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이란 바위와 나무와 풀이 있고 오르막이 있는 형체인데 이것들하고는 전혀 다른, 풀포기나, 나무나, 바위가 전혀 없고 순 모래로만 된 언덕, 산이 있다. 우리나라에 있을 리가 없는 사막이 엄연하게 있는, 우리의 고향이다.
우리 뱁새걸음으로는 교정을 떠나서 해가 중천에 올랐을 즈음 이곳에 닿을 수 있는 곳, 이름하여 ‘모래 산’은 적어도 3학년은 올라야 갈 수 있는 곳, 꽤 먼 거리에 있는 곳인데, 몇 학년 때인지는 알 수 없지만 두 번을 ‘원족(遠足)’이라고 하는, 소풍 간 적이 있다.
바닷가의 솔밭 사이 오솔길을 지루하게 가다가 보면 옅은 물을 건너고 그 저쪽에 더는 갈 수 없는 것처럼 앞을 가려 우뚝 솟은 모래 산이 보인다.
여기에서의 수칙(守則), 첫째는 모래를 손에 쥐고 던지지 못하고, 둘째는 도시락 뚜껑을 지정된 시간 외에 열지 못하고, 셋째는 도시락과 신발은 반드시 한곳에 모아두고, 넷째는 입을 벌리지 말고, 다섯째는 모래에 묻히는 친구를 발견하면 선생님께 알릴 것 등이다.
이 모래 산이 겹으로 있어서 우리가 놀기엔 그저 천국이나 다름없다. 하지만 이곳에 오는 날을 잘못 잡아서, 소슬바람이라도 불면 모래 밥을 씹어야 하고 뺨에 모래알을 맞아야 하고, 소풍은 엉망이 된다.
여기 놀이는 따로 정할 필요가 없다. 시간이 금방 가는, 하늘이 만든 어린이 놀이터다. 개울이 있고 바다가 있고 소나무 숲이 있고 모래 산이 있고, 어디에 이런 놀이 공간이 있을 것인가?
생성과정(生成過程)을 생각하는 습관에서, 이제 내 임의로 풀어본다.
넓은 벌판을 가로질러 바다로 흐르는 개울은 바람을 수면에 미끄러지듯 끌어들이고, 이 바람은 다시 소나무 숲을 만나면서 거슬러서 역류 교차하면서 땅 위의 모래를 실어 올린다. 그 바람이 소용돌이치며 계속 같은 지점을 통과하게 되는데, 바람의 힘이 약해서 모래를 땅에 떨어뜨리는 것이 반복돼서 생성됐을 것이다. 라는 생각을 해 본다.
이 조건을 갖추려면 개울 폭의 양안에 바싹 붙여서 나무를 넓게 심고 높이 가꾸어야 하는, 꽤 긴 세월 필요로 할 것이다. 즉 넓은 들판을 거침없이 모라 치며 미끄러져 부는 바람의 이중효과다.
바람이 물길을 따라 다른 바람보다 순조롭게 해면으로 흐르는 조건과, 들판을 달려온 바로 옆의 바람은 송림의 저항을 받아서 한숨 죽어 회오리 지면서 바다로 흐르는 조건을 만들면 될 것 같다. 많은 해수욕장이 이런 조건을 주어서 새로운 명소로 만들면 어떨까, 싶다.
애들이 해마다 이 모래 산을 찾아 구르고 미끄러져 무너뜨리건만 이듬해에 가보면 여전히 ‘모래산’은 ‘건재?’하다. 다만 있는 자리가 강, 아니 개울 쪽으로 가까이 있다가 좀 멀리 떨어졌다가 하는, 그 차이뿐이고 크기는 언제나 고만고만한 동산이다.
요즈음 우리네 봉이 ‘김선달’식 인심으로 보아서는 아마 해마다 그곳에서 모래 장사를 하지 않을까 해서, 미래의 걱정도 해 보며 홀로 웃어본다.
지나간 것은 모두 아름다운 것이라던가? ‘모래산’ 조차 그립다./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