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한운불우 (閑雲不雨)

책상 속 낡은 물건을 정리하는데 해묵은 글씨 하나가 나온다. '한운불우(閑雲不雨)'란 네 글자가 적혀 있다. 빈 하늘을 떠도는 한가로운 구름은 결코 비를 뿌리지 못한다. 구름은 비가 되어 내려와 지상의 사물에 생명을 불어넣을 때 그 소임을 마친다. 게을리 놀기만 하면 보람을 거둘 날이 없다는 뜻일까? 구름이 비가 되어 내리려면 왕성한 기운이 한데 모여 걷잡을 수 없이 흘러넘쳐야 한다. 쉬엄쉬엄 느릿느릿 배를 깔고 떠가는 구름은 보기에는 여유로워도 산 중턱에서 이리저리 흩어지고 만다.

 

송나라 육유(陸游·1125~1210)'유교만조(柳橋晩眺)'란 시에 이 구절이 나온다. 시는 이렇다. "작은 물가 고기 뛰는 소리 들리고, 누운 숲서 학 오기를 기다리노라. 한가한 구름은 비가 못 되어, 푸른 산 주변서 흩날리누나(小浦聞魚躍, 橫林待鶴歸. 閑雲不成雨, 故傍碧山飛)." 버드나무를 배경에 세운 다리 위에서 저물녘 경물을 바라보며 쓴 시다. 해가 뉘엿해 고즈넉한데 이따금 고기가 물 위로 뛰어오른다. 길게 누운 숲의 실루엣에 눈길을 주려니 비를 만들지 못한 심심한 구름이 산허리를 기웃대다 제 풀에 흩어진다.

 

시인은 비를 못 만든 채 흩어지고 마는 구름에다 자신의 신세를 투영했다. 젊어 장한 뜻을 품었으되 이룬 것 없는 빈손뿐이다. 피어나던 꿈, 솟구치던 기상은 어디 갔나. 특별히 안타깝기보다는 약간의 아쉬움을 머금은 관조(觀照)에 가깝다.

 

기대승(奇大升·1527~1572)은 노진(盧稹)을 전송하며 지어준 '하늘 가 구름[天際雲]'이란 시의 첫머리에서 "유유히 하늘가로 떠가는 구름, 바라고 또 바라도 비는 못 되네. 좋은 시절 덧없이 멀리 떠나고, 이별 앞에 마음만 더욱 괴롭다(悠悠天際雲, 望望不成雨. 良辰忽已邁, 離別意更苦)."라 하여 벗을 떠나보내는 허전함을 노래했다. 하늘가의 구름은 멀리 지방관으로 내려가는 벗이고, 비가 되기를 바랐다는 것은 그가 중앙에 쓰임을 받아 그 은택이 백성에게까지 미치기를 소망했다는 의미다.

 

청춘의 꿈은 뭉게구름이다. 우레를 품고 큰비가 되어 대지를 적신다. 노년의 꿈은 새털구름이다. 석양 빛에 곱게 물들다 욕심 없이 스러진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자문결(一字文訣)  (0) 2015.10.29
약상불귀(弱喪不歸)  (0) 2015.10.28
옹독취보 (甕櫝聚寶)  (0) 2015.10.26
명계양지(冥契陽贄)  (0) 2015.10.25
공자명강(公慈明剛)  (0) 2015.10.24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