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란 하늘에 깃털 구름이 날아갈 듯이 떠서 팔월의 해풍을 발아래 모아들인다. 작열하는 태양을 잡을 듯 손을 뻗든 텃논의 벼 포기는 소리 내어 일렁인다. 멀리, 한바탕 먹구름이 몰려 천둥 번개를 치고 지나갔는지, 하늘이 묵직이 운다.
교사 외벽에 붙은 송판의 ‘골탄: 골타루?’ 기름이 녹아 방울져 흐르고, 교정의 모든 활엽수는 축 늘어져서 물기를 기다린다. 모든 게 조는 듯, 숨죽여서 쉬는 듯, 고요한 한낮이다.
벌서. 오래전부터 파기 시작한 방공호는 앞으로 며칠이나 더 걸릴지 모르지만, 아직은 파고 넓히고 깊이를 더해야 한다.
괭이와 삽을 들고 철길 건널목 넘어서 ‘강터’ 고갯마루에 닿아, 일하기 시작했다.
이곳 산은 거의 마사 토인 것은 내가 사는 고장의 특성이다. 고사리 같은 손에 무겁게 들린 괭이로 쪼고, 삽으로 퍼내서 하루에 일 이미터씩 파고 들어갈 수 있는 것도 이런 지질의 덕을 보는 터다.
얼마만큼의 진동으로 무너지는지 얼마만큼의 응집력으로 벽면과 천장이 견디어 내는지를 시험도 없고 측정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그저 시키니 할 따름이다.
매일 우리의 방과(放課) 시간을 이곳에서 보낸다.
얼마를 파냈는지, 제법 굴 같은 깊이가 되니까 오히려 그곳이 우리의 놀이터가 된 듯, 싫지 않았다.
여름날의 피서지가 됐고, 우리 마음대로 작품화(作品化)되는, 그런 이상한 쾌감마저 있다. 벽면에 여러 가지 그림을 그려보는가 하면, 조각도 해보면서 파내도 무너질 염려가 없는, 이것이 ‘썩 벼룩’이다. 그러나 무한정 깊어지질 않았다.
얼추, 십여 미터쯤 파고 들어간 수평 깊이에서 지질의 색과 무늬는 같은데도 파는 손에 다가오는 촉감은 달랐다.
손목이 아프고 괭이는 튀고 삽은 제자리에서 겉돌며 미끄러진다.
여기까지가 우리의 몫이다.
학교에서 이곳까지는 십여 분은 족히 걸리는 거리임에도 공습에 대비한다는 것은 조금 걸맞지 않게 보인다. 아마도 명목상의 시설인 것 같기도 한데, 그래도 방공호란다. 정작 방공호는 학교 마당 한구석, 교장선생 사택 앞에다 파놓고 그 위에다 통나무를 걸치고 또 그 위에 흙을 덮었다. 양쪽이 트여서 들어가기는 쉬워도, 이게 또 방공호가 되는 것으로 알아야 하는 나의 머리가 좀 복잡하다.
총알받이는 될지 몰라도 폭탄 피하기는 영 그른 것 같지만, 방공호로 알아주어야 한다. 폭탄이 떨어졌을 때 ‘사람이 날아가지 않고 눈알 나오지 않을’, 만한 장소로는 그럴싸한지, 그것도 모르겠다.
그 후, 한 번도 우리가 판 방공호에 들어가 보질 못했다. 공습도 없었다. 다만 총검술이나 방화 훈련이나 공습에 대비한 훈련을 매일 반복해서 했을 뿐이다.
세월이 흐르고, 시대가 바뀌니 강산도 변했으리라.
그러나 제발 우리가 판 그 굴만은 변하지 않았으면, 하는 나의 바람이다. 그래야만 내가 강산을 확인하고 만져보고 볼을 비벼볼 것 아닌가! 모름지기 모든 게 변했어도 그 산과 그 굴은 그대로 있을 것이다. 그 산은 나를 낳은 우리 동네의 등허리이니까! 지구가 없어지는 날까지는 버티고 있을 것이다./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