼내든 카드는 '내가 중국에 갔을 때 실물을 봤는데'였다. 보지 못한 사람들은 그 한마디에 그만 꼬리를 내렸다. 조선에서는 그의 경지를 넘볼 사람이 없었다. 중국학자들도 그를 호들갑스레 높였다. 재료도 중국제의 최고급만 골라 썼다.

 

그런 그가 만년에 제주와 북청 유배를 거듭 다녀온 뒤 결이 조금 뉘어졌다. 북청 유배에서 풀려 돌아오다 강원도 지역을 지날 때였다. 길을 가는데 옥수수 밭에 둘린 초가집이 한 채 있었다. 흘깃 보니 늙은 내외가 마루에 나와 앉아 웃으며 이야기꽃이 한창이었다. 내외는 길 가던 손이 불쑥 마당으로 들어서는 모습을 보았다. 손은 물 한 잔을 달래 마시더니 잠시 쉬어 가겠다는 듯 마루에 슬쩍 엉덩이를 걸친다. "여보 노인! 올해 나이가 몇이우?" "일흔입지요." "서울은 가 보았소?" "웬걸인겁쇼. 관청에도 못 들어가 보았습니다." "그래 이 산골에서 무얼 자시고 사우?" "옥수수를 먹고 삽니다."

 

추사는 순간 마음이 아스라해졌다. 삶의 천진한 기쁨은 어디서 오는가? 한 세상을 발아래 둔 득의의 나날도 있었다. 세상이 알아주는 한다하는 이가 반눈에도 차지 않았다. 하지만 갖은 신산(辛酸)을 다 겪고, 제주 유배지에서 아내마저 떠나보낸 뒤, 다시 북청까지 쫓겨 갔다. 이제 늙고 병들어 가을바람에 지친 발걸음을 재촉한다. 타관의 꿈자리는 늘 뒤숭숭하다. 흰 머리의 내외가 볕 바라기로 앉은 툇마루의 대화, 서울 구경 한번 못하고 관청 문 앞에도 못 가봤지만, 옥수수 세 끼니로도 그들의 얼굴엔 시름의 그늘이 없었다. 아주 행복해 보였다.

 

그가 쓴 시는 이렇다. "두어 칸 초가집에 대머리 버들 한 그루, 노부부의 흰 머리털 둘 다 쓸쓸하구나. 석 자도 되지 않는 시냇가 길가에서, 옥수수로 갈바람에 칠십년을 보냈네."(禿柳一株屋數椽, 翁婆白髮兩蕭然. 未過三尺溪邊路, 玉薥西風七十年.) 시를 지은 뒤 앞서의 문답을 적고, 그는 이렇게 썼다. "나는 남북을 부평처럼 떠돌고, 비바람에 휘날렸다. 노인을 보고 노인의 말을 듣고 나니, 나도 몰래 망연자실해졌다." 한 해의 끝자락에서 문득 나를 돌아본다.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사(一字師)  (0) 2015.01.11
새 아침  (0) 2015.01.10
용서성학 (傭書成學)  (0) 2015.01.08
열복(熱福)과 청복(淸福)  (0) 2015.01.07
말의 행간  (0) 2015.01.0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