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통궤적 2008. 8. 30. 16:42

글 찾기 ( 아래 목록 크릭 또는 왼쪽 분류목록 클릭)

외통궤적 외통인생 외통넋두리 외통프리즘 외통묵상 외통나들이 외통논어
외통인생론노트 외통역인생론 시두례 글두레 고사성어 탈무드 질병과 건강
생로병사비밀 회화그림 사진그래픽 조각조형 음악소리 자연경관 자연현상
영상종합 마술요술 연예체육 사적跡蹟迹 일반자료 생활 컴퓨터
5439.020409 형

형님은 눈앞에 나를 두고도 이 집의 번지수와 이 집에 ‘서상윤’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냐고 연거푸 묻고 있다.

난 단번에 알아보고 형님의 손을 붙들고 안으로 끌고 들어가려 했으나 막무가내로 버티고서 ‘네가 ’서상윤이냐?’고 거듭하여 묻고 있다. ‘그렇습니다. 형님, 어서 안으로 들어갑시다!’ 팔을 잡아끌어도 소용없다. 의심쩍은 기색으로 나를 훑어보며 머뭇거린다. 옛 모습을 찾으려고 애쓰는 듯하다가 다시 정색하면서 이번에는 우리가 살던 고향의 이웃분들 이름과 길과 전답과 이웃 동네의 이름을 묻고는 의아심을 품으면서도 조금씩 확신을 얻는 듯했다. 서서히 움직이더니 내 어깨를 감아 안아 당기면서 왜 이렇게 달라졌느냐고 하며 글썽인다. 형님은 눈을 감고 천장을 올려보았다. 그리고 둘은 한동안 말을 잇지 못했다. 어깨를 맞대어 안고 한참을 선 채로 있다가 ‘의심해서 미안하다. 내가 들어가서 차츰 말하겠다. 어서 들어가자!’

경찰관이 다녀가고 사흘이 지난날 아침에 들이닥친 형은 밤을 뜬눈으로, 김천의 여관에서도, 뜬눈으로 밤새웠고 새벽 버스를 타고 이른 아침에 집을 찾았다. 형님을 찾아달라고 한국일보 신문사에 호소한 내 편지의 내용을 소홀히 하지 않고 게재한 것이 주효했다. 게재 사실을 난 전혀 모르고 있었다.

형님은 이야기의 실마리를 풀기 시작했다.

어느 날, 부대 동료 간부가 ‘자네를 찾는 광고가 났다’라는 소식과 함께 게재된 신문을 갖고 왔기에 그 사실을 눈으로 확인하고는 소스라쳤다는 형이다. 대북 공작업무의 특수 부대에 근무하는 형으로선 신변의 안위에 늘 신경을 써야 하는 위치이니 불쑥 자기를 찾는 광고란 틀림없이 북에서 남파한 간첩임에 틀림이 없고, 이 간첩은 이미 형의 인적 사항을 면밀하게 파악하고 남파됐을 것이란 짐작을 쉽게 할 수 있었다. 그래서 ‘정보부’를 통하여 나의 신원을 철저히 조사했으나 그 자료 자체로는 의심의 여지는 없지만 그래도 믿을 수 없으니 직접 내려가서 확인할 수밖에 없다는 생각에서 즉시 출동(?)한 것이다. 형님 이름의 가운데 자는 항렬자라서 누구나 알 수 있겠다 치고, 끝 자인 기린 린(麟)지는 쉽게 알 수 없는 자인데도 정확히 신문에 게재된 것을 보면 이상하게도 적중했고, 그래서 더욱 의심스러웠다는 것이다. 직접 만나보고, 동생인지를 확인하면서 남파간첩과 접선 되어 있는지도 확인하려는 것이었다.

이중삼중의 보안과 주도면밀한 작전(?)을 알 까닭이 없는 난 그저 오랜 세월 탓이겠거니 로만 생각했다.

실이 그렇다. 해방 후에, 외지에서 돌아오신 형을 잠깐 뵙고 형은 곧 ‘고저’읍의 ‘고급 중학교’를 다니다가 원산의 수산전문학교로 진학했고 나 또한 형이 전학한 뒤에 ‘고저’ 읍의 ‘고급 중학교’에 들어갔고 육이오학도병으로, 전선으로, 수용소로, 한국군으로 전전하는 세월, 제대 후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기간, 그사이에 만나보지 못한 세월 속에서 완전히 변모한 나를 형인들 알아볼 수 있었겠는가! 더욱 형은 나보다 다섯 살이나 위이니 이미 풍모를 갖춘 때였고 난 형과 마지막 대한 때의 나이 불과 열세 살이었으니 커 가는 애라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다. 더구나 형은 나를 정확히 기억할 수 있는 시기는 아마도 내가 일 학년이었고 형은 육 학년이었던 일 년간 소학교를 같이 다녔을 시기뿐이니 더욱 그렇다. 그때의 내 모습을 그렸을 것이다. 그래서 더욱 나를 의심하고 심문(?)했을 것이다.

한여름 방학 때다. 작은집에서 점심을 먹고 형과 함께 놀다가 형이 나를 데리고 갈 수 없는 곳에 갈 일이 있었든지, 날 꾀어서 우리 집까지 데리고 가는데, 길목의 밤나무 그늘 밑을 걸어갈 즈음 삼베적삼을 실룩이는 내 양어깨를 뒤에서 잡아 뒤로 젖히며 가슴을 펴주든 형!

더 어릴 때다. 소학교에 갓 들어갔을 때 형은 나를 미끄럼틀 위에 올려주면서 다른 애들과 어울리게 하던 일! 또렷이 새겨 있으나 형은 이미 망각의 무덤 속에 묻은 지 오랠 테다. 그런데 엉뚱하게 내가 전혀 다른 얼굴로 자기의 동생이라 자처하니 직업의식이 동했을 만도 하다.

자칫, 재종(再從)형제 혈육마저 끊어버릴 뻔했던 격랑(激浪)의 세월이 여기 형제의 상봉으로 극명하게 드러나고 있다.

난 얼른 형을 알아보고 진정할 수 있었지, 만 형은 내가 이 하늘 아래 있으리라고는 꿈에도 생각하지 못했다. 믿어지지 않는 현실을 현실로 받아들이는데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다. 내가 곡절 많게 오래 지냈고 이런 나를 보면서, 나보다 늦게 남쪽으로 나온 형은 말을 참아 꺼내기 주저하며 삼간다.

우리 어머니가 애절히 기다리던 나를 보면서, 우리 어머니를 그리며 큰어머니를 그리며, 형은 말을 잇는다. 형의 입을 통해 들리는 얘기에 내 가슴은 갈기갈기 찢어졌다.

우리 동네가 불바다가 되어서 잿더미로 되고, 아버지는 돌아가시고, 누님도 믿어지지 않는 전염병으로 돌아가시고, 동생 정희도 죽고, 의지할 곳이 없어서 일가와 함께 태백산 줄기 아래 ‘능월’동네 뒤의 산 밑에 굴을 파고 살면서도 아침에 논에 나오시는 어머니와 마주쳤던 일을 형님은 울먹이며 토해낸다.

한국군이 우리 동네로 들어왔을 때 자치활동을, 한때 한 죄로 도피 생활을 하다 이른 새벽에 양식을 구하려 굴집을 찾아 ‘능월’로 올라가던 중에 공동묘지 앞길에서 마주쳤다는 어머니, ‘다른 애들은 다 돌아왔는데 우리 ‘상윤’이는 죽은 게 틀림없다.’ 하시며 한숨지었다는 대목에서, 난 머리를 벽에 부닥치고 싶은 통회(痛悔) 절규가 쏟아졌다.



형은 날 죽은 것으로 여겼다. 그래서 더욱 의심했다.

밤을 꼬박 하얗게 밝혔다. 우리의 이야기는 그칠 줄 몰랐다. 형은 그날로 귀대해야 하는 터에 뜬눈으로 버스 정거장으로 가게 되었고, 가던 참에 내가 이 오지에 머물게 된 동기의 ‘서 의원’에게 정중히 감사의 인사를 드리고 떠났다.

난 이로써 천애(天涯) 고아 신세를 면했다. 돌아서는 내 발걸음은 깃털처럼 가벼웠다. 나도 형이 있다. 나도 이 땅에 피붙이가 있다. 이 얼마나 보람찬 일이냐!

날고 싶다. 만세!/외통-



'외통궤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주골  (0) 2008.08.31
나들이2  (0) 2008.08.30
친구의 편지  (0) 2008.08.29
반응  (0) 2008.08.29
편지  (0) 2008.08.29
Posted by 외통
,