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량한 벌판을 얼마나 달렸는지, 기차는 하얀 팻말의 ‘영천’ 표시의 역 구를 벗어나서 멎었다.
배보다 기차 화물칸이 오히려 편안한 것은 비록 경비병의 심한 구박이 있어도 흘러가는 불빛을 볼 수 있고 빙빙 돌아 흐르는 들판도 눈 흘겨가며 볼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기 때문이리라. 배 타고 이동하는 것보다 얼마나 대접(?)받는 이동인지! 하지만 늘 밤으로만 이동하는 포로들은 절로 올빼미가 될 수밖에 없다. 새까만 탄가루를 뒤집어쓰고 두 눈만 반짝인다. 상대의 얼굴이 내 얼굴이 아니니 난 내 얼굴을 보지 못해서, 차라리 자위하는 것, 차마 내 얼굴이 저렇게 검지는 않을 것이라며 자위한다. 설혹 더 검다 하더라도 보여줄 상대가 없으니 그만, 그저 모질게 붙어있는 목숨이기에 몸은 검을지라도 마음만은 물들지 않기만을 바랄 뿐이다. 그런데 마음조차 어두워지니 영락없는 올빼민가?
영천에 도착한 때에 벌써 날이 새어 사방이 꿰뚫어 보이는데, 우리를 실은 트럭은 어느 들판 한가운데로 달리고 있다. 당국은 포로들에게 이동 경로를 보이지 않으려고 야간 이동을 하는 것이겠지만 어느 경우든 사람의 일이라 차질이 있는가 보다.
앙상한 사과나무 가지에 미처 찾지 못한 사과 알이 드문드문 매달려 있다. 저를 가렸든 잎새가 떨어져 드러났고, 대지의 부름 소리 듣지 못해서 떨어지지 못하고 안쓰럽게 매달려 있는 걸 보며 불현듯 생각.
내가 있는 이 땅의 또래들이 뿔뿔이 흩어져서 온갖 고초를 겪으며 신음하는 나 같은 사과도 있는가 하면 부모의 슬하를 떠나서 제 소임을 다하고 한 역사의 토막은 잇는 영광된 삶을 살다 사라진 이도 있는 것처럼, 같은 나무에 달렸어도 이미 세상에 많은 이의 사랑 속에 생을 다한 사과도 있겠구나, 하고 생각하니 내 삶의 뜻이 거품같이 흩어진다.
하면서도 딴엔 새로운 의미를 찾아본다. 남아있는 사과, 숨겨졌든 사과는 반드시 무슨 곡절이 있어서 자기도 모르게 남도 모르게 남게 되었으리라는 생각을 억지로 끌어내어 나를 위로하며 스스로 달랜다. 그렇지 않으면 난 미쳐야 하기 때문이다. 그냥 숨 쉬는 대로 수족 움직이는 대로 살아가면 되련만 이렇듯 번민함은 무슨 연유에서인가? 의문은 꼬리를 문다. 난 머리를 들어 언덕 밑으로 펼쳐지는 광활한 사과밭에서 내 작은 존재를 다시 확인한다. 하나밖에 없던 우리 동네 과수원을 생각하면서 세상은 넓고 무진장의 보고(寶庫)라는 것을 느낀다.
여기에 살아 숨 쉬는 나의 존재가 이렇게 고통받는 연유를 나의 선택 탓이라고 치부하기엔 내 존재가 너무나 미미하다. 지금은 사라지고 없건만 저 광활한 대지 위의 나무마다 달렸든 사과들은 이 시대에 태어나서 한참 자라는 또래의 소년들과는 무엇이 어떻게 다른 것일까? 어떻게 살든 의미를 알지 못하는 상태, 삶의 결과는 사는 것 자체로서 자기를 완성하는 것이 아니겠는가? 앙상한 나뭇가지에 매달린 까치가 쪼아놓은 사과랑 잎사귀에 감추었다가 드러난 사과는 있는 그대로 떨어져서 씨를 땅에 묻으면 그 소임은 다하리라. 나도 까치가 쪼아놓은 사과 아닌가! 싶어서 서글프다가도 그냥 살아서 씨라도 뿌려진다면 사는 의미는 있는 것이라고 억지로 이유를 찾는다.
흙먼지가 넓고 긴 꼬리를 남기며 사과밭을 온통 못 알아보게 덮고 트럭은 달린다.
우리를 기다리는 철조망, 대문이 보이는 넓은 마당에 차례로 트럭은 멈췄다. 난 공간적 이동을 했을망정 여전히 굴욕의 굴레를 쓰고 정지된 삶을 저 철망 안에서 살아야 한다.
해는 성큼 올라와서 우리를 지켜보고 있다.
철망 아래 서리 맞은 풀 섶에 햇빛이 들어서 물기가 흐른다.
나도 눈가에 물이 흐른다. /외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