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정(中正)

고사성어 2015. 2. 9. 05:47

글 찾기(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중정(中正)

 

다도(茶道)는  차와 물과 불이 최적의 조합으로 만나  이뤄내는 지선(至善)의 경지를 추구한다. 초의(艸衣) 스님은 차 안의 신령한 기운을 다신(茶神)이라 하고, 다신을 불러내려면 차와 물과 불이 중정(中正)의 상태로 만나야 함을 강조했다.

 

먼저 좋은 찻잎을 제때 따서 법대로 덖는다. 찻잎을 딸 때는 계절을 따지고 시간과 날씨도 가린다. 덖을 때는 문화(文火)와 무화(武火), 즉 불기운의 조절이 중요하다. 물은 그 다음이다. 좋은 물이라야 차가 제 맛을 낸다. 다만 알맞게 끓여야 한다. 물이 덜 끓으면 떫고, 너무 끓으면 쇤다. 이제 차와 물이 만난다. 차를 넣어 우린다. 적당량의 차를 적절한 시점에 넣고, 제때에 따라낸다. 이러한 여러 과정 중의 하나만 잘못되어도 다신(茶神)은 제 모습을 보여주지 않는다. 찻잎을 따서 덖고, 찻물을 길어 끓이며, 찻잎을 넣어 우리는 모든 과정에 중정(中正)의 원리가 적용된다. 더도 덜도 아닌 꼭 알맞은 상태가 중정(中正)이다. 다도는 결국 이 각각의 단계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체계를 얻는 데 달렸다.

 

인간의 삶에 비춰 봐도 중정의 원리는 중요하다. 차가 정신이면 물은 육체다. 정신과 육체가 조화를 유지하고, 문무를 겸비하며, 때의 선후를 잘 판단하는 것이 성공의 비결이다. 세상이 나를 알아줘도 내가 그에 걸맞은 자질을 못 갖추었다면 물은 좋은데 차가 나쁜 것이다. 내 준비가 덜 됐는데 세상이 나를 부르거나, 내가 준비되었을 때 세상이 나를 돌아보지 않음은 문무(文武)가 조화를 잃은 것에 해당한다. 차와 물과 불이 조화를 얻어도, 너무 서두르거나 미적거려 중정을 잃으면 차 맛을 버린다. 과욕을 부려 일을 그르치거나, 상황을 너무 낙관하다가 다 된 밥에 코를 빠뜨리는 경우다.

 

초의는 '동다송(東茶頌)'에서 노래한다. "체와 신이 온전해도 중정 잃음 염려되니, 중정이란 건(健)과 영(靈)이 나란함에 불과하네." 차 좋고 물 좋아도 중정을 잃으면 차가 제 맛을 잃고 만다. 중정은 차건수령(茶健水靈), 즉 물이 활기를 잃지 않아 건강하고, 차가 신령스런 작용을 나타내는 최적의 상태를 뜻한다. 다신은 그제야 정체를 드러낸다. 사람 사는 일도 다를 게 하나 없다. 삶이 중정의 최적 상태를 유지하려면 어찌 잠시인들 경거망동할 수 있겠는가? //정민;한양대 교수·고전문학 /조선일보

 

⇨ 세설신어 목록(世說新語索引表)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궁하필위 (窮下必危)  (0) 2015.02.11
지언(知言)  (0) 2015.02.10
군인신직(君仁臣直)  (0) 2015.02.08
다소잠(多少箴)  (0) 2015.02.07
가사어(袈裟魚)  (0) 2015.02.06
Posted by 외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