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91151130310 너와 나의 만남
.
“너희는 성경에서
이 말씀을 읽어 본 적이 없느냐?
‘집 짓는 이들이 내버린 돌,
그 돌이 모퉁이의 머릿돌이 되었네.
이는 주님께서 이루신 일, 우리 눈에 놀랍기만 하네.’
그러므로 내가 너희에게 말한다.
하느님께서는 너희에게서 하느님의 나라를 빼앗아,
그 소출을 내는 민족에게 주실 것이다.”
철학자 마르틴 부버의
『나와 너』라는 책의 내용에 따르면,
인간의 만남에는 두 종류가 있답니다.
곧 ‘나와 그것’의 만남과 ‘나와 너’의 만남이랍니다.
‘나와 그것’의 만남이란
비인격적인 만남이랍다.
필요에 따라 이용하고자
갖게 되는 만남인 것입니다.
그래서 사용 가치가 없으면
사라지게 되는 만남이랍니다.
이를테면 학생이 볼펜을 만났을 때
그것은 ‘나와 그것’의 만남이 된답니다.
이와 반대로 ‘나와 너’의 만남은
인격적인 사랑의 만남이랍니다.
함부로 상대를 버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사랑을 주고받음으로써 그 만남이 풍요롭게 되고,
발전하며, 아름다워져 가는 경우랍니다.
이를테면 부모와 자식,
연인들의 만남은 ‘나와 너’의 만남이랍니다.
오늘날 참으로 불행한 것은
‘나와 너’의 만남이
점점 더
‘나와 그것’의 만남으로
바뀌고 있다는 것이랍니다.
아버지를 돈 버는 기계로,
자식을 공부하는 기계로,
엄마를 밥해 주는 기계로
생각하여
상대를 이용 가치에 따라
만나는 풍토로 변하고 있답니다.
복음을 보면,
소작인들에게 주인은
‘너’가 아니라 ‘그것’이랍니다.
이들은, 포도밭을 애지중지 가꾸어
그들에게 믿고 맡긴
주인의 그 마음을 헤아리지 않는답니다.
다만 포도밭을 차지할 욕심에
주인도, 주인이 보낸 종들도, 그 아들까지도
제거해야 할 대상으로 삼을 뿐이랍니다.
이들의 폭력은,
바로 인격적인 만남을 바라는
주인과는 달리
비인격적으로 주인을 대하는
태도에서 비롯된 것이랍니다.
우리는?
우리 역시 주위의 사람들을
‘너’가 아니라
‘그것’으로 바라보는 것은 아니냐고 묻습니다.
나는? 외통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