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용형삼등(用刑三等)

 

181434일 문산(文山) 이재의(李載毅)가 강진 귤동으로 다산을 찾아왔다. 다산초당은 이때 이미 인근에 아름다운 정원으로 소문이 나 있었다. 당시 그는 영암군수로 내려온 아들의 임지에 머물다가 봄을 맞아 바람도 쐴 겸 해서 유람을 나섰던 길이었다. 고작 24세에 고을 수령이 된 아들이 못 미더웠던 이재의는 다산에게 아들이 지방관으로 지녀야 할 마음가짐에 대해 몇 마디 적어줄 것을 부탁했다. 이에 다산은 '영암군수 이종영을 위해 써준 증언(爲靈巖郡守李鍾英贈言)' 7항목을 써주었다.

 

이 가운데 고을 관리가 법 집행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단계를 논한 내용이 있어 소개한다. 글은 이렇다. "관직에 있으면서 형벌을 쓰는 데는 마땅히 세 등급이 있다[用刑三等]. 무릇 민사(民事)에는 상형(上刑)을 쓰고, 공사(公事)에는 중형(中刑)을 쓰며, 관사(官事)에는 하형(下刑)을 쓴다. 사사(私事)는 무형(無刑), 즉 형벌을 주면 안 된다(居官用刑, 宜有三等. 凡民事用上刑, 凡公事用中刑, 凡官事用下刑. 私事無刑可也)." 민사는 공무원이 백성을 등치거나 포학하게 굴어 이익을 구한 경우다. 가차 없이 엄하게 처리한다. 공사는 공무(公務) 수행상 실수를 범하거나 소홀히 한 경우다. 직분 태만의 벌이 없을 수 없다. 관사는 관장의 수행 인력이 보좌를 제대로 못 한 상황이다. 직무 소홀의 견책이 없을 수 없지만, 징계 수준은 가볍다. 사사는 사사로운 영역에서 발생하는 문제다. 이때는 형벌을 쓸 수 없다. 화가 나도 참아야 한다.

 

민사상형(民事上刑), 공사중형(公事中刑), 관사하형(官事下刑), 사사무형(私事無刑)의 네 가지 단계가 있다. 못난 인간들은 꼭 반대로 한다. 비서진을 제 몸종 부리듯 하고, 집안일과 공적인 일을 분간하지 못한다. 나랏일 그르치고 백성 등쳐 먹는 일에는 눈감아 주다 못해 같이 나눠 먹자며 추파를 던질망정, 체모에 손상이 오거나 챙길 수 있는 이익을 놓치는 것은 절대로 못 참는다. 여기에 무슨 위엄이 서며, 말을 한들 어떤 신뢰가 실리겠는가? 앞에서 '예예' 하고는 돌아서서 '에이, 도둑놈!' 한다.//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탕척비린(蕩滌鄙吝)  (0) 2016.08.10
의관구체(衣冠狗彘)  (0) 2016.08.03
사기만지(死氣滿紙)  (0) 2016.07.20
팔십종수(八十種樹)  (0) 2016.07.13
화진유지(火眞有知)  (0) 2016.07.0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