宰我問 (재아문)
재아가,
三年之喪期已久矣 (삼년지상기이구의) ,
‘삼년상은 만(滿) 일 년만으로도 충분한 기간입니다.
君子三年不爲禮 (군자삼년불위례) ,
군자가 삼년을 예를 베우지 않으면,
禮必壞 (예필괴) ,
예는 반드시 필요 없게 되겠고.
三年不爲樂 (삼년불위락) ,
삼년동안 아악도 배워(익히)지 못하면,
樂必崩 (락필붕) ,
아악은 결국 쓸모없이 될 것입니다.
舊穀旣沒 (구곡기몰) ,
낡은 곡식은 없어지고,
新穀旣升 (신곡기승) ,
햇곡식이 익으며,
鑽燧改火 (찬수개화) ,
불 나르는 나무(부삽)를 털어 문질러서
불을 새로 붙이(고 하는 것처럼,
일 년 마다 한차례씩 돌아오)니
期可已矣 (기가이의) ,
한 일 년쯤으로 하여도 되지 않겠습니까?’
고 물어보니까,
子曰 (자왈) ,
선생께서는,
食夫稻 (식부도) ,
‘(어버이가 돌아가시고서 삼년 채우지 않았는데)
그 이(쌀)밥을 입에 넣고,
衣夫錦 (의부금) ,
값지고 아름답고 훌륭한 옷을
입는다는 것이,
於女安乎 (어여안호) ,
너에게는 아무 것도 아니란 말이냐?’
고 말씀하시니,
曰 (왈) ,
(재아가)말하기를,
安 (안) ,
‘아무렇지도 않습니다.’
(고 하였다)
女安則爲之 (여안칙위지) ,
(선생께서)
‘네가 아무렇지도 않다면 그렇게 하려무나.
夫君子之居喪 (부군자지거상) ,
대체, 군자가 상복을 입고 있는 동안이라고 하는 것은,
食旨不甘 (식지불감) ,
맛있는 것을 먹어도 맛이 없고,
聞樂不樂 (문락불락) ,
아악을 들어도 즐겁지 않고,
居處不安 (거처불안) ,
집안에 머물러 있어도 편안하지 않다.
故不爲也 (고불위야) ,
그래서 그렇게 하지 않았다.
今女安則爲之 (금여안칙위지) ,
하지만, 네가 아무렇지도 않다면 그렇게 하려무나.’
고 말씀하셨다.
宰我出 (재아출) ,
재아가 나가고 나니,
子曰 (자왈) ,
선생께서 말씀하시기를,
予之不仁也 (여지불인야) ,
‘여(재아/宰我)는 어질지도 착하지도 못하다.
子生三年 (자생삼년) ,
자식은 태어나서 삼년이,
然後免於父母之懷 (연후면어부모지회) ,
돼(넘어)서야 부모의 품안에서 벗어난다.
夫三年之喪 (부삼년지상) ,
저 삼년의 상(喪)이란 것은
(그런 것을 생각하고 정한 것이니)
天下之通喪也 (천하지통상야) ,
세상의 어느 누구라도 (반드시)행할 상(喪)이다.
予也有三年之愛於其父母乎 (여야유삼년지애어기부모호) .
여(予)도 그의 부모로부터
삼년동안의 사랑은 받았을 터인데도(그렇구나).’
(고 하셨다)
* 삼년의 상(喪)---어버이가 돌아가시고 25개월(왕숙설/王肅說),
혹은 27개월(정현설/鄭玄說),
요컨대 햇수로 삼년 상복을 입는 일,
일체의 공무를 놓고 평상시와는 다른
의식주(예의 규정이 있다)로 생활함.
* 불을 나르는 나무(부삽)....---굳은 나무를 털어서 불을 떨어내는 것인데, 그 나무의 종류가 사계절에 따라서 바뀌어,
그 것이 일 년으로 한 바퀴 도는 습속(習俗)이었다.
* 不仁---인(仁)은 사랑을 주로 한 덕(德),
어버이를 생각하는 정을 흠 내는 것으로
불인(不仁)이라고 했다.
외통논어 찾기
머릿말 / 춘추시대약도 / 공자년표 / / 1 / 2 / 3.4 / 5 / 6.7 / 8.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위정(爲政)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팔일(八佾)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이인(里仁)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공야장(公冶長)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옹야(雍也) / 1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술이(述而)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태백(泰伯) / 1.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자한(子罕) / 1 / 2 / 3 / 4 / 5 / 6.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28 / 29 / 30 / 31 / 32 / 향당(鄕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선진(先進)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안연(顔淵)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자로(子路)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27 / 28 / 29 / 30 / 헌문(憲問) / 1 / 2 / 3.4 / 5.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위령공(衛靈公) / 1 / 2 / 3 / 4.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계씨(季氏)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양화(陽貨)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미자(微子)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자장(子張) / 1 / 2 / 3 / 4 / 5.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요왈(堯曰) / 1 / 2 / 3 / 4 / 5 / 찾기외통논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